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청 계절예측시스템(GloSea5)의 해양성층 강화시기 단기 해양예측 정확도 및 대기-해양 접합효과
Accuracy of Short-Term Ocean Prediction and the Effect of Atmosphere-Ocean Coupling on KMA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GloSea5) During the Development of Ocean Stratification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6 no.4, 2016년, pp.599 - 615  

정영윤 (제주대학교 해양기상학협동과정) ,  문일주 (제주대학교 해양기상학협동과정) ,  장필훈 (국립기상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curacy of short-term ocean predictions during the development of ocean stratification for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version 5 (GloSea5) as well as the effect of atmosphere-ocean coupling on the predictions through a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단기 예측결과에서도 이미 나타난 바와 같이 적분시간이 길어질수록 오차의 크기는 커지는 경향이 있어 해양예측의 정확도가 장기 계절예측의 성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에 보다 장기적으로 GloSea5의 해양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양모델을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북반구에서 성층이 강화되는 겨울(2월)과 봄(5월) 시기뿐 아니라 여름에서 가을로 성층이 약화되는 시기에 대해서도 향후 추가분석을 실시하여 모델 정확도의 계절적인 변화 특징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북반구에서 해양성층이 강화되는 시기(겨울과 봄철)에 대해 GloSea5의 해양모델인 NEMO(Nucleus for European Modelling of the Ocean)에서 산출되는 단기 해양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다양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 시기에 대기-해양 접합모델(GloSea5)의 해양예측결과와 해양단독모델 NEMO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대기-해양 접합효과가 해양의 단기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에 사용된 수치모델과 관측자료 그리고 분석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loSea5의 단기 해양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고 대기-해양 접합효과가 해역별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단기 해양예측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어 모델과 관측값의 오차 또는 모델간의 차이가 기상청의 장기 계절예측시스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은 주지 못한다.
  •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오차원인 분석을 위하여 부이 및 ARGO와 같은 지점(point) 자료 외에 OSTIA(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와 FNMOC (Fleet Numerical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Center)에서 제공하는 위성 해수면 온도 자료(각각 5-km와 10-km 공간해상도) 그리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동해의 해류장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북반구에서 해양성층이 강화되는 시기(겨울과 봄철)에 대해 GloSea5의 해양모델인 NEMO(Nucleus for European Modelling of the Ocean)에서 산출되는 단기 해양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다양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 시기에 대기-해양 접합모델(GloSea5)의 해양예측결과와 해양단독모델 NEMO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대기-해양 접합효과가 해양의 단기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북반구에서 해양성층이 강화되는 시기에 대해 기상청에서 운용 중인 전지구 계절예측시스템(GloSea5)의 단기 해양예측 결과를 한반도 근해의 해양기상부이, 열대해역의 TAO (Tropical Atmosphere Ocean project) 부이, 그리고 북서태평양의 ARGO float 자료를 이용하여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 해양-대기 접합모델인 GloSea5에서 계산된 해양예측결과와 GloSea5의 해양모델인 NEMO를 단독으로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대기-해양 접합효과가 해양의 단기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그렇지만 넓은 의미에서 보면 이러한 대기입력장의 차이는 결국 대기-해양 접합이 고려된 모델과 그렇지 않은 모델의 차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실험의 차이를 광역의 의미에서 대기-해양의 접합효과로 정의하였다. 본 장에서는 두 모델의 차이가 가장 뚜렷이 나타나는 태평양 열대해역, 북서태평양, 한반도 근해에 대해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두 모델의 해양예측 정확도 비교 및 대기-해양의 접합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지표기온의 예측성과 동아시아 기후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Indian Ocean Dipole (IOD), 그리고 다양한 몬순지수들의 예측성을 평가하였다.
  •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기상청은 영국 기상청과 함께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the KMA-Met Office Joint Seasonal Forecasting System; Kang et al., 2011)’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계절예측시스템의 앙상블 멤버를 기관 간에 공유하여 한정된 계산자원 내에서 계절예측의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loSea5는 예보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하여 무엇을 수행하는가? GloSea5는 적분을 수행하면서 대기-해양 플럭스를 3시간 간격으로 OASIS coupler에 의하여 교환한다. 또한 GloSea5는 60일 적분을 수행한 후 예보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하여 앙상블 예측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로 생성된 물리모수화 파라미터를(MacLachlan et al.
GloSea5의 네 개의 모델(대기, 해양, 해빙, 지표면)은 각각 무엇인가?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는 네 개의 모델(대기, 해 양, 해빙, 지표면)이 결합된 시스템이다. 대기모델은 중단기 기상예보에 사용되고 있는 통합모델(Unified Model, UM), 해양모델은 프랑스 라플라스 연구소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전지구 및 지역 해양순환모의에 활용되는 NEMO, 해빙모델은 미국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에서 개발된 CICE (community Ice CodE), 그리고 지표면모델은 영국 기상청의 JULES(Joint UK Land Environment Simulator)를 기반으로 한다. 대기모델의 해상도는 수평적으로 N216 (0.
GloSea5의 지표면과 대기 모델의 초기장은 무엇을 사용하는가? , 2014) 이용하여 수행된 두 개의 앙상블 멤버(010와 011)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GloSea5의 지표면과 대기 모델의 초기장은 기상청에서 운영중인 수치분석장(KMA-NWP)에서 생산된 자료를 사용한다. 해양과 해빙 초기장은 영국기상청, CERFACS (Centre Europeén de Recharche et de Formation Avancée en Calcul Scientifique), ECMWF(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INRIA/LJK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et en Automatique/Laboratoire Jean Kuntzmann)이 공동으로 개발한 NEMOVAR 자료동화시스템에서 생산된 자료를 사용한다(Mart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rribas, A., and Coauthors, 2011: The GloSea4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e seasonal forecasting. Mon. Wea. Rev., 139, 1891-1910. 

