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 구강위생관리가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의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ofessional Oral Healthcare Program on the Oral Status of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6, 2016년, pp.432 - 441  

이근유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임순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 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문가 구강위생관리와 노인구강보건 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중재한 32명의 실험군 I, 노인구강보건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시행한 30명의 실험군 II, 요양보호사에게 일상구강관리를 제공받은 32명의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치면세균막 지수, 구취, 설태, 타액 분비량의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치면세균막 지수는 반복측정분산 분석 결과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재기간에 따른 변화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중재 방법에 따라서 치면세균막 지수의 변화 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취는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 사이와 중재기간에 따른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 방법에 따라서 구취의 변화 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태는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기간과 중재 방법에 따른 설태의 변화 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타액 분비량은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에 따른 변화와 중재기간에 따른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 방법에 따라서 타액 분비량의 변화 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 구강위생관리와 요양보호사에 대한 노인구강교육 실시가 재원노인들의 구강위생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재원노인의 구강위생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치과 촉탁의 제도와 병행한 전문가 구강위생관리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직원을 포함한 간호 인력을 대상으로 노인 구강위생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oral healthcare program in eldery residents long-term care facilities. Ninety-four elderly residents from 5 different facilities in A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32 in experimenta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된 전문가 구강위생 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장기요양시설 재원 노인의 구강 상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전문가 구강위생관리의 효과적인 중재방안으로서의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 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문가 구강위생관리와 노인구강보건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중재한 32명의 실험군 I, 노인구강보건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시행한 30명의 실험군 II, 요양보호사에게 일상구강관리를 제공받은 32명의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치면세균막 지수, 구취, 설태, 타액 분비량의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택된 5개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것이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자치단체 구강관리사업의 한 부분으로 장기요양시설에 접근하여 치과의사의 구강검사와 치과위생사에 의한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파악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 치과 촉탁의 제도와 연계하여 주기적인 전문가 구강위생관리를 중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 대상자에게 제공한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이 재원노인들의 구강위생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 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문가 구강위생관리와 노인구강보건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중재한 32명의 실험군 I, 노인구강보건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시행한 30명의 실험군 II, 요양보호사에게 일상구강관리를 제공받은 32명의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치면세균막 지수, 구취, 설태, 타액 분비량의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치면세균막 지수는 반복측정분산 분석 결과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재기간에 따른 변화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요양시설 재원 노인들은 어떤 특징을 갖는 집단인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수준은 목욕하기, 옷 입기, 양치질하기, 식사하기, 대·소변가리기, 화장실 출입하기, 이동하기 순서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 특히 장기요양시설 재원 노인들은 인지기능, 이동능력 및 손의 미세관절 움직임 등이 저하되어 독립적으로 구강관리를 수행하기 어려운 구강질환 발생 고위험 집단이다6). 인지기능 손상 대상자는 양치질을 해야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거나 간호인력의 구강관리에 저항 행동을 보이고 구강 통증이나 불편감에 대한 인식 및 보고능력이 떨어지므로 치과문제가 종종 발생한다7).
인지기능 손상 대상자에게 치과 문제가 종종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장기요양시설 재원 노인들은 인지기능, 이동능력 및 손의 미세관절 움직임 등이 저하되어 독립적으로 구강관리를 수행하기 어려운 구강질환 발생 고위험 집단이다6). 인지기능 손상 대상자는 양치질을 해야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거나 간호인력의 구강관리에 저항 행동을 보이고 구강 통증이나 불편감에 대한 인식 및 보고능력이 떨어지므로 치과문제가 종종 발생한다7). 또한 다양한 질환으로 입소한 재원 노인들은 여러 종류의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으로 타액 분비량이 감소하여 구강과 구순 및 인후의 건조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말을 하거나 마른 음식의 저작과 연하시의 불편감, 구강점막의 통증 등과 같은 기능적 불편감뿐만 아니라 설태의 증가로 인한 구취의 증가,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의 증가 및 구강 캔디다증과 같은 진균성 기회감염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8).
장기요양시설 재원 노인들에게 치과질환과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고 기능감퇴에 대응하기 위해 치위생 중재를 제공하는 전문가 구강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인지기능 손상 대상자는 양치질을 해야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거나 간호인력의 구강관리에 저항 행동을 보이고 구강 통증이나 불편감에 대한 인식 및 보고능력이 떨어지므로 치과문제가 종종 발생한다7). 또한 다양한 질환으로 입소한 재원 노인들은 여러 종류의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으로 타액 분비량이 감소하여 구강과 구순 및 인후의 건조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말을 하거나 마른 음식의 저작과 연하시의 불편감, 구강점막의 통증 등과 같은 기능적 불편감뿐만 아니라 설태의 증가로 인한 구취의 증가,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의 증가 및 구강 캔디다증과 같은 진균성 기회감염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8). 이런 구강환경에서 치과질환과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고 기능감퇴에 대응하기 위해 환자에 필요한 치위생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전문가 구강관리(Professional Oral Health Care)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Long-term care insurance. Retrieved 2016, September 22, from: http://ongtermcare.or.kr(2016, September 22). 

