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관규모 기압능이 한반도를 덮고 있는 기간에 중부지방에서 나타난 호우의 발생 원인
A Study of a Heavy Rainfall Event in the Middle Korean Peninsula in a Situation of a Synoptic-Scale Ridge Over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6 no.4, 2016년, pp.577 - 598  

김아현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태영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servational and numeric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ause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heavy rainfall over the middle Korean Peninsula during 0300 LST-1500 LST 29 June 2011 (LST = UTC + 0900). The heavy rainfall event occurred as the synoptic-scale ridge extended from W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부 지역 호우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Figure 4는 호우를 가져온 중규모 대류계의 발생시각부터 호우 후반기까지의 중규모 대류계의 모습을 보이는 위성 강조 적외 영상이다. 중부 지역 호우는 황해상에서 발생한 대류세포가 북동진하면서 해상에서 대류계로 발달하거나, 중부 서해안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대류계로 발달하여 내륙으로 이동할 때 발생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호우 사례의 시작은 황해상 (36oN, 125oE 부근)에서 28일 2100 LST-2130 LST에 발생한 대류세포(Fig.
중국 동부 내륙에 형성된 강한 기압경도로 인해 황해상에는 무엇이 나타났는가? 한편, 상해 지역을 포함한 중국 동부 내륙에는 기압골이 넓게 발달하여 서태평양 고기압과 이 기압골 사이에 강한 기압경도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황해상에는 강한 남서풍대(하층 제트) 가 나타나고 있다. 28일 0900 LST-29일 0300 LST 기간 동안 하층 제트 스트리크가 동중국해로부터 황해 중부로 이동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규모 대류계 발달을 가져오는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반도 호우를 가져오는 중규모 대류계(Mesoscale Convective Systems, MCSs)의 발달 원인에 대해서도 국내 · 외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중규모 저기압과 연관된 하층 제트 전면에서의 수렴(Choi et al., 2011; Shin and Lee, 2015), 찬공기풀(cold pool)과 연관된 공기의 유출(outflow) 경계선에서의 수렴(Kim and Lee, 2006) 등이 중규모 대류계 발달을 가져오는 원인들로 밝혀진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ubert, E. J., 1957: On the release of latent heat as a factor in large-scale atmospheric motions. J. Meteor., 14, 527-542. 

  2. Chen, G. T. J., and C. C. Yu, 1988: Study of low-level jet and extremely heavy rainfall over northern Taiwan in the Mei-Yu season. Mon. Wea. Rev., 116, 884-891. 

  3. Chen, Y.-L., and N. B.-F. Hui, 1992: Analysis of a relatively dry front during the Taiwan area mesoscale experiment. Mon. Wea. Rev., 120, 2442-2468. 

  4. Choi, J.-Y., K.-C. Shin, and C.-S. Ryu, 2011: A study on the heavy rainfall cases associated with low level jet inflow along the Changma front. J. Chosun Nat. Sci., 4, 44-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anard, M. B., 1964: On the influence of released latent heat on cyclone development. J. Appl. Meteorol., 3, 27-371. 

  6. Dudhia, J., 1989: Numerical study of convection observed during the winter monsoon experiment using a mesoscale two-dimensional model. J. Atmos. Sci., 46, 3077-3107. 

  7. Hanson, H. P., and B. Long, 1985: Climatology of cyclogenesis over the East China Sea. Mon. Wea. Rev., 113, 697-707. 

  8. Hong, S.-Y., and J.-O. J. Lim, 2006: The WRF singlemoment 6-class microphysics scheme (WSM6). J. Korean Meteor. Soc., 42, 129-151. 

  9. Hwang, S.-O., and D.-K. Lee, 199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rainfalls and associated lowlevel jets in the Korean Peninsula. J. Korean Meteor. Soc., 29, 133-146 (in Korean). 

  10. Kain, J. S., 2004: The Kain-Fritsch convective parameterization:an update. J. Appl. Meteorol., 43, 170-181. 

  11. Kain, J. S., and J. M. Fritsch, 1990: A one-dimensional entraining/detraining plume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convective parameterization. J. Atmos. Sci., 47, 2784-2802. 

  12. Kain, J. S., and J. M. Fritsch, 1993: Convective parameterization for mesoscale models: The Kain-Fritsch scheme. In K. A. Emanuel et al. Eds., The representation of cumulus convection in numerical model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65-170. 

