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적외선 확산반사 분광법을 이용한 흉터치료 평가
Evaluation of the Scar Treatment using Near Infrared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7 no.1, 2016년, pp.53 - 60  

장익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의공학과) ,  윤종인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의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itoring of dermal collagen is important to assess various scar conditions, and many diagnostic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quantify collagen contents in scar tissue. In this study, Monte Carlo simulation was used to evaluate diffuse reflectance distributions in scar condition by a near-infra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절개식 근적외선 레이저 치료 중에 흉터조직 내부로부터 산란되는 반사광을 이용한 흉터의 치료과정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정상 조직과 흉터조직 모델을 구성하고 치료용 레이저 사양에 맞춘 1064 nm 파장의 근적외선 레이저를 모델에 조사하여 깊이에 따른 광자의 흡수 및 산란정보를 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해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비절개식 근적외선 레이저 치료 중에 흉터조직 내부로부터 산란되는 반사광을 측정하여 흉터의 치료과정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매질로부터 이동해온 확산반사 값은 매질의 흡수와 산란의 성질에 의한 결과이므로 매질의 광학적 특성, 광자가 이동한 깊이와 같은 정보들을 측정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비절개식 근적외선 레이저 흉터치료 중 나타나는 확산반사 광을 흉터의 치료과정 모니터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시도된 기초연구이다. Monte Carlo simulation을 이용하여 피부조직과 흉터에서 나타나는 확산반사 광과 fluence 분포를 측정하여 흉터치료 평가 가능성을 입증하였고, 최적의 측정거리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시뮬레이션의 알고리즘은 그림 1과 같이 진행된다. 광자 하나 당 한 번씩 수행되며 각 광자는 산란, 흡수의 과정을 확률적으로 거친 후 최종적으로 흡수 소멸된다고 가정된다. 초기상태에서 광자의 무게는 1로 되며, 광자가 매질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현상에 의해 광자의 무게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실제 매질로 입사하는 광자의 무게는 표면에서 반사되는 값을 제외한 값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흉터란? 흉터란 외부적 원인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으로 나타나는 피부모양의 비가역적 피부변성을 의미한다[1]. 흉터는 진피층의 85%인 콜라겐이 과도하게 재생산되어 손상된 공간을 채우는데, 재생성된 콜라겐의 방향성, 두께, 종류, 합성, 결합 정도에 따라 편평 흉터(normotrophic scar), 비대성 흉터(hypertrophic scar), 켈로이드성 흉터(keloidal scar)로 구별된다[2-4].
흉터의 구분은? 흉터란 외부적 원인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으로 나타나는 피부모양의 비가역적 피부변성을 의미한다[1]. 흉터는 진피층의 85%인 콜라겐이 과도하게 재생산되어 손상된 공간을 채우는데, 재생성된 콜라겐의 방향성, 두께, 종류, 합성, 결합 정도에 따라 편평 흉터(normotrophic scar), 비대성 흉터(hypertrophic scar), 켈로이드성 흉터(keloidal scar)로 구별된다[2-4]. 또한 흉터의 종류에 따라 콜라겐 타입 I과 타입 III의 비율은 다르게 나타나지만, 콜라겐이 정상피부보다 과다 생성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auglitz G, Korting H, Pavicic T, Ruzicka T and Jeschke M, "Hypertrophic scarring and keloids: pathomechanisms and current and emerging treatment strategies", Mol med, vol. 17, no. 1-2, pp. 113-125, 2011. 

  2. Verhaegen P, Van Zuijlen P, Pennings N, Marie J, Niessen F, Van der horst C and Middelkoop E, "Differences in collagen architecture between keloid, hypertrophic scar, normotrophic scar, and normal skin: An objective histopathological analysis", Wound Repair Regen, vol. 17, no. 5, pp. 649-656, 2009. 

  3. Muir I, "On the nature of keloid and hypertrophic scars", Br J Plast Surg, vol. 43, no. 1, pp. 61-69, 1990. 

  4. Abergel R, Pizzurro D, Meeker C, Lask G, Matsuoka L, Minor R, Chu ML and Uitto J,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nnective tissue in keloids and analysis of collagen metabolism in keloid fibroblast cultures", J Invest Dermatol, vol. 84, no. 5, pp. 384-390, 1985. 

  5. Friedman D, Boyd C, Mackenzie J, Norton P, Olson R and Deak S, "Regulation of collagen gene expression in keloids and hypertrophic scars", J Surg Res, vol. 55, no. 2, pp. 214-222, 1993. 

  6. Craig R, Schofield J and Jackson D, "Collagen biosynthesis in normal and hypertrophic scars and keloid as a function of the duration of the scar", Br J Surg, vol. 62, no. 9, pp. 741-744. 

  7. Burd A and Huang L, "Hypertrophic response and keloid diathesis: two very different forms of scar", Plast Reconstr Surg, vol. 116, no. 7, pp. 150e-157e, 2005. 

  8. Wolfram D, Tzankov A, Pulzl P and Katzer H, "Hypertrophic scars and keloids-a review of their pathophysiology, risk factors, and therapeutic management", Dermatol Surg, vol. 35, no. 2, pp. 171-181, 2009. 

