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전도성 고분자 위에 고정된 압타머에 흡착된 테트라브롬페놀프탈레인 에틸 에스테르를 이용한 트롬빈 검출
Thrombin Detection with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er Adsorbed on Aptamer-attached Conductive Polymer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9 no.4, 2016년, pp.134 - 140  

정새로미 (부산대학교 화학과) ,  노희복 (부산대학교 화학과) ,  심윤보 (부산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산화환원 표지자를 이용한 압타머 기반의 전기화학적 트롬빈 검출 바이오 센서를 개발하였다. 1차 지방족 아민(primary aliphatic amine) 으로 개질한 압타머를 전기 전도성 고분자 poly-(5,2':5',2"-terthiophene-3'-carboxylic acid) (polyTTCA) 층 위에 공유결합을 통해 고정하여 센서 표면을 개질하였다.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er (KTBPE)를 압타머와 상호 작용시켜 전기화학적인 산화환원 표지자로 사용하였다. 압타머로 개질한 층 위에 KTBPE의 산화반응을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최종 센서의 특성은 voltammetry, QCM, and ESCA 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KTBEF와 압타머 센서와 반응 후, KTBPE의 산화 피크는 감소하였다. 센서의 선형 동적 범위는 10.0 ~ 100.0 nM 이었으며, 이 때 검출 한계$1.0{\pm}0.2nM$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ptamer-based biosensor using a new redox indicator has been examined for the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thrombin. The aptamer modified primary aliphatic amine was covalently immobilized onto poly-(5,2':5',2"-terthiophene-3'-carboxylic acid) (polyTTCA) layer.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KTBPE와의 결합으로 인해 550, 760 mV에서 새로운 산화 피크를 관찰 하였다 (inset Fig. 2(A)).
  • DNA 염기의 산화과정을 직접 관찰하기 위해 DPV를 이용하여 트롬빈 결합 전·후의 압타머 산화 피크를 비교 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KTBPE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표지자(indicator)이다. DPV를 이용하여 0.35에서 1.1 V까지 aptamer/TTCA/GC, KTBPE/aptamer/TTCA/GC와 thrombin/KTBPE/aptamer/TTCA/GC 전극을 각각 5 mV/s의 주사 속도로 측정하였다. Fig.
  • KTBPE가 결합된 센서의 선택성 (selectivity)을 측정하기 위해 20.0 nM의 트롬빈과 1.0 mg/mL 농도의 면역글로블린G(IgG), 시토크롬 C(Cytochrome C; Cyt C), 소 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 BSA) 과 반응시킨 전극을 각각 비교하였다. Fig.
  • 그 결과 표지자를 이용하여 압타머의 구조 차이를 전기화학적으로 알아 볼 수 있다. KTBPE의 pH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리질 탄소 전극을 이용하여 1.0 mM의 KTBPE 용액에서 DPV를 측정하였다. pH가 작아질수록 더 양(positive)의 전위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트롬빈과의 상호 작용을 전기화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KTBPE를 산화/환원 표지자로 사용였다. QCM을 이용하여 TTCA로 변성된 전극에 압타머가 결합한 양을 정량 분석하였고, XPS 분석을 통해 펩타이드 결합으로 인한 NH, N-C 결합을 확인하였다. 트롬빈의 검출의 선형 동적 범위는 1.
  • XPS 분석을 이용하여 각각의 전극 변성과정에 따른 특정 작용기(specific functional group)의 원소를 분석하였다. 먼저 유리질 탄소 디스크에 TTCA 폴리머를 형성한 한 후 카르복실 산 그룹을 가진 TTCA polymer에 아민 그룹을 가진 압타머를 2시간 동안 결합시켰다.
  • XPS 분석을 이용하여 각각의 전극 변성과정에 따른 특정 작용기(specific functional group)의 원소를 분석하였다. 먼저 유리질 탄소 디스크에 TTCA 폴리머를 형성한 한 후 카르복실 산 그룹을 가진 TTCA polymer에 아민 그룹을 가진 압타머를 2시간 동안 결합시켰다. 전극에 압타머가 공유 결합으로 고정화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XPS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카르복실 산 그룹을 가진 단량체TTCA를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전기 중합하여 합성된 polyTTCA와 아민 그룹을 가지는 압타머를 변성 전극으로 사용하여 트롬빈의 검출 센서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트롬빈과의 상호 작용을 전기화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KTBPE를 산화/환원 표지자로 사용였다.
  • 이러한 KTBPE의 성질을 이용하여 압타머에 반응시킨 후 시차 펄스 전압전류법 (different pulse voltammetry, DPV)를 통해서 트롬빈을 정량하였다. 뿐만 아니라, 센서 물질 고정 및 특성 확인을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수정 진동자 저울 (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을 통해서 수행 하였다.
  • 압타머의 성질을 이용하여 KTBPE와 압타머의 선형-입체 구조의 변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차이를 DPV로 비교해 보았다. Fig.
  • 유리질 탄소 전극을 1.0 mM의 TTCA 모노머 용액에 넣고 CV를 이용하여 0.0 에서 1.6 V까지의 전위 범위에서 100 mV/s의 주사속도로 1회 순환시켜 전기 중합 하였다. polyTTCA로 변성된 전극을 10.
  • 이 연구에서는, 트롬빈과 압타머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er (KTBPE)를 산화/환원 표지자 (indicator) 로 사용하였다. KTBPE는 브로모페놀 블루 (bromophenol blue)의 계열로 단일 전하 염료 (singly charged dye)이며, 전기화학적, 광학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 먼저 유리질 탄소 디스크에 TTCA 폴리머를 형성한 한 후 카르복실 산 그룹을 가진 TTCA polymer에 아민 그룹을 가진 압타머를 2시간 동안 결합시켰다. 전극에 압타머가 공유 결합으로 고정화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XPS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TTCA polymer에서 없었던 압타머의 amine으로 인한 N1s peak을 400.

