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PI 특성 정보기반 악성 애플리케이션 식별 기법
A Scheme for Identifying Malicious Applications Based on API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6 no.1, 2016년, pp.187 - 196  

조태주 (숭실대학교) ,  김현기 (숭실대학교) ,  이정환 (숭실대학교) ,  정문규 (삼성전자) ,  이정현 (숭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악성코드를 삽입한 후 재서명하여 배포하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공격을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나 개인정보 유출 등의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메소드와 API로 구성된다. 이중 플랫폼의 리소스에 접근하며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것은 API이고, 사용자가 작성한 메소드 역시 API를 이용하며 기능적 특징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주로 활용하는 민감한 API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악성애플리케이션이 어떤 행위를 하고, 어떤 API 를 사용하는지 사전에 식별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사용하는 API를 토대로 API의 특성정보를 기반으로 나이브 베이즈 분류 기법을 적용하여 비슷한 기능을 하는 API에 대해 기계 학습하도록 한다. 이렇게 학습된 결과를 토대로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주로 사용하는 API를 분류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악성 위험 정도에 대한 정량적 판단 기준을 제시한다. 따라서, 제안 기법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앱 보안성을 사전에 파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droid applications are inherently vulnerable to a repackaging attack such that malicious codes are easily inserted into an application and then resigned by the attacker. These days, it occurs often that such private or individual information is leaked. In principle, all Android applications ar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API를 악성 애플리케이션 관점에서 분석한다.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행위를 하고, 어떤 API 를 사용하는지 분석하고 사용하는 API를 토대로 API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비슷한 기능을 하는 API를 학습하고 분류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악성 애플리케이션 API 분류를 위해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행위 및 주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API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애플리케이션은 총 194개로 해당 정보는 Contagio[13]와 VirusShare[14]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 본 논문에서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행위를 하고, 어떤 API 를 사용하는지 분석하고 어떤 API를 사용하는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토대로 API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전처리 과정, 벡터구성, 검증의 단계를 통한 나이브 베이즈 분류법을 통해 비슷한 기능을 하는 API를 학습하고 분류하였다.

가설 설정

  • 나이브 베이즈 분류[9][10]는 나이브 베이즈 정리를 근거로 각 특성들의 확률을 파라미터로 하여 부류를 결정 하는 기법이다. 나이브 베이즈 분류에서는 모든 특성 값은 서로 독립임을 가정하며, 파라미터의 추정은 최대 우도 방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무엇에 취약한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악성코드를 삽입한 후 재서명하여 배포하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공격을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나 개인정보 유출 등의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무엇인가? 이러한 공격을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나 개인정보 유출 등의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메소드와 API로 구성된다. 이중 플랫폼의 리소스에 접근하며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것은 API이고, 사용자가 작성한 메소드 역시 API를 이용하며 기능적 특징을 나타낸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리패키징 공격은 어떤 피해를 주는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악성코드를 삽입한 후 재서명하여 배포하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공격을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나 개인정보 유출 등의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메소드와 API로 구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 Enck, D. Octeau, P. McDaniel, and S. Chaudhuri, "A Study of Android Application Security," Proceedings of the 20th USENIX conference on Security, p.21-21, Aug. 2011. 

  2. J. H. Jung, J. Y. Kim, H. C. Lee, and J. H. Yi, "Repackaging Attack on Android Banking Applications and Its Countermeasures," Journal of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s, vol.73, pp. 1421-1437, June 2013. 

  3. T. J. Cho, G. B. Na, D. G. Lee, and J. H. Yi "Account Forgery and Privilege Escalation Attacks on Android Home Cloud Devices," Advanced Science Letters, vol. 21, pp. 381-386, Mar. 2015. 

  4. C. Collberg and J. Nagra. "Surreptitious Software: Obfuscation, Watermarking, and Tamper Proofing for Software Protection," Addison Wesley Professional, 2009. 

  5. C .Collberg, C.Thomborson, and D.Low, "A Taxonomy of Obfuscating Transformations," Technical report 148,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the University of Auckland, Auckland, New Zealand, 1997. 

  6. F. Zhang, H. Huang, S, Zhu, D. Wu, and P. Liu, "ViewDroid: towards obfuscation- resilient mobile application repackaging detection," Proceedings of the 2014 ACM conference on Security and privacy in wireless & mobile networks, pp.25-36, July 2014. 

  7. DEX File Format, http://source.android.com/devices/tech/dalvik/dex-format. html 

  8. Android API Reference, http://developer.android.com/reference/ 

  9. A. McCallum and K. Nigam, "A comparison of event models for naive bayes text classification," AAAI-98 Workshop on Learning for Text Categorization, Vol. 752, pp. 41-48, 1998. 

  10. D. Pavlov, R. Balasubramanyan, S. Kapur, and J. Parikh, "Document preprocessing for naive Bayes classification and clustering with mixture of multinomials," Proceedings of the tenth ACM SIGKD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829-834, Aug. 2004. 

  11. ASMDEX, http://asm.ow2.org/asmdex-index.html 

  12. Bytecode, http://source.android.com/devices/tech/dalvik/dalvik-bytecode.html 

  13. Contagio, http://contagiominidump.blogspot.kr/ 

  14. VirusShare, http://virusshare.com/ 

  15. Apktool, http://ibotpeaches.github.io/Apktool/ 

  16. Anubis, https://anubis.iseclab.org/ 

  17. Virus Bulletin, http://www.virusbtn.com/resources/glossary/malware.x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