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악 산림 소유역에서 선행강우지수를 이용한 하천유량 추정: 계룡산 용수천 상류
Estimation of Stream Discharge using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Models in a Small Mountainous Forested Catchment: Upper Reach of Yongsucheon Stream, Gyeryongsan Mountain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1 no.6, 2016년, pp.36 - 45  

정윤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생태연구센터) ,  고동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생태연구센터) ,  한혜성 (국립공원관리공단 계룡산사무소) ,  권홍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임은경 (국립공원관리공단 계룡산사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ability in precipitation due to climate change causes difficulties in securing stable surface water resource, which requires understanding of relation between precipitation and stream discharge. This study simulated stream discharge in a small mountainous forested catchment using antecedent p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1) 산악 산림 소유역 내 최상위수계를 대상으로 관측된 강우량과 하천수위 시계열 자료와 선행강우지수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 발생과 하천유출량의 시기적 상관성을 분석하고, 2) 하천유출량의 시기적 변동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를 파악하고 각 인자와 하천유출량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여, 3) 국내 산악 산림 소유역에서 선행강우지수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국내 최상위수계에 대해 선행강우지수와 하천유출과의 유의한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 것은 국토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산악 소유역 유출 특성 평가과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내 수자원 변동성의 예측에 기여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1) Rainfall and streamflow including stormflow and baseflow are cumulative amounts during each rainfall ev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강우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은 산간지방 및 일부 섬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지하수보다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강우는 전체의 3분의 2 가량이 여름철에 해당하는 6월~9월경에 편중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지표수자원의 이용을 위해 대규모 댐 건설을 통한 지표수 자원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Lee and Lee, 2014). 하지만 최근 들어 기후변화에 기인한 집중호우의 증가양상과 같은 강수패턴의 변화는 하천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 지표수자원의 이용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Vorosmarty et al.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은?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은 산간지방 및 일부 섬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지하수보다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강우는 전체의 3분의 2 가량이 여름철에 해당하는 6월~9월경에 편중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지표수자원의 이용을 위해 대규모 댐 건설을 통한 지표수 자원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Lee and Lee, 2014).
지표수자원의 안정적 이용을 위해 강우-유출의 시기적 변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는? , 2000). 강우-하천유출의 상관성 평가에서 강우는 비연속적인데 반해 하천유출은 강우에 연속적인 반응특성을 보인다(Ward, 1984). 따라서 지표수자원의 안정적 이용을 위해서는 강우-유출의 시기적 변동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exander, R.B., Boyer, E.W. Smith, R.A., Schwarz, G.E., and Moore, R.B., 2007, The role of headwater streams in downstream water quality, J. Am. Water Resour. Assoc., 43(1), 41-59. 

  2.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nd runoff in Korean river basins, Hydrol. Process., 22(14), 2644-2656. 

  3. Barros, A.P. and Kuligowski, R.J., 1997, Orographic effects during a severe wintertime rainstorm in the Appalachian mountains, Mon. Wea. Rev., 126(10), 2648-2672. 

  4. Bernier, P.Y., 1985, Variable source areas and storm-flow generation: an update of the concept and a simulation effort, J. Hydrol., 79(3), 195-213. 

  5. Brooca, L., Melone, F., and Moramarco, T., 2005, Empirical and conceptual approaches for soil moisture estimation in view of event-based rainfall-runoff modeling. IHP-VI Technical Documents in Hydrology 77, 1-8. 

  6. Cho, S.-H., Ha, K., Kim, T., Cheon, S.-H., and Song, M.-Y., 2007, Hydrograph separation for two consecutive rainfall events using tracers ( ${\delta}^{18}O$ & Cl). J. Geol. Soc. Korea, 43(2), 253-263. 

  7. Descroix, L., Nouvelot, J. F., and Vauclin, M., 2002, Evaluation of an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to model runoff yield in the western Sierra Madre (North-west Mexico), J. Hydrol., 263(1), 114-130. 

  8. Detty, J.M. and McGuire, K., 2010, Threshold changes in storm runoff generation at a till-mantled headwater catchment, Water Resour. Res., 46(7), W10543, doi:10.1029/2010WR009341. 

  9. Eckhardt, K., 2005, How to construct recursive digital filters for baseflow separation, Hydrol. Process., 19(2), 507-515. 

  10. Fedora, M.A. and Beschta, R.L., 1989, Storm runoff simulation using an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API) model, J. Hydrol., 112(1), 121-133. 

  11. Garstka, W.V., Love, L.D., Goodel, B.C., and Bertle, F.A., 1958, Section 7--Recession analyses. In: Factors Affecting Snowmelt and Streamflow, USDA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Ft. Collins, Colo., 63-70. 