대상 데이터

  • 20) NH2 으로 변성화된 압타머는 Bioneer (Korea)로부터 구입하였고 염기서열은 NH2-C6-GGT TGG TGT GGT TGG (15 mer)이다.
  • Trizma base( DNase and Protease - None detected),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er potassium salt (KTBPE), 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HEPES),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dichloromethane anhydrous (99.8%), tetra-n-buthylammoniumperchlorate (TBAP)는 SigmaAldrich C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5,2':5',2"-terthiophene-3'-carboxylic acid (TTCA)은 자체 합성하였다.
  • , USA) 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3전극계로써 유리질 탄소 (glassy carbon)을 작업 전극, Ag/AgCl (포화 KCl)을 기준 전극, 그리고 Pt 선을 상대 전극으로 각각 사용 하였다. 전극 표면의 이미지와 성분 분석을 위한 XPS 는 VG Scientific ESCALAB 250 그리고 QCM은 Zeiss FE-SEM Supra40 VP (ESCALAB 250, Germany) SEIKO EG&G model QCA 917 PAR model 263A potentiostat/galvanostat (USA) (금나노 입자가 코팅된 전극 (면적: 0.
  • 실험에 사용된 5,2':5',2"-terthiophene-3'-carboxylic acid (TTCA)은 자체 합성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KTBPE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표지자(indicator)이다. DPV를 이용하여 0.
  • 실험에 사용한 압타머는 2개의 사중 구조(quartet)가 쌓여있고(stacking), 의자모양으로 접혀있는 구조를 가진다. DNA는 구조 변화에 따라 활성을 잃게 되고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생체내의 반응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DNA의 입체 (folding)-선형 (unfolding) 구조의 형태 변환은 중요한 요소이다.
  • 전극 표면의 이미지와 성분 분석을 위한 XPS 는 VG Scientific ESCALAB 250 그리고 QCM은 Zeiss FE-SEM Supra40 VP (ESCALAB 250, Germany) SEIKO EG&G model QCA 917 PAR model 263A potentiostat/galvanostat (USA) (금나노 입자가 코팅된 전극 (면적: 0.196 cm2 ; 9.0 MHz; AT-cut quartz crystal))를 이용하였다.
  • 20) NH2 으로 변성화된 압타머는 Bioneer (Korea)로부터 구입하였고 염기서열은 NH2-C6-GGT TGG TGT GGT TGG (15 mer)이다. 트롬빈은 Haematologic Technologies Inc., 에서 구입하였다. 동결 건조된 압타머는 3차 증류수로 1 × 10-4 M 의 농도로 녹인 후 냉동고에서 보관하고 매 실험마다 꺼내어 10.

