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엽채소류, 과채류, 과수류 및 벼 재배 지역에서의 농약 사용실태 조사
Survey of Pesticide Use in Leaf and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5 no.4, 2016년, pp.203 - 212  

하헌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박성은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유아선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길근환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박재읍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박기웅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임양빈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약 등록 후에 농가에서 사용되는 농약 사용실태 및 작물별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을 조사하였다(2012-2015). 약해피해에 대한 조사에서는 과채류가 14%로 가장 높았고, 벼, 과수류, 엽채소류는 각각 11%, 11%, 8%순으로 나타났다. 농약안전사용 수칙 준수 여부에 관한 7개 항목 중 농약사용량 준수 등 6개 항목은 대부분 잘 지키고 있었으나, 보호구 착용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kg\;a.i.\;ha^{-1}$)조사결과는 엽채소류 6종(1.65), 과채류 6종(4.93), 과수류 6종(10.98), 벼(3.16) 순이었으며, 선행 조사 보다 사용량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는 성분함량이 높은 농약보다 고 효율화된 농약개발과 함께 사용량도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수도용 제초제는 Butachlor 등 43종의 농약 성분이 사용되었으며 단위면적당 1.3 kg이 사용되었는데, 벼에 사용된 농약 중 제초제는 44%에 달하였다. 설포닐우레아(SU)계통 농약 사용은 9종으로서 2015년 단위면적당 사용량($kg\;a.i.\;ha^{-1}$)은 2015년 조사시점에는 2011년 11월에 새롭게 등록된 Metazosulfuron 0.0113을 포함하여 0.0407로 2007년보다는 20% 낮고 2011에 비해서는 31%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살균제 및 살충제의 사용량 감소와는 달리 제초제 사용량은 현재와 같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actual pesticide usage, this survey was carried out with farmers growing four crop groups, leaf vegetables,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from 2012 to 2015. Five hundred sixty farmers were selected in main crop production areas and were asked about their pesticide use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0). 따라서 본 조사는 농약안전사용 준수, 농약 중독 및 약해, 농약 살포횟수, 농약 사용량 등의 농약 사용실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농약안전 사용 및 안전관리 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으며, 2012년 엽채소류, 2013년 과채류, 2014년 과수류, 2015년 벼에 대하여 실제 농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 사용량의 조사 순서는? 농약 사용량에 대한 조사 순서는 1년차 과채류, 2년차 과수류, 3년차 벼, 4년차는 엽채소류의 순으로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벼(Kwon et al., 2000), 과수류(Kwon et al.
농약의 규제가 강화되는 이유는? 농약은 식품안전 요구의 지속적인 증대로 잔류농약 문제까지 얽혀 있어 한 층 강화된 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는 2000년까지 959품목의 농약이 등록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까지는 1,870품목이 등록되었다(RDA, 2015; Statistical Manual, 2015).
농약안전사용 수칙 준수 여부의 7가지 항목 조사 결과는? 농약의 안전사용 수칙은 농약을 사용하는 농업인의 건강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안전농산물 생산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농약안전사용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해 7가지 항목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농약사용 전 라벨 숙지 여부 조사에서 항상 지키거나 대체로 지킨다고 응답한 농가는 95.0%, 두 번째 농약사용법 및 사용량 준수 여부 조사에서 항상 지키거나 대체로 지킨다고 응답한 농가는 93.7%, 세 번째 농약 혼용 가부표 준수 여부 조사에서 항상 지키거나 대체로 지킨다고 응답한 농가가 91.3%, 네 번째 음주 후 또는 피로할 때 농약 살포여부 조사에서 항상 지키거나 대체로 지킨다고 응답한 농가는 90.0%, 다섯 번째 농약 살포 후 씻는지 여부 조사에서 항상 지키거나 대체로 지킨다고 응답한 농가는 93.8%, 여섯 번째 농약살포 후 옷을 갈아입는지 여부 조사에서 항상 지키거나 대체로 지킨다고 응답한 농가는 89.0%, 일곱 번째 농약 보호구 착용 여부 조사에서 항상 지키거나 대체로 지킨다고 응답한 농가는 92.6%로 안전사용 수칙 준수율은 89.0-95.0%로 대부분이 잘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농약 안전사용기준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취지로 볼 때 지속적인 지도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a, H.Y., Ra, D.S., Shin, W.C., Im, G.J. and Park, J.E. 2012.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ean J. Pestic Sci. 16(4):395-400. (In Korean) 

  2. Ihm, Y.B., Kim, K.S., Kyung, K.S., Kim, N.S., Ha, H.Y., et al. 2003. Survey of pesticide usage on fruits in Korea. Korean J. Pesticide Sci. 7(4):258-263. (In Korean) 

  3. Im, S.H., Park, M.W., Yook, M.J. and Kim, D.S. 2009. Resistance to ACCase inhibitor cyhalofop-butyl in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collected in Seosan, Korea. Korean J. Weed Sci. 29(2):178-184. 