  12. Gwak, Y.-S., Kim, S.-J., Lee, E.-H., Hamm, S.-Y., and Kim, S.H., 2016, Soil water storage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at gwangneung humid-forested hillslope, Korea J. Agr. For. Meteorol., 18(1), 30-41. 

  13. Heller, K. and Kleber, A. 2016, Hillslope runoff generation influenced by layered subsurface in a headwater catchment in Ore Mountains, Germany. Environ. Earth Sci., 75(11), 1-15. 

  14. Heo, C.-H., Lim, K.-S., Ahn, K.S., and Hong, H.K., 2002, Flood runoff simulation model by using API, J. Korea Water Resour. Assoc., 35, 331-344. 

  15. Hong, E.-M., Choi, J.-Y., Nam, W.-H., and Yoo, S.-H., 2009, Analysis of soil moisture recession characteristics in conifer forest, J. Korean Soc. Agr. Eng., 53(4), 1-9. 

  16. Kim, G.-B., Yun, H.-H., and Kim, D.-H., 2006,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groundwater levels: A proposal for establishment of drought index wells, J. KoSSGE, 11(3), 31-42. 

  17. Kim, N.-H., Hamm, S.-Y., Kim, T.-Y., Jung, J.Y., Jeon, H.T., and Kim, H.S., 2008, Estimation of groundwater storage change and its relationship with geology in Eonyang area, Ulsan megacity, J. Eng. Geol., 18, 263-276. 

  18. Kim, S.-H., 2014, Hydrometric transit times along transects on a steep hillslope, Water Resour. Res., 50(9), 7261-7284. 

  19. Kim, S.-U., Yu, H.-S., and Woo, Y.-K., 1976, Geological map of Gongju, 1:50,000, KIGAM, 29 p. (in Korean) 

  20. KNPS, 2010, Resource Monitoring of Gyeryong National Park, 51-67. (in Korean) 

  21. KNPS, 2012, Nature Resources Investigation of Gyeryong National Park, The report of research of KNPS, 652 p. (in Korean) 

  22. Kobashi, S. and Suzuki, M., 1987, The critical rainfall (danger index) for disasters caused by debris flows and slope failures, IAHS-AISH publication 165, 201-211. 

  23. Lee, I.-S. and Lee, H., 2014, Analysis of secular changes i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mall forested watershed using a baseflow recession curve, J. Korean For. Soc., 103(3), 383-391. 

  24. Legates, D.L. and McCabe Jr., G.J., 1999, Evaluating the use of "goodness-of-fit" measures in hydrologic and hydroclimatic model validation, Water Resour. Res., 35(1), 233-241. 

  25. McGlynn, B.L., 2003, Distributed assessment of contributing area and riparian buffering along stream networks, Water Resour. Res., 39(4), doi:10.1029/2002WR001521. 

  26. McGuire, K.J. and McDonnell, J.J., 2010, Hydrological connectivity of hillslopes and streams: characteristic timescales and nonlinearities, Water Resour. Res., 46(10), W10543, doi:10.1029/2010WR009341. 

  27. Moon, S.K. and Woo, N.C. 2001,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io using cumulative precipitation and water-level change, J. Korean Soc. Groundwater Environ., 6(1), 33-43. 

  28.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 Hydrol., 10(3), 282-290. 

  29. Park, J.-S., Kim, K.-T., and Choi, C.-K., 2012, Analysis on rainfall characteristics in mountainous river basin, Conferenc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Jeongseon, Korea, p. 886. 

  30. Penna, D., Tromp-van Meerveld, H.J., Gobbi, A., Borga, M., and Dalla Fontana, G., 2011, The influence of soil moisture on threshold runoff generation processes in an alpine headwater catchment, Hydrol. Earth Syst. Sci., 15(3), 689-702. 

  31. Sidle, R.C., Tsuboyama, Y., Noguchi, S., Hosoda, I., Fujieda, M., and Shimizu, T., 2000, Stormflow generation in steep forested headwaters: a linked hydrogeomorphic paradigm, Hydrol. Process., 14(3), 369-385. 

  32. Sidle, R.C., Kim, K., Tsuboyama, Y., and Hosoda, I.,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mple hydrogeomorphic model for headwater catchment, Water Resour. Res., 47(3), W00H13. 

  33. VanSickle, J. and Beschta, R.L., 1983, Supply-based models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streams, Water Resour. Res., 19(3), 768-778. 

  34. Vorosmarty, C.J., Green, P., Salisbury, J., and Lammers, R.B., 2000, Global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from climate change and population growth. Science, 289(5477), 284-288. 

  35. Ward, R.C., 1984, On the response to precipitation of headwater streams in humid areas, J. Hydrol., 74(1), 171-189. 

  36. Western, A. W. and Grayson, R. B., 1998, The Tarrawarra data set: soil moisture patterns, soil characteristics and hydrological flux measurements, Water Resour. Res., 34(10), 2765-27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