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춘천과 영월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특성 및 고농도 원인 분석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Measured in Two Different Functional Areas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Enhancing Their Concentrations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2 no.1, 2016년, pp.100 - 113  

조성환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김현웅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한영지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김우진 (강원대학교 병원 환경보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M_{2.5}$ and $PM_{2.5-10}$ concentrations were identified in two different functional areas including Chuncheon and Youngwol, Korea. Even though the anthropogenic emission rates of $PM_{2.5}$ and $PM_{10}$ are appro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특성이 뚜렷이 다른 두 지역, 춘천과 영월을 대상으로 PM10 및 PM2.5의 농도 특성을 살펴보고 고농도 현상을 야기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시작되었다. 춘천은 분지형태의 도시로 인위적 배출원에 의한 PM10 및 PM2.
  • 강원도는 인구수는 적으나 대규모의 시멘트 및 석회공장이 위치해 있어 미세먼지 배출량이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및 석회 공장에서의 배출로 인해 강원도 내에서 PM10 및 PM2.5의 배출량이 가장 높은 영월군과 중대규모 점오염원이 존재하지 않는 춘천시에서 약 2년간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체 측정 기간 동안의 평균 PM10 및 PM2.
  • 현재 영월군에는 환경부의 자동측정망은 존재하지 않으나 시멘트 업체와 지자체가 함께 쌍용리와 신천리에 대기측정소를 각각 설치하여 PM10을 측정 중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춘천과 영월의 PM2.5, PM10, PM2.5-10 농도의 경향성을 살펴보고,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두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의 지역적 특이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두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특이성이 파악되면 미세먼지 저감 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5의 농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춘천은 빈번한 안개의 발생으로 인해 2차 에어로졸의 형성이 활발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다양한 기상 조건이 PM2.5 및 PM10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 장에서 더 논의하고자 한다. 둘째, 춘천에서 가장 높은 PM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는 직경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대기 중 미세먼지는 인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가시도 저하, 구름 형성, 기후변화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미세먼지는 직경이 10 μm 이하인 PM10과 직경이 2.5 μm 이하인 PM2.5로 분류된다. 직경이 2.
대기 중 미세먼지가 미치는 영향은? 대기 중 미세먼지는 인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가시도 저하, 구름 형성, 기후변화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미세먼지는 직경이 10 μm 이하인 PM10과 직경이 2.
대기 중 미세입자 측정 방법(US EPA, 1999)에 따라, 춘천에서 시료 채취한 과정은? 5 시료는 일반적으로 3일에 한 번씩 24시간 동안 채취를 하였으며 구체적인 시료 채취와 분석은 미국 환경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의 대기 중 미세입자 측정 방법(US EPA, 1999)을 따랐다. 춘천의 경우는 사이클론(URG Corporation)과 필터 팩(URG Corporation)을 사용하여 테플론 필터에 채취하였으며 펌프의 유량은 16.7LPM, 중량측정은 검출한계 10-5 g인 화학저울로 정량하였다. 영월의 경우는 초미세먼지 연속채취기(PMS-103, APM Engineering)를 이용하여 테플론 필터에 채취하였으며 춘천과 마찬가지로 유량은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ldabe, J., D. Elustondo, C. Santamaria, E. Lasheras, M. Pandolfi, A. Alastuey, X. Querol, and J.M. Santamaria (2011) Chemical characterisa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and $PM_{10}$ at rural, urban and traffic sites in Navarra (North of Spain), Atmos. Res., 102(1), 191-205. 

  2. Gwangju Region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http://blog.naver.com/kj_nalssi/20123700977 

  3. Han, Y.J., H.W. Kim, S.H. Cho, P.R. Kim, and W.J. Kim (2015) Metallic elements in $PM_{2.5}$ in different functional areas of Korea: Concentrations and source identification, Atmos. Res., 153, 416-428. 

  4. Healy, R.M., B. Temime, K. Kuprovskyte, and J.C. Enger (2009)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Gas/Particle Partitioning and Aerosol Mass Yield in the Photooxidation of p-Xylene, Environ. Sci. Technol., 43, 1884-1889. 

  5. Jia, L. and Y. Xu (2014)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on Ozone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from the Photooxidation of Benzene and Ethylbenzene, Aerosol. Sci. Technol., 48, 1-12. 

  6. Jung, J.H. and Y.J. Han (2008)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M_{2.5}$ and Its Ionic Constituents in Chuncheon, Korea, J. KOSAE, 24(6), 682-6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mens, R.M., H. Zhang, E.H. Chen, Y. Zhou, H.M. Parikh, R.L. Wilson, K.E. Galloway, and E.P. Rosen (2011)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from toluene in an atmospheric hydrocarbon mixture: Water and particle seed effects, Atmos. Environ., 45, 2324-2334. 

  8. Kang, E.H., W.H. Brune, S.W. Kim, S.C. Yoon, M.H. Jung, and M.H. Lee (2011) Secondary aerosol forming potential of air masses observed at Jeju, Korea : Experimental Potential Aerosol Mass (PAM) chamber study, APJAS., Vol. 2011 No. 10-2 [2011]. 

  9. Myles, L., R.J. Dobosy, T.P. Meyers, and W.R. Pendergrass (2009) Spatial variability of sulfur dioxide and sulfate over complex terrain in East Tennessee, USA, Atmos. Environ., 43, 3024-3028. 

  10. Myles, L., W.R. Pendergrass, C.A. Vogel, A. Yerramilli, V.B.R Dodal, B.R. Dodla, H.P. Dasari, V.S. Challa, F. Tuluri, J.M. Baham, R. Hughes, C. Patrick, J. Young, and S.J. Swanier (2010) J3. 4 Evaluation of $PM_{2.5}$ source regions over the Mississippi Gulf Coast using WRF/HYSPLIT modeling approach. 16th Conference on Air Pollution Meteorology, 17-21 January 2010, Atlanta, GA, USA. 

  11. Pandolfi, M., Y.G. Castanedo, A. Alastuey, J.D. ed la Rosa, E. Mantilla, A.S. de la Campa, X. Querol, J. Pey, F. Amato, and T. Moreno (2011). Source apportionment of $PM_{10}$ and $PM_{2.5}$ at multiple sites in the strait of Gibraltar by PMF: impact of shipping emissions, Environ. Sci. Pollut. Res., 18(2), 260-269. 

  12. Seinfeld, J.H. and S.N.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 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239-244, 507-508, 531-537. 

  13. Song, Y., X. Wang, B.A. Maher, F. Li, C. Xu, X. Liu, X. Sun, and Z. Zhang (2016) The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impacts of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in China, J. Clean. Prod., 112, 1312-1318. 

  14. U.S. EPA (1999) Compendium Method IO-4.2; Determination of reactive acidic and basic gases and strong acidity of atmospheric fine particles (/2.5 ${\mu}m$ ), EPA/625/R-96/010a. 

  15. Zhou, Y., H. Zhang, H.M. Parikh, E.H. Chen, W. Rattanavaraha, E.P. Rosen, W. Wang, and R.M. Kamens (2011)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from xylenes and mixtures of toluene and xylenes in an atmospheric urban hydrocarbon mixture: Water and particle seed effects (II), Atmos. Environ., 45, 3882-38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