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치부에서 발치와 골결손부에 따른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수술법
Optimized Implant treatment strategy based on a classification of extraction socket defect at anterior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v.25 no.1, 2016년, pp.15 - 24  

반재혁 (BK 치과의원)

초록

전치부에서는 비록 임플란트가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심미적인 문제가 있다면 실패로 간주한다. 2003년 Kan은 임플란트의 골 레벨은 인접치아의 골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 그 후로 많은 학자들이 인접치아의 골 소실이 있는 증례에서 어떻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해왔다. 2012년 Takino가 지금까지 여러 저널을 정리 및 분류하여 Class 1부터 4로 발표하였다. Class 1과 2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 Class 3,4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서 각 분류마다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에는 쉽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인접치까지 골소실이 있는 경우는 수술이 복잡해지고 심미적 결과를 장담하기 힘들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정적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접치에 대한 골재생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과정이나 치료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 저널에서는 기존의 수술법을 단순화하여 쉽게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considered an implant failure when there is esthetic problems in the anterior area although the prosthesis function normally. In 2003, Dr. Kan et al stated that implant bone level is determined by the adjacent teeth. After that many scholars have studied how can achieve the esthetics result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1 부위는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식립을 하였고 발치와의 공간은 흡수가 느린 이종골로 이식하였다 또한 초기 고정이 우수하여 immediate provisionalization 해주었고 3개월 후 환자분의 심미적 요구도가 강하고 치아의 크라우딩 및 회전의 수정을 원하여 #12,22 치아는 라미네이트로 #11치아는 E-max crown으로 추가 치료를 하였으며 #21 임플란트는 지르코니아 지대주 및 크라운으로 최종 수복하였다.(Fig 5.
  • 발치와가 이미 충분히 치유되어 있고 연조직 경조직 모두 결손이 없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협설, 근원심, 깊이)만 정상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력있는 기공사와 작업을 한다면 심미적 결과를 어렵지 않게 이룰 수 있다.(Fig. 2) 이 환자는 #31번 치아의 만성 치주염으로 발치 후 2개월 후에 GBR없이 임플란트 식립하였고, 술후 3개월 후 PFM으로 최종 보철 수복하였다.
  • 또한 #11번 임플란트의 인접골까지의 골흡수 및 치간유두의 소실이 보여 Takino분류 Class 3 Div. 1으로 분류되어 임플란트의 제거 및 흡수가 느린 합성골과 BMP(bone morphogenic protein )를 섞어서 임플란트 제거 부위에 이식하였고 그 위에 흡수성 치단막을 적용하였다. 또한 부족한 연조직의 보강을 위해 결합조직 이식을 시행하였다.
  • 로 분류하여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42번 치아 부위는 인접치아의 골소실로 인하여 Takino 분류 Class 3 Div. 2로 분류하여 #43번 치아에 대한 치근 활택술 및 엠도게인을 이용한 치주재생요법을 실시하였고 부족한 연조직의 보강을 위해 구개부위에서 결합조직을 채취하여 이식하였다.(Fig 9.
  • 치아 동요도가 심해서 자발적으로 발치되었고. 4주후 GBR과 함께 조기 식립(Early placement)을 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시 협측에 큰 열개가 발생하여 이종골 및 동종골을 Sticky boneTM으로 혼합하여 이식하였고 흡수성 막을 사용하였다.
  • 수술은 통법에 따라 발치 및 발치와를 소파하고 인접치아인 #12, 21치아의 치근활택술 및 치근면 처치, 엠도게인을 이용한 GBR을 시행하였다. 또한 부족한 연조직을 위해 구개측으로부터 결합조직 이식을 하고 봉합 봉합하였다. (Fig.
  • 1으로 분류되어 임플란트의 제거 및 흡수가 느린 합성골과 BMP(bone morphogenic protein )를 섞어서 임플란트 제거 부위에 이식하였고 그 위에 흡수성 치단막을 적용하였다. 또한 부족한 연조직의 보강을 위해 결합조직 이식을 시행하였다. 술후 4개월 후 연조직 경조직의 치유가 양호하여 기존의 임플란트들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브릿지로 최종 수복하였다.
  • 술후 4개월 후에 치유가 잘되어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 3개월 후 프로비져널 크라운을 장착하였고 다시 2개월 후 지르코니아 지대주 및 크라운으로 최종 보철 수복 하였다.
  • 2로 분류하였다. 수술은 통법에 따라 발치 및 발치와를 소파하고 인접치아인 #12, 21치아의 치근활택술 및 치근면 처치, 엠도게인을 이용한 GBR을 시행하였다. 또한 부족한 연조직을 위해 구개측으로부터 결합조직 이식을 하고 봉합 봉합하였다.
  • A-F), 그리고 temporary implant를 식립하여 즉시 임시치아를 해주었다. 술후 4개월 #42치아 부위에 임플란트를 플렙리스로 식립하였고 프로비져널 보철물을 재제작 하였다. 2개월 후 지르코니아로 최종 보철 수복을 완료하였다.
  • 또한 부족한 연조직의 보강을 위해 결합조직 이식을 시행하였다. 술후 4개월 후 연조직 경조직의 치유가 양호하여 기존의 임플란트들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브릿지로 최종 수복하였다.(Fig 8.
  • 임플란트 식립 시 협측에 큰 열개가 발생하여 이종골 및 동종골을 Sticky boneTM으로 혼합하여 이식하였고 흡수성 막을 사용하였다. 식립 4개월 후 이차 수술 및 치은 형성을 위한 provisional Crown 장착 그리고 2개월 후 최종 보철 수복하였다. 최종 보철은 지르코니아 지대주 및 크라운으로 수복하였다.
  • 4주후 GBR과 함께 조기 식립(Early placement)을 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시 협측에 큰 열개가 발생하여 이종골 및 동종골을 Sticky boneTM으로 혼합하여 이식하였고 흡수성 막을 사용하였다. 식립 4개월 후 이차 수술 및 치은 형성을 위한 provisional Crown 장착 그리고 2개월 후 최종 보철 수복하였다.
  • 지금까지 상악 전치부 치아 결손에 대한 임플란트 치료에 대해서 발치와의 형태나 연조직의 상태를 4개의 Class로 분류하고 증례를 제시하여 식립시기와 수술방법 및 치료 옵션에 대해서 고찰했다. 환자의 대부분은 보다 안전하고 예지성 있으며 저침습적이며 치료기간이 짧은 치료법을 바라는데 이 모든 것을 만족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대상 데이터