  2. Jang HS: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activation plan for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23-29, 2006.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Retrieved 2016, September 22, from: http://longtermcare.or.kr(2016, September 22). 

  4. Kim KW, Kim BJ, Kim SY, Kim SG, Kim JR, Kim TH: 2012 nationwide survey on the epidemiology of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27-36, 2012. 

  5. Cho YH: Family caregivers' needs for a professional help by the symptom level of senile dement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7. 

  6. Vanobbergen JN, De Visschere LM: Factors contributing to the variation in oral hygiene practices and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Community Dent Health 22: 260-265, 2005. 

  7. Johnson V, Chalmers J: Oral hygiene care for functionally dependent and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Research Translation and Dissemination Core, Gerontological Nursing Interven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Iowa College of Nursing, Iowa City, 2002. 

  8. Sreebny LM, Schwartz SS: A reference guide to drugs and dry mouth. Gerodontology 5: 75-99, 1986. 

  9. The Korean Dental Hygiene Association: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1st ed. Daehan Narae, Seoul, pp.4-5, 2014. 

  1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trieved 2016, September 22, from: http://www.law.go.kr(2016, September 22). 

  11. Won YS, Kim JH, Kim SK: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to subjective oral symptoms for the elderly in some Seoul area. J Dent Hyg Sci 9: 375-380, 2009. 

  12. Kim KM, Park YN, Lee MK, et al.: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n oral care and elder oral hygiene care of the nursing home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Korean Soc Dent Hyg 14: 723-730, 2014. 

  13. Jeon HS, Han SY, Chung W, Choi J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status on oral health care of geriatric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Dent Hyg Sci 9: 569-576, 2015. 

  14. Mo HS, Choi KB, Kim JS: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its predictors in nursing staff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J Korean Acad Nurs 15: 428-437, 2008. 

  15. Wyatt CCL: Elderly canadians in long-term care hospitals: Part I. Medical and dental status. J Can Dent Assoc 68: 353-358, 2002. 

  16. Coker E, Pleog J, Kaasalainen S: The effect of programs to improve oral hygiene outcomes for older residents in long-term care. Res Gerontol Nurs 7: 87-100, 2014. 

  17. Coleman P, Watson M: Oral care provided by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in nursing homes. J Am Geriatr Soc 54: 138-143, 2006. 

  18. Kim YS: Effects on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derly residents of long-term care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15. 

  19. Choi SM: The effects of professional oral health care on oral health states of long-term care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012. 

  20. Han DH, Kim NH, Kwak JM, et al.: Re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a part time dentist in elderly care faciliti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27-64, 2014. 

  21. O'Leary TJ, Drake RB, Naylor JE: The plaque control record. J Periodontol 43: 38, 1972. 

  22. Winkel EG, Roldan S, Van Winkelhoff A, Van Winkelhoff AJ, Herrera D, Sanz M: Clinical effects of a new mouthrinse containing chlorhexidine, cetylpyridunium chloride and zinc-lactate on oral halitosis. A dual-center,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J Clin Periodontol 30: 300-306, 2003. 

  23. Navazesh M, Christensen CM: A comparison of whole mouth resting and stimulated salivary measurement procedures. J Dent Res 61: 1158-1162, 1982. 

  24. Jeong HY, Park BG, Shin HS,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Ann Rehabil Med 31: 283-297, 2007. 

  25. Cho BD, Lee BJ: Change in plaque control ability by the professional oral health care program. J Korean Acad Oral Health 39: 25-36, 2015. 

  26. Park MS, Choi KS: The effects of oral care education on caregivers’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oral hygiene for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me. J Korean Acad Nurs 41: 684-693, 2011. 

  27. Fields LB: Oral care intervention to reduce incidence of ventilation-associated pneumonia in the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J Neurosci Nurs 40: 291-298, 2008. 

  28. Yoon MS, Youn HJ: A study on subjective symptoms of a oral malodor in Korean adults. J Dent Hyg Sci 8: 123-129, 2008. 

  29. Shin SC, Lee KS: An epidemiological study on malodor status in Korean people. J Korean Acad Oral Health 23: 343-355, 1999. 

  30. Kim KY, Yoon HJ, Kim MR, Lee HK, Lee KS: Effects of oral hygien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atients by caregiver's in rural long-term care hospital. J Korean Soc Agr Med Com 35: 13-20, 2010. 

  31. Navezesh M: Dry mouth: aging and oral health. Compend Contin Educ Dent 23: 41-48, 2002. 

  32. Kim JY, Moon WS, Lee KS, Hwang TY: Effects of oral exercise on oral function and dentur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40: 158-170, 2015. 

  33. Gil-Montoya JA, Mello DA, Cardenas CB, Lopez IG: Oral health protocol for the dependent institutionalized elderly. Geriatr Nurs 27: 95-101, 2006. 

  34. Choi YH, Kim EK, Park JM, et al.: The effects of oral interventions on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Acad Oral Health 37: 41-4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