  13. Kim, D.-K., and H.-Y. Chun, 2000: A numerical study of the orographic effects associated with a heavy rainfall event. J. Korean Meteor. Soc., 36, 441-454 (in Korean). 

  14. Kim, H. W., and D. K. Lee, 2006: An observational study of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with heavy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Wea. Forecasting, 21, 125-148. 

  15. Kim, S. S., C. H. Joung, and S. U. Park, 1983: The characteristic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rainy front (Changma front) between the wet and dry seasons. J. Korean Meteor. Soc., 19, 59-71 (in Korean). 

  16. Lee, D.-K., and S.-Y. Hong, 1989: Numerical experiments of the heavy rainfall event occurred over Korea during 1-3 September 1984. J. Korean Meteor. Soc., 25, 233-260 (in Korean). 

  17. Lee, J.-W., and S.-Y. Hong, 2006: A numerical simulation study of orographic effects for a heavy rainfall event over Korea using the WRF model. J. Korean Meteor. Soc., 16, 319-332 (in Korean). 

  18. Lee, J.-Y., W. Kim, and T.-Y. Lee, in press: Physical and dynamic factors that drove the heavy rainfall event over the middle Korean Peninsula on 26-27 July 2011. Asia-Pac. J. Atmos. Sci. 

  19. Lee, K.-O., H. Uyeda, and D.-I. Lee, 2014: Effect of an isolated elliptical terrain (Jeju Island) on rainfall enhancement in a moist environment. Tellus, 66, 20484. 

  20. Lim, E.-H., and T.-Y. Lee, 1994: Two-dimensional numerical study of the terrain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loud and precipitation for the middle part of Korea. J. Korean Meteor. Soc., 30, 565-582 (in Korean). 

  21. Maddox, R. A., 1983: Large-scale meteorolog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midlatitude, mesoscale convective complexes. Mon. Wea. Rev., 111, 1475-1493. 

  22. Matsumoto, S., S. Yoshizumi, and M. Takeuchi, 1970: On the structure of the "Baiu Front" and the associated intermediate-scale disturbances in the lower atmosphere. J. Meteor. Soc. Japan, 48, 479-491. 

  23. McCauley, M. P., and A. P. Sturman, 1999: A study of orographic blocking and barrier wind development upstream of the Southern Alps, New Zealand. Meteor. Atmos. Phys., 70, 121-131. 

  24. Mlawer, E. J., S. J. Taubman, P. D. Brown, M. J. Iacono, and S. A. Clough, 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s: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 Geophys. Res., 102, 16663-16682. 

  25. Park, C. H., H. W. Lee, and W.-S. Jung, 2003: The effects of low-level jet and topography on heavy rainfall near Mt. Jirisan. J. Korean Meteor. Soc., 39, 441-458 (in Korean). 

  26. Seo, K.-H., and D.-K. Lee, 1996: Analysis and simulation of orographic rain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 Korean Meteor. Soc., 32, 511-533 (in Korean). 

  27. Shin, C.-S., and T.-Y. Lee, 2005: Development mechanisms for the heavy rainfalls of 6-7 August 2002 over the middle of the Korean Peninsula. J. Meteor. Soc. Japan, 83, 683-709. 

  28. Shin, U., and T.-Y. Lee, 2015: Origin, evolution and structure of meso- ${\alpha}$ -scale lows associated with cloud clusters and heavy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sia-Pac. J. Atmos. Sci., 51, 259-274. 

  29. Skamarock, W. C., J. B. Klemp, J. Dudhia, D. O. Gill, D. M. Barker, M. G. Duda, X.-Y. Huang, W. Wang, and J. G. Powers,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 Note TN-475 STR, Natl. Cent. Atmos. Res., 113 pp. 

  30. Tewari, M., F. Chen, W. Wang, J. Dudhia, M. A. LeMone, K. Mitchell, M. Ek, G. Gayno, J. Wegiel, and R. H. Cuenca, 2004: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unified NOAH land surface model in the WRF model. In 20th Conference on weather analysis and forecasting/16th Conference o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11-15. 

  31. Thompson, G., P. R. Field, R. M. Rasmussen, and W. D. Hall, 2008: Explicit forecasts of winter precipitation using an improved bulk microphysics scheme. Part II:Implementation of a New Snow Parameterization. Mon. Wea. Rev., 136, 5095-5115. 

  32. Trier, S. B., D. B. Parsons, and T. J. Matejka, 1990: Observations of a subtropical cold front in a region of complex terrain. Mon. Wea. Rev., 118, 2449-2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