  2. Camp, J., M. Roberts, C. MacLachlan, E. Wallace, L. Hermanson, A. Brookshaw, A. Arribas, and A. A. Scaife, 2015: Seasonal forecasting of tropical storms using the Met Office GloSea5 seasonal forecast system. Quart. J. Roy. Meteor. Soc., 141, 2206-2219. 

  3. Cho, Y. K., and K. Kim, 1996: Seasonal variation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and its relation with the cold water. La Mer, 34, 172-182. 

  4. Choi, B. J., D. S. Byun, and K. H. Lee, 2012: Satellitealtimeter-derived East Sea surface currents: Estimation, description and variability pattern, The Sea, 17, 225-2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onlon, C. J., M. Martin, J. Stark, J. Roberts-Jones, E. Fiedler, and W. Wimmer, 2012: The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STIA) system. Remote Sens. Environ., 116, 140-158. 

  6. Graham, R. J., M. Gordon, P. J. McLean, S. Ineson, M. R. Huddleston, M. K. Davey, A. Brookshaw, and R. T. H. Barnes, 2005: A performance comparison of coupled and uncoupled versions of the Met Office seasonal prediction general circulation model. Tellus, 57A, 320-339. 

  7. Jung, M.-I., S.-W. Son, J. Choi, and H.-S. Kang, 2015:Assessment of 6-Month Lead Prediction Skill of the GloSea5 Hindcast Experiment. Atmosphere, 25, 323-3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ang, H.-S., K.-O. Boo, and C. Cho, 2011: Introduction to the KMA-Met Office joint seasonal forecasting system and evaluation of its hindcast ensemble simulations. In 36th NOAA Annual Climate Diagonostics and Prediction Workshop, 3-6. 

  9. Kim, K., Y.-K. Cho, B.-J. Choi, Y.-G. Kim, and R. C. Beardsley, 2002: Sea level variability at Ulleung Island in the East (Japan) Sea. J. Geophys. Res., 107, 3015. 

  10. Kim, S.-J., S.-H. Woo, B.-M. Kim, and S.-D. Hur, 2011:Trend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hange nea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past 130 years. Ocean Polar Res., 33, 281-290. 

  11. Lee, K.-J., and M. H. Kwon, 2015: A prediction of North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using Teleconnection. Atmosphere, 25, 179-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S. H., D. S. Byun, B. J. Choi, and E. Lee, 2009: Estimation of the surface currents using mean dynamic topography and satellite altimeter data in the East Sea. The Sea, 14, 195-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acLachlan, C., and Coauthors, 2014: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version 5 (GloSea5): A high resolution seasonal forecast system. Quart. J. Roy. Meteor. Soc., 141, 1072-1084. 

  14. Madec, G., and the NEMO team, 2008: NEMO ocean engine. Note du Pole de modelisation de l'Institut-Pierre-Simon Laplace, 27, 401 pp. 

  15. Martin, M. J., A. Hines, and M. J. Bell, 2007: Data assimilation in the FOAM operational short-range ocean forecasting system: A description of the scheme and its impact. Quart. J. Roy. Meteor. Soc., 133, 981-995. 

  16. Minobe, S., A. Sako, and M. Nakamura, 2004: Interannual to interdecadal variability in the Japan Sea based on a new gridded upper water temperature dataset. J. Phys. Oceanogr., 34, 2382-2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