  9. Berman B, Perez O, Konda S, Kohut B, Viera M, Delgado S, Zell D and Li Q, "A review of the biologic effects,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silicone elastomer sheeting for hypertrophic and keloid scar treatment and management", Dermatol Surg, vol. 33, no. 11, pp. 1291-1303, 2007. 

  10. Alster T and Tanzi E, "Hypertrophic scars and keloids: etiology and regeneration", Am J Clin Dermatol, vol. 4, no. 4, pp. 235-243, 2003. 

  11. Beuth J, Hunzelmann N, Leendert R, Basten R, Noehle M and Schneider B, "Safety and efficacy of local administration of contractubex $^{(R)}$ to hypertrophic scars in comparison to corticosteroid treatment. Results of a multicenter, comparative epidemiological cohort study in Germany", in vivo, vol. 22, no. 2, pp. 277-283, 2006. 

  12. Cho SB, Lee JH, Lee SH, Bang D and Oh SH, "Efficacy and safety of 1064-nm Q-switched Nd:YAG laser with low fluence for keloids and hypertrophic scar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vol. 24, no. 9, pp. 1070-1074, 2010. 

  13. Lipper G and Perez M, "Nonablative acne scar reduction after a series of treatments with a short-pulsed 1,064-nm neodymium: YAG laser", Dermatol Surg, vol. 32, no. 8, pp. 998-1006, 2006. 

  14. Willital G and Heine H, "Efficacy of Contractubex gel in the treatment of fresh scars after thoracic surger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t J Clin Pharmacol Res, vol. 14, no. 5-6, pp. 193-202, 1993. 

  15. Hsu CK, Tzeng SY, Yang CC, Lee JY, Huang LL, Chen WR, Hughes M, Chen YW, Liao YK and Tseng SH, "Non-invasive evaluation of therapeutic response in keloid scar using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Biomed Opt Express, vol. 6, no. 2 , pp. 390-404, 2015. 

  16. Patterson M, Chance B and Wilson B, "Time resolved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for the noninvasive measurement of tissue optical properties", Appl Opt, vol. 28, no. 12, pp. 2331-2336, 1989. 

  17. Zonios G, Dimou A, Carrara M and Marchesini R, "In vivo optical properties of melanocytic skin lesions: common nevi, dysplastic nevi and malignant melanoma", Photochem Photobiol, vol. 86, no. 1, pp. 236-240, 2010. 

  18. Nachabe R, Hendriks B, Desjardins A, Voort M, Mark M and Sterenborg H, "Estimation of lipid and water concentrations in scattering media with diffuse optical spectroscopy from 900 to 1600 nm", J Biomed Opt, vol. 15, no. 3, pp. 037015-037015-10, 2010. 

  19. Lee SK and Youn JI, "Evaluation of diffuse reflectance in multi-layered tissue for high intensity laser therapy", J Opt Soc Korea, vol. 17, no. 2, pp. 205-212, 2013. 

  20. Tseng SH, Hayakawa C, Spanier J and Durkin J, "Investigation of a probe design for facilitating the uses of the standard photon diffusion equation at short source-detector separations: Monte carlo", J Biomed Opt, vol. 14, no. 5, pp. 054043-054043-12, 2009. 

  21. Simpson C, Kohl M, Essenpreis M and Cope M, "Near-infrared optical properties of ex vivo human skin and subcutaneous tissues measured using the monte carlo inversion technique", Phys Med Biol, vol. 43, no. 9, pp. 2465-2478, 1998. 

  22. Wang L, Jacques S and Zheng L "MCML-Monte carlo modeling of light transport in multi-layered tissues",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vol. 47, no. 2, pp. 131-146, 1995. 

  23. Lino K, Maruo K, Arimoto H, Hyodo K, Nakatani T and Yamada Y, "Monte carlo simulation of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in the wavelength range from 1000 nm to 1900 nm", Opt Rev, vol. 10, no. 6, pp. 600-606, 2003. 

  24. Li-Tsang C, Lau J and Chan C, "Prevalence of hypertrophic scar form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among the chinese population", Burns, vol. 31, no. 5, pp. 610-616, 2005. 

  25. Troy T and Thennadil S, "Optical properties of human skin in the near infrared wavelength range of 1000 to 2000 nm", J Biomed Opt, vol. 6, no. 2, pp. 167-176, 2001. 

  26. Ghosh N, Mohanty S, Majumder S and Gupta P, "Measurement of optical transport properties of normal and malignant human breast tissue", Appl Opt, vol. 41, no. 1, pp. 176-184, 2001. 

  27. Tseng S, Bargo P, Durkin A and Kollias N, "Chromophore concentrations, absorption and scattering properties of human skin in-vivo", Opt Express, vol. 17, no. 17, pp. 14599-14617, 2009. 

  28. Liew Y, Mclaughlin R, Wood F and Sampson D, "Motion correction of in vivo three-dimension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human skin using a fiducial marker", Biomed Opt Express, vol. 3, no. 8, pp. 1774-1786, 2012. 

  29. Taroni P, Pifferi A, Quarto G, Spinelli L, Torricelli A, Abbate F, Villa A, Balestreri N, Menna S, Cassano E and Cubeddu R, "Noninvasive assessment of breast cancer risk using timeresolved diffuse optical spectroscopy", J Biomed Opt, vol. 15, no. 6, pp. 060501-060501-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