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포도의 품질 인자와 소비자 기호도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indices and consumer acceptance in environment-friendly 'Campbell early' grap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7, 2016년, pp.1058 - 1064  

이다움 (한국식품연구원 저장유통연구단) ,  배정미 (한국식품연구원 저장유통연구단) ,  구경형 (한국식품연구원 저장유통연구단) ,  최정희 (한국식품연구원 저장유통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ampbell early' 포도의 품질예측을 위한 품질 지표를 구명하기 위하여 과피 색, SSC, pH, TA 그리고 경도 등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외관, 맛, 향 그리고 조직감 등 관능적 품질 특성을 각각 조사한 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동일한 크기의 포도를 5군데 농장으로부터 수집하여 본 연구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품질 특성 분석 결과 과피의 CIE $L^*$, CIE $a^*/b^*$, SSC, pH, TA 그리고 경도가 시료군 간의 차이를 보였고, 관능적 품질 특성 분석 결과 과피 색의 강도, 줄기의 신선도, 포도 고유의 향, 신맛, 단맛 그리고 과립의 탄력도가 시료군 간의 차이를 보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신맛이 약하고 단맛이 강하며, 경도가 단단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맛은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 CIE $L^*$값과 $0.88^*$의 상관성을 보이고, 단맛의 경우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 경도와 $0.95^*$의 상관성을 보였다. 포도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주성분은 44.35% 그리고 제 2주성분은 33.77%의 설명력을 갖으며 총 설명력은 78.12%였다. 제 1주성분 중 이화학적 품질 특성은 경도로 나타났고 관능적 품질 특성은 단맛, 과립의 탄력도, 과육의 경도, 포도 향, 색의 정도, 단 향, 신맛 그리고 과피의 손상도로 나타났다. 제 2주성분 중 이화학적 품질 특성은 CIE $L^*$, TA, CIE $a^*$, CIE $a^*/b^*$, SSC/TA 그리고 SSC로 나타났으며 관능적 품질 특성은 과피의 두께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이화학적 품질 특성인 경도, CIE $L^*$, 적정산도, CIE $a^*/b^*$, SSC/TA, 그리고 SSC와 관능적 품질 특성인 단맛, 과립의 탄력도, 포도 향, 색의 정도, 신맛 등을 'Campbell early' 포도의 품질지표로 적용하였을 때 소비자 기호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color, soluble solids content (SSC), pH, titratable acidity (TA), and firmness) and sensory (appearance, taste, odor,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Campbell early' grapes to identify quality indices. For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방법으로 재배 된 ‘Campbell early’포도를 대상으로 과피의 색, SSC, pH, titratable acidity(TA)그리고 경도 등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외관, 맛, 향 그리고 조직감 등 관능적 품질 특성을 각각 조사한 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확된 포도의 품질예측을 위한 품질지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은? 4% 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데 FTA(free trade agreement) 등 농산물의 수입개방이 확대되면서 수입포도 증가로 인한 수익성 저하로 재배 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포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고품질 포도 생산, 품질 객관화, 유통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2). 농산물표준규격에 따르면 포도의 품질 등급은 포도송이의 무게가 300~450 g이고 낱알 간 숙도와 크기가 고르며, 과분의 부착이 양호한 것을 ‘특’ 등급으로 분류한다.
농산물표준규격에 의한 포도의 품질 등급 '특'등급의 조건은? 이에 포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고품질 포도 생산, 품질 객관화, 유통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2). 농산물표준규격에 따르면 포도의 품질 등급은 포도송이의 무게가 300~450 g이고 낱알 간 숙도와 크기가 고르며, 과분의 부착이 양호한 것을 ‘특’ 등급으로 분류한다. 농촌진흥청은 ‘Campbell early’의 숙도를 기준으로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칼라차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포도의 착립부터 적숙까지를 시기별로 총 10단계로 분류하여 사진, 당도, 그리고 산도를 제시하고 있다(3).
Parpinello 등(11)은 포도의 어떤것을 조사하여 SSC와 소비자 기호도를 예측할수 있었다고 하였는가? 포도의 품질 평가를 위한 선행 연구로는 Cho 등(10)은 ‘Campbellearly’ 포도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추적하고 이화학적 성분 및 관능지표 평가를 통해 전체적인 기호도가 조직감, 신맛을 포함한 단맛 그리고 soluble solid content(SSC)와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Parpinello 등(11)은 NIR을 사용하여 table grape의 과피 색을 측정하여 SSC와 소비자 기호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Segade 등(12)은 ‘Red globe’와 ‘Crimson seeless’ 포도의 숙도에 따른 경도 측정을 통하여 SSC와 소비자 기호도가 높은 수확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http://aglook.krei.re.kr/jsp/pc/front/observe/monthlyReport.jsp?ovr_item_codeOVR0000000007&prt_ovr_item_codeOVR0000000013 (accessed Dec 2015) 

