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각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메일, 문자 및 전화 알리미 서비스
Notification Service on Mail, Text Message and phone call using Olfactory Display 원문보기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센서학회지, v.25 no.6, 2016년, pp.412 - 417  

이영준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금동위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정도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임승주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ent display is used mainly to augment immersion, reality and emotion, besides provide more tension and suggestion. However, this paper pay attention to effect of smells as ambient media, and propose a notification service using scents without sound and vibration when a user has new mail, test m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음과 자극이 발생할 수 있는 청각 및 촉각 자극 알림 서비스의 대안으로, 냄새의 Ambient media 특성을 이용하여 각종 메시지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향을 이용한 알리미 서비스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각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의 목적은? 후각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의 대부분은 향을 이용하여 실감과 감성을 증강시키거나, 향을 배경미디어로 사용하여 연상 작용을 통해 긴박감 혹은 강한 암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7-13].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보고 듣고 만지지 않아도 감성을 증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냄새의 Ambient media 특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향이 미디어 산업에 적용되었을 때 가지는 장점은? 향은 기존의 시청각 미디어와 상호 작용할 경우, 감성의 증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과 같은 가상 환경에서 기존 미디어 보다 더 높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후각의 이러한 장점 때문에 향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상용화 서비스가 대두될 것으로 예측된다[1-6].
후각 디스플레이 기술에 사용되는 향의 특징은? - 냄새는 강력한 연상 작용을 제공하며 기존의 시청각 정보와 융합할 경우 실감과 감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 냄새는 배경미디어이다. - 냄새는 강한 긴박감을 제공할 수 있다. - 냄새는 Ambient 미디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Jeong-Do, "Olfactory Display Technology of Media Convergence", The Korean Society of Broad Engineers,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Vol.20, No.3, pp.76-90, 2015. 

  2. Kim Jeong-Do, Haeryong Lee, JeunWoo Lee, Hun Joong Lee, Jung Sik Park, Seok Kyu Kang, "Requirements of User Interface for Olfactory Information Presentation",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Standard, TTAK.KO-10.0822, 2015. 

  3. Kemp, Sarah E, Gilbert, Avery N., "Odor intensity and color lightness are correlated sensory dimension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 110, pp. 35-46, 1997. 

  4. J.S. Manne, Multimedia Linked Scent Delivery System, US Patent 6,169,595, filed June 7, 1999, issued Jan. 2, 2001. 

  5. F.I. Davide, M. Holmberg, and I. Lundstrom, "Virtual Olfactory Interfaces: Electronic Noses and Olfactory Displays", in Communication through Virtual Technologies, Amsterdam, Netherlands: IOS press(2001), pp. 193-220. 

  6. A. Cann and D.A. Ross. "Olfactory Stimuli as Context Cue in Human Memory," American J. Psychology, vol.102, no.1(1989), pp. 91-102. 

  7. Seung-Ju Lim, "A Study on Scent Devices and SDK for Scent Display of Realistic Media",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 Doctoral dissertation, 2016. 

  8. H. Ehrlichman and J.N. Halpern, "Affect andMemory: Effects of Pleasant and Unpleasant Odors on Retrieval of Happy and Unhappy Memories," J. Pers. Social Psychology, Vol.55, No. 5, pp. 769-779, 1998. 

  9. T. Engen, "The Perception of Odors", New York, NY: Academic Press, 1982. 

  10. J.C. Chebat, R. Michon ,"Impact of ambient odors on mall shoppers' emotions, cognition, and spending A test of competitive causal theor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6, pp.529-539, 2003. 

  11. Dunn C, "The fragrance foundation looks ahead to spring", Household Pers Prod Ind, Vol. 40, 1997. 

  12. Butcher D., Aromatherapy - its past and future, Drug Cosmet Ind,, Vol.162, pp.22, 1998. 

  13. Thomas Hummel, "Retronasal Perception of Odors", Chemistry & Biodiversity, Vol.5, pp.853-861, 2008. 

  14. T.Narumi, "Pseudo-Gustatory Display System Based on Cross-Modal Integration of Vision, Olfaction and Gustation", IEEE Virtual Reality Conference, pp. 127-130, 2011 

  15. http://silvia.mn.ee.titech.ac.jp/English/MNL_index.htm 

  16. http://www.gizmag.com/feelreal-vr-mask-nirvana-helm etsmell-feel-action/37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