이론/모형

  • KTBPE는 1차, 2차, 3차 아민 (amine)과 방향족 3차아민 (aromatic tertiary amine)과 결합하여 전하 이동 착물 (charge transfer complex)을 형성한다. 이러한 KTBPE의 성질을 이용하여 압타머에 반응시킨 후 시차 펄스 전압전류법 (different pulse voltammetry, DPV)를 통해서 트롬빈을 정량하였다. 뿐만 아니라, 센서 물질 고정 및 특성 확인을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수정 진동자 저울 (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을 통해서 수행 하였다.
  •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전압전류법 (cyclic voltammetry, CV)과 시차 펄스 전압전류법 (DPV)은 Kosentech의 potentiostat/galvanostat model KST P-2 (South Korea)와 BAS CV-50W voltammetric analyzer (Bioanalytical Systems Inc., USA) 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3전극계로써 유리질 탄소 (glassy carbon)을 작업 전극, Ag/AgCl (포화 KCl)을 기준 전극, 그리고 Pt 선을 상대 전극으로 각각 사용 하였다.
  • 본 연구는 카르복실 산 그룹을 가진 단량체TTCA를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전기 중합하여 합성된 polyTTCA와 아민 그룹을 가지는 압타머를 변성 전극으로 사용하여 트롬빈의 검출 센서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트롬빈과의 상호 작용을 전기화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KTBPE를 산화/환원 표지자로 사용였다. QCM을 이용하여 TTCA로 변성된 전극에 압타머가 결합한 양을 정량 분석하였고, XPS 분석을 통해 펩타이드 결합으로 인한 NH, N-C 결합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압타머의 특징은 무엇인가? 압타머 (aptamer)는 단백질, 펩타이드, 지질 등과 같은 분자 또는 크기가 작은 유기, 무기화합물 등 다양한 표적물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일 가닥 핵산 (DNA또는 RNA)을 말한다. 1) 이러한 압타머는 항원·항체 반응과 같은 개념의 바이오센서 시스템에 도입이 가능하며,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저렴하게 대량 생산 할 수 있다. 또한, 압타머 고정화 (immobilization) 기술은 단백질 고정화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며 열 안정성, 정제의 용이성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압타머를 이용한 새로운 친화성 감지 시스템(affinity sensing system)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압타머란 무엇인가? 압타머 (aptamer)는 단백질, 펩타이드, 지질 등과 같은 분자 또는 크기가 작은 유기, 무기화합물 등 다양한 표적물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일 가닥 핵산 (DNA또는 RNA)을 말한다. 1) 이러한 압타머는 항원·항체 반응과 같은 개념의 바이오센서 시스템에 도입이 가능하며,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저렴하게 대량 생산 할 수 있다.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er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트롬빈과 압타머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tetrabromophenolphthalein ethyl ester (KTBPE)를 산화/환원 표지자 (indicator) 로 사용하였다. KTBPE는 브로모페놀 블루 (bromophenol blue)의 계열로 단일 전하 염료 (singly charged dye)이며, 전기화학적, 광학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KTBPE는 1차, 2차, 3차 아민 (amine)과 방향족 3차아민 (aromatic tertiary amine)과 결합하여 전하 이동 착물 (charge transfer complex)을 형성한다. 이러한 KTBPE의 성질을 이용하여 압타머에 반응시킨 후 시차 펄스 전압전류법 (different pulse voltammetry, DPV)를 통해서 트롬빈을 정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 Tuerk and L. Gold, Science, 249, 505-510 (1990). 

