$\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직업불안정성이 직업 관련 우울감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대규모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related Depression and Anxiety: Large- and Small-sized Company Employe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4, 2016년, pp.329 - 339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원) ,  박현주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job insecurity on job related depression and anxiety in large- and small-sized company employees. Methods: Data of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in 2011 were used. Subjects were 2,050 large-sized company employee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 간의 직업적 특성이 많기 다르기 때문에 이들 각각의 대상자에서 직업 불안정이 근로자들의 직업 관련 우울감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규모 기업과 소규모 기업의 차이를 확실히 보기 위해 중규모 기업 근로자들을 제외하고, 대규모 기업(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과 소규모 기업(상시 근로자 50인 미만) 임금근로자로 구분하여 직업불안정이 근로자들의 직업 관련 우울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2011년도 제3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대규모 사업장과 소규모 사업장에 근무하는 임금근로자들의 직업불안정성의 지각이 직업 관련 우울감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규모 사업장 근로자 2,050명과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18,92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규모 사업장과 소규모 사업장 임금근로자들의 직업불안정 인식이 직업 관련 우울감 및 불안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제3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직업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직업 관련 우울감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대규모 사업장과 소규모 사업장 임금 근로자 각각에서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단면적 연구로 제3차 근로환경조사(2011년도) 자료를 분석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직업불안정이 직업 관련 우울감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대규모 사업장 임금근로자와 소규모 사업장 임금근로자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우선, 대규모 기업과 소규모 기업 임금근로자들에서 직업불안정과 직업 관련 우울감 및 불안감을 따로 분석한 첫 번째 연구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국가수준 자료를 분석한 것이 므로, 보다 대표성 있는 표본에서 나온 결과이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다른 연구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에 따르면 우울과 불안을 겪는 사람수 변화는 어떠한가?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에 따르면, 1990년에서 2013년 사이에 우울과 불안을 겪는 사람의 수가 4억천만 명에서 6억천만 명 정도로 약 50% 증가하였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일생동안 한번 이상 우울증에 걸릴 유병율이 6.
사업장의 규모에 따른 선행 연구 결과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직업불안정이 근로자들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때, 사업장의 규모에 따른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 따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근로자들 사이에 여러 가지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즉,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이 도산하는 경우가 많아 직업불안정 자체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Bae, 2015), 실제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근로자들의 근속기간이 길다고 보고되었다(Chae, Rhie, & Lee, 2016) 또한, 대기업과 중소 기업 간의 임금격차 역시 점점 증가하고 있다(Bae, 2015; Cho, 2009; Sun & Kim, 2013).
근로자들의 우울증 및 불안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이유는? , 2015) 이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우울 및 불안증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 결근이 잦고, 출근하여 근무를 한다고 할지라도 일하는데 있어 효율성이 매우 저하된 상태이다 따라서, 근로자의 우울및 불안증은 생산성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는 질환이라고 하였으므로(Stewart, Ricci, Chee, Hahn, & Morganstein, 2003; Hong, Lee, Sim, & Kim, 2015), 근로자들의 우울증 및 불안증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H. (2015). The effects of SMEs' job insecurity on managerial innovation: Moderating effe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8(8), 2047-2064. 

  2. Boya, F. O., Demiral, Y., Ergor, A., Akvardar, Y., & De Witte, H. (2008). Effects of perceived job insecurity on perceived anxiety and depression in nurses. Industrial Health, 46(6), 613-619. 

  3. Burgard, S. A., Kalousova, L., & Seefeldt, K. S. (2012). Perceived job insecurity and health: The Michigan recession and recovery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4(9), 1101-1106. http://dx.doi.org/10.1097/JOM.0b013e3182677dad 

  4. Bussing, A. (1999). Can control at work and social support moderat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Results from a quasi-experimental study in the steel industry.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2), 219-242. http://dx.doi.org/10.1080/135943299398339 

  5. Chae, Y.-M., Rhie, J.-B., & Lee, S.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offic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7), 389-399. http://dx.doi.org/10.5762/KAIS.2016.17.7.389 

  6. Cho, D. (2009). An panel study of industry wage differentials. Journal of Korea Labor and Employment Relations Association, 20(4), 153-175. 