  • 상기 환자는 #11번 치아의 심한 동요도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 결과 연조직의 퇴축과 경조직의 큰 열개가 보여 Takino 분류 Class 2 Div.
  • 상기 환자는 #12번 임플란트 부위의 염증으로 내원하였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 결과 #12번부터 #22번까지 4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있었으며 특히 #12번 부위는 협측골이 전부 흡수되어 있었고, 협측으로 누공이 형성되어 있었다.
  • 이 환자는 #11번의 동요도로 내원하였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 결과 #11번 치아는 floating tooth였고 골파괴가 양측 인접치까지 진행되었다.
  • 이 환자는 #21 치아의 수직파절로 내원하여 임상 및 CT 상 소견으로는 연조직 및 경조직의 외형이 정상이며 협측골의 두께가 1mm 이하여서 Takino Class 1 Div 2로 분류하였다.
  • 이 환자는 #32-42 브릿지의 동요도로 내원하였고 임상 및 CBCT 분석결과 #32번 치아는 치근파절이었고 #42 치아는 floating tooth였다, #43번 치아의 치근단 2/3까지 골소실이 진행되었고 치간유두는 소실되어 있었다. #32번 부위는 Takino 분류 Class 1 Div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치 즉시 임플란트에서 장기적인 심미적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발치 즉시 임플란트에서 장기적인 심미적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치와에 이상적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 지금까지 많은 선학들이 발치와를 분류, 평가하고 임플란트의 골유착과 심미성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창하고 있다.
이상적인 임플란트 치료는 무엇으로 얻어질 수 있나? 환자 치료의 결과가 단순히 아름답게 표현되는 것뿐 아니라 기능을 염두에 둔 과학적 근거를 함께 가졌을 때 비로소 진정한 심미수복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이상적인 임플란트 치료는 경조직과 연조직 처치가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기능적, 심미적인 보철물이 수반되어야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의 임플란트 치료는 환자의 심미적 요구도가 가장 높은 부위다.
많은 선학들의 임플란트의 골유착과 심미성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예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많은 선학들이 발치와를 분류, 평가하고 임플란트의 골유착과 심미성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창하고 있다. 로마린다 대학의 Caplanis 등은 2005년에 “The Extraction Defect Sounding Classification” 에서 경조직, 연조직의 상태에 따라 4가지 타입으로 분류하고 권장 술식에 대해서도 서술하였고 2007년 뉴욕대학의 Elian 등이 “A simplified Socket classification and repair technique”에 대해서 보고했다. 또한 임플란트의 bone level은 인접치의 bone level 의하여 결정된다고 2003년 Kan은 보고하였으며 2008년 Palacci도 치간 사이의 치간유두가 소실되었고 협측 연조직 및 경조직의 심각한 결손이 있을 경우가 가장 난이도가 높아서 심미적 재건이 불가능하다고 발표하였다. 이런 이유 등으로 인접치의 bone level의 소실이 많은 경우에는 발치 또는 교정, 핑크포셀린에 의한 수복이 추천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aplanis N, Lozada JL, Kan JY. Extraction defect assessment,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J Calif Dent Assoc. 2005; 33(11):853-863 

  2. Elian N, Cho SC, Froum S, Smith RB, Tarnow DP. A simplified socket classification and repair technique. Pract Proced Aesthet Dent. 2007; 19 (2):99-104 

  3. Kan JY1, Rungcharassaeng K, Umezu K, Kois JC. Dimensions of Peri-Implant Mucosa: An Evaluation of Maxillary anterior single Implants in Humans. J Periodontol. 2003 Apr; 74(4):557-62. 

  4. Palacci P, Nowzari H. Soft tissue enhancement around dental implants. Periodontol 2000. 2008; 47:113-32 

  5. Takino H. Implant Treatment Strategy based on a Classification of Extraction Socket Morphology. The Quintessence. Vol. 17/No. 10/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