  4. Im, I.B. 2009. Control and emergence of herbicides resistant Echinochloa oryzicola in paddy field of Korea. Korean J. Weed Sci. 29(2):103-104. (In Korean) 

  5. Kim, K.S., Kim, K.H., Kim, N.S., Ihm, Y.B., Lee, H.D., et al. 2006. Survey on compliance of pesticide registration standard and pesticide usage of paddy rice and lea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Pesticide Sci. 10(3):183-188. (In Korean) 

  6.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5. Agrochemical Year Book, Seoul, Korea. 

  7. Kwon, O.D., Kuk, Y.I., Lee, D.J., Shin, H.R., Park, I.J., et al. 2002. Growth and yield of rice as affected by competitive period of resistant Monochoria vaginalis biotypes to sulfonylurea herbicides. Korean J. Weed Sci. 22(2):147-153. (In Korean) 

  8. Kwon, O.D., Kuk, Y.I., Cho, S.H. and Shin, H.R. 2009. Control of sulfonyluera-resistant biotype of Eleocharis acicularis in paddy fields in Jeonnam province, Korea. Korean J. Weed Sci. 29(1):32-34. (In Korean) 

  9. Kwon, O.K., Hong, S.M., Choi, D.S., Park, C.W., Song, B.H., et al. 2001. Survey of pesticide usage on fruit crops for the develop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Korean J. Pestic. Sci. 5(4):40-44. (In Korean) 

  10. Kwon, O.K., Hong, S.M., Choi, D.S., Seong, K.S., Ihm, Y.B., et al. 2000. Survey of pesticide usage in paddy rice for the establish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Korean J. Pestic. Sci. 4(4):35-39. (In Korean) 

  11. Lee, I.Y., Park, J.S., Seo, Y.H., Kim, E.J., Lee, S.G., et al. 2012. Occurrence trends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in Korea. Korean J. Weed Sci. 32(2):121-126. (In Korean) 

  12. Lee, I.Y., Kim, C.S., Lee. J., Park, T.S., Moon, B.C., et al. 2016.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over the last 50 years in Korea. Korean J. Weed Sci. 5(1):1-4. (In Korean) 

  13. Lim, S.H., Song, J.S., Zhang, C. and Kim, D.S. 2010. ACCase inhibitor cyhalofop-butyl resistance in Echinochloa oryzicola collected in Chungnam and Jeonbuk province, Korea. Korean J. Weed Sci. 30(1):45-46. (In Korean) 

  14. Oh, K.S., Ihm, Y.B., Oh, H.K., Lee, B.M., Kyung, K.S., et al. 2003. Survey on pesticide usage for the develop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in fruit vegetables. Korean J. Pestic. Sci. 7(1):66-73. (In Korean) 

  15. Park, T.S., Moon, B.C., Oh, S.M. and Kim, K.U. 2002. Whole plant response and acetolactate synthase activity of sulfonylurea-resistant Monochoria korsakowii occurred in paddy fields of Korea. Korean J. Weed Sci. 222(4):359-367. (In Korean) 

  16. Park, T.S., Ku, B.I., Kang, S.K., Choi, M.K., Park, H.K., et al. 2010. Response of the resistant biotype of Echinochloa oryzoides to ACCase and ALS inhibitors, and effect of alternative herbicides. Korean J. Weed Sci. 30(3):291-299. (In Korean) 

  17. Park, T.S., Kang, C.K., Park, J.E., Ku, B.I., Park, H.K., et al. 2009.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Scirpus planiculmis in reclaimed paddy fields, Korea. Korean J. Weed Sci. 29(1):35-37. (In Korean) 

  18. Park, T.S., Kim, C.S., Moon, B.C., Lee, I.Y., Lim, S.T., et al. 2001. Occurrence and control of Lindernia dubia (L.) Pennell var. dubia, sulfonylurea resistant biotype in paddy fields in southern areas of Korea. Korean J. Weed Sci. 21(1):33-41. (In Korean) 

  19. Park, T.S., Kim, C.S., Park, J.E., Oh, Y.K. and Kim, K.U. 1999.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Monochoria korsakowii in reclaimed paddy fields in Seosan, Korea. Korean J. Weed Sci. 19(4):340-344. 

  20. Statistics Korea. 2010 Agricultural Census. Daejeon, Korea. 

  21. Statistics Korea. 2015 Agricultural Census. Daejeon, Korea. 

  22.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Statistical manual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industry. p. 1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