  2. Hwang YS, Lim BS, Kim JG (2010) Comparison of ‘Kyoho’ and ‘Campbell early’ table grape fruit quality in wholesale market. J Agricultural science, 37, 7-12 

  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ttp://www.nihhs.go.kr/farmer/research/yearly_view.asp?f_cd&curpage1&c_cdca10415&y_cd&d_no1309&totalSearchYnY (accessed Dec 2015) 

  4. Chang MS, Cho SD, Kim DB, Kim GH (2009)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with regard to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grapes. Korean J Food Preserv, 16, 204-210 

  5. Pages J, Tenenhaus M (2001) Multiple factor analysis combined with PLS path modeling. Application to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physicochemical variables, sensory profiles and hedonic judgements. Chemom Intell Lab Syst, 58, 261-273 

  6. Kim KP, Jung PC, Yang SR (2002) A hedonic price analysis of fruit products. Korea J Agri Economics, 43, 33-56 

  7. Hong SJ, Lee JW, Kim YC, Kim KY, Park SW (2003)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quality attributes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ripening of tomato Fruits. J Kor Soc Hort Sci, 44, 438-441 

  8. Park YM, Yoon TY, Hwang MG (2006) Analysis of storage method and shelf temperature effects in determining storage potential of 'Fuji' apples based on sensory evaluation. Kor J Hort Sci Technol, 24, 56-63 

  9. Ku KH, Lee KA, Choi JH (2015) Sensory properties of satsuma mandarin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Korean J Food Preserv, 22, 241-250 

  10. Cho SD, Chang MS, Kim DM, Kim GH (2010) Correlation between sensory quality and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in ‘Campbell early’ grape. Kor J Hort Sci Technol, 28, 691-695 

  11. Parpinello GP, Nunziatini G, Rombola AD, Gottardi F, Versari A (2013)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and NIR spectroscopy in consumer preference of table grape (cv Italia). Postharvest Biol Technol, 83, 47-53 

  12. Segade SR, Giacosa S, Torchio F, Palma LD, Novello V, Gerbi V, Rolle L (2013) Impact of different advanced ripening stages on berry texture properties of 'Red Globe' and 'Crimson Seedless' table grape cultivars (Vitis vinifera L.). Sci Hortic, 160, 313-319 

  13. Park SJ, Kim JG, Jung SM, Noh JH, Hur YY, Park KS (2011) Influence of leaf number on berry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J Bio-Environ Control, 20, 211-215 

  14. Carreno J, Martinez A, Almela L, Fernandez-Lopez JA (1995) Proposal of an index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colour of red table grapes. Food Res Int, 28, 373-377 

  15. Matsumoto K, Kim BK, Oahn VTK, Seo JH, Yoon HK, Park MK, Hwang YS, Chun JP (2007) Comparison of compositions and quality parameters during berry ripening between grape cultivars. Kor J Hort Sci Technol, 25, 230-234 

  16. Coombe BG, Dundon RJ, Short AWS (1980) Indices of sugar-acidity as ripeness criteria for winegrapes. J Sci Food Agric, 31, 495-502 

  17. Bisson L (2001) In search of optimal grape maturity. Practical Winery Vineyard J, Jul/Aug, 32-43 

  18. Park ER, Kim KS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grape (Vitis vinifera L.). Korea J Postharvest Sci Technol, 7, 366-372 

  19. Moigne ML, Maury C, Bertrand D, Jourjon F (2008)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ation of Cabernet Franc grapes according to ripening stages and growing location. Food Qual Prefer, 19, 220-231 

  20. Maury C, Madieta E, Moigne ML, Mehinagic E, Siret R, Jourjon F (2009) Development of a mechanical texture test to evaluate the ripening process of Cabernet Franc grapes. J Texture Stud, 40, 511-5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