  7. Cho, I., Ahn, S., Kim, S. Y., Park, Y. S., Kim, H. W., Lee, S. O., et al. (2012). Depression of married and employed women based on social-role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496-507. https://doi.org/10.4040/jkan.2012.42.4.496 

  8. Cho, M. J., Seong, S. J., Park, J. E., Chung, I.-W., Lee, M. Y., Bae, A., et al. (2015).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SM-IV mental disorders in south Korean adults: the 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2011. Psychiatry Investigation, 12(2), 164-170. https://doi.org/10.4306/pi.2015.12.2.164 

  9. Choi, E. S., Jung, H.-S., Kim, S.-H., & Park, H. (2010).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work-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experience among Korea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5), 650-66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5.650 

  10. Crossley, T. F., & Kennedy, S. (2002). The reliability of self-assessed health statu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1(4), 643-658. http://dx.doi.org/10.1016/S0167-6296(02)00007-3 

  11. Griep, Y., Kinnunen, U., Natti, J., De Cuyper, N., Mauno, S., Makikangas, A., et al. (2016). The effects of unemployment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A comparison of their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and somatic complaints,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89(1), 147-162. http://dx.doi.org/10.1007/s00420-015-1059-5. 

  12. Hong, J. P., Lee, D., Sim, Y., & Kim, Y. H. (2015). Awareness, attitude and impact of perceived depression in workpla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4(2), 188-201. http://doi.org/10.4306/jknpa.2015.54.2.188 

  13. Kim, J., & Chang, S-J. (2012).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problem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1, 5-24. 

  14. Kim, K. S., Lee, K. S., & Lee, S.-H. (2003). Effects of the workers' recognition of the restructuring to their psychosoci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5 (1), 26-36. 

  15. Kim, T.-S., & Ji, S.-U.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job insecurity and turnover of marine sports industry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2), 797-807. http://dx.doi.org/10.13000/JFMSE.2014.26.4.797 

  16. Lee, K.-S., Lee, D.-B., Kwon, I.-S., & Cho, Y.-C. (2011).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3(2), 99-111. 

  17. Lee, W.-W., Park, J.-B., Min, K.-B., Lee, K.-J., & Kim, M.-S. (2013). Association between work-related health problems and job insecurity in permanent and temporary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5, 15. http://dx.doi.org/10.1186/2052-4374-25-15 

  18. Mauno, S., & Kinnunen, U. (2002). Perceived job insecurity among dual-earner couples: Do its antecedents vary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ector and the measure used? Journal of Occupation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75(3), 295-314. http://doi.org/10.1348/096317902320369721 

  19. Nam, K.-S., & Ryu, B.-J.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job insecurity on mental health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 65-85. 

  20. Park, K. C., Lee, K. J., Park, J.-B., Min, K.-B., & Lee, K. W. (2008).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3), 215-224. 

  21. Pelfrene, E., Vlerick, P., Moreau, M., Mak, R. P., Kornitzer, M., & De Backer, G. (2003). Perceptions of job insecurity and the impact of world market competition as health risks: Results from Belstres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4), 411-425. https://doi.org/10.1348/096317903322591569 

  22. Stewart, W. F., Ricci, J. A., Chee, E., Hahn, S. R., & Morganstein, D. (2003).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s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23), 3135-3144. 

  23. Suh, J.-H.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ees' job insecurity to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1(2), 117-147 

  24. Sun, H. Y., & Kim, G. S. (2013). The determinants of wage differentials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sized firms. Journal of Korean National Economy, 31(4), 63-89.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Investing in treatment for depression and anxiety leads to fourfold return Retrieved October 20, 2016,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news/releases/2016/depression-anxiety-treatment/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