  2. A. D. Ellington and J. W. Szostak, Nature, 346, 818-822 (1990). 

  3. A.-E. Radi, J. L. A. Sanchez, E. Baldrich, and C. K. O'Sullivan, J. Am. Chem. Soc., 128, 117 (2006). 

  4. J. A. Hansen, J. Wang, A.-N. Kawde, Y. Xiang, K. V. Gothelf, and G. Collins, J. Am. Chem. Soc., 128, 2228 (2006). 

  5. A.-E. Radi, J. L. A. Sanchez, E. Baldrich, and C. K. O'Sullivan, Anal. Chem., 77, 6320 (2005). 

  6. M. Liss, B. Petersen, H. Wolf, and E. Prohaska, Anal. Chem., 56, 95-97 (2002). 

  7. C. K. O'Sullivan, Anal. Bioanal. Chem., 372, 44-48 (2002). 

  8. F. W. Scheller, U. Wollenberg, A. Warsinke, and F. Lisdat, Curr. Opin. Biotechnol., 249, 505-510 (1990). 

  9. S. Tombelli, M. Minunni, E. Luzi, and M. Mascini, Bioelectrochemistry, 67, 135-141 (2005). 

  10. S. Klug and M. Famulok, Mol. Biol. Reports, 20, 97-107 (1994). 

  11. K. Min, M. Cho, S.-Y. Han, Y.-B. Shim, J. Ku, and C. Ban, Biosens. Bioelectron., 23, 1819-1824 (2008). 

  12. Y. Zhu, P. Chandra, K.-M. Song, C. Ban, and Y.-B. Shim, Biosens. Bioelectron., 36, 29-34 (2012). 

  13. T. A. Mir, J.-H. Yoon, N. G. Gurudatt, M.-S. Won, and Y.-B. Shim, Biosens.Bioelectron., 74, 594-600 (2015). 

  14. P. Chandra, H.-B. Noh, M.-S. Won, and Y.-B. Shim, Biosens. Bioelectron., 26, 4442-4449 (2011). 

  15. T. Hianik, V. Ostatna, M. Sonlajtnerova, and I. Grman, Bioelectrochemistry, 70, 127-133 (2007). 

  16. C. M. Olsen, W. H. Gmeiner, and L. A. Marky, J. Phys. Chem. B, 110, 6962-6969 (2006). 

  17. X. Mao and W. H. Gmeiner, Biophys. Chem., 113, 155-160 (2005). 

  18. I. Smirnov and R. H. Shafer, Biochemistry, 39, 1462-1468 (2000). 

  19. Md. A. Rahman, J. I. Son, M.-S. Won, and Y.-B. Shim, Anal. Chem., 81, 6604-6611 (2009). 

  20. T.-Y. Lee, S.-C. Shin, and Y.-B. Shim, Synth. Met., 126, 105-110 (2002). 

  21. N.-H. Kwon, Md. A. Rahman, M.-S. Won, and Y.-B. Shim, Anal. Chem., 78, 52-60 (2006). 

  22. H. Cai, T. M.-H. Lee, and I.-M. Hsing, Sens. Actuator B-Chem., 114, 433-437 (2006). 

  23. G. S. Bang, S. Cho, and B.-G. Kim, Biosens. Bioelectron., 21, 863-870 (2005). 

  24. T. Hianik, V. Ostatna, Z. Zajacova, E. Stoikova, and G. Evtugyn, Bioorg. Med. Chem. Lette., 15, 291-295 (2005). 

  25. I. Koper, Mol. BioSyst., 3, 651-65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