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지반공간정보 추정을 통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 기반 인천 지역의 부지분류
Site Classification for Incheon According to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by Estimating Geotechnic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4, 2016년, pp.17 - 35  

선창국 (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김한샘 (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진으로 인한 재난은 지반운동의 증폭과 관련된 부지효과의 차이로 인해 흔히 견고한 토사나 암반에 비해 연약한 토사 지역에서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적 관점에서 이러한 차이는 대상 영역 전체의 토사 지층 분포의 예측을 통해 우선 파악할 수 있다. 토사는 대개 내륙에 비해 강이나 해안 주변에서 두껍게 발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대도시 인천을 대상으로 부지효과를 평가하고 지진재해 정보를 제공하고자, 연구 영역 전체의 지반지층에 대해 GIS 기반의 공간예측을 수행하였다. 약 7,000 여공의 기존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GIS DB로 구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현장답사를 통해 지표지반 자료들을 확보하였다. 구축된 지반 DB를 토대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들에 관한 공간구역화 지도들을 지역 지진대책에서의 활용을 위해 제시하였다. 지반지진공학 매개변수별 공간 구역화 수행을 통해 인천 확장영역의 지진위험도를 평가하고, 부지분류 구역정보를 도출함으로써 내진설계의 부지증폭계수를 결정하였다. 이 때 대상 영역 전체에 걸쳐 부지분류에 관한 공간구역화를 부지응답 매개변수별로 수행하고 각 매개변수별 공간분포를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 행정 단위별로 부지주기의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으며, 지반지진공학적 취약부지를 평가함으로써 해안 대도시에서의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rthquake-induced disasters are often more severe in locations with soft soils than firm soils or rocks due to differences in ground motion amplification. On a regional scale, such differences can be estimated by spatially predicting subsurface soil thickness over the entire target area. In gene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공간 지층 정보 외에도 실무적 활용성을 고려하고 더불어 공간적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전적인 기존 이차원 평면 등고선 지도를 대상 지역의 삼차원 지표면에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인 구역화 정보를 지반 공간정보 시스템 내에서 구현하였다. 그림 5 및 그림 6은 지반공학적 지층들로 이미 구분된 기반암 상부 지층들 중에서 주요 지층으로서의 퇴적토 및 풍화층(풍화토와 풍화암)의 두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각각의 공간 구역화(spatial zonation) 정보이다.
  • 따라서 부지 주기를 이용한 부지고유 지진응답 예측 기법은 부지 응답 해석과 같은 수치적 기법 없이 구조물의 지진취약도를 포함한 지역적 지진재해 예측을 통한 신속 지진대응과 더불어 부지별 설계지반운동 결정을 통한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 평가에도 직접 활용될 수 있다(Sun, 2009).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행정 영역 전체를 포괄하는 연구 영역에 대해 지역적 지진재해 예측과 내진 활용을 목적으로 공간 GIS 프레임 기반으로 구축된 지반 정보를 토대로 부지 주기(TG) 기준의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 , 2008; Sun, 2010a; Sun, 2010b), 대상 부지에서의 지반 동적특성 및 기하학적 특성을 모두 반영하는 기준 지표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지식 기법으로 제시된 세 가지(VS30, H, TG) 지반지진공학 매개변수별 공간 구역화 수행을 통해 대상 인천 지역의 지진위험도를 평가하고, 그에 따른 각 변수들의 기준 적용을 통한 부지분류 정보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중서부 해안거점 도시 인천을 대상으로 정량적 지역 지반응답 특성을 평가하고 지반공학적 지진재해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대상영역의 지역 지진위험도 예측평가를 위해 GIS 기반의 전문가적 지반정보 시스템을 최적화하였다.
  • 내진 설계의 부지증폭계수 결정이 가능한 부지분류에 관한 공간구역화를 대상 영역 전체에 걸쳐 부지응답 매개변수별로 수행하고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수적 내진설계 부지증폭계수 결정이 가능한 부지 주기 기준의 부지분류 분포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인천 지역 대상 연구로부터 지반 DB 기반 부지응답 매개변수에 관한 공간구역화의 해안 대도시에서의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적용된 부지주기에 따른 지반 분류 기준에 따라서 국부 영역에 대해 대분류 등급(B, C, D, E)간 공간적 변동성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상영역 광역적 예비 수준의 부지분류를 위해 지진 응답 매개변수 별 부지분류에 따른 등급 구역도의 공간상관도를 비교분석하고 최적의 지진응답 매개변수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지층이란 무엇인가? 지반을 구성하는 재료는 그 특성에 따라 여러 층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지반지층으로 일컫는다(Sun, 2004; Chun et al., 2005; Sun, 2012).
지구통계학적 보간 방법인 크리깅의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제한된 불연속 기지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에 분포하는 미지 자료를 연속적으로 신뢰성 높게 보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의 적용이 관건중의 하나이다. 지구통계학적 보간 방법인 크리깅(kriging)은 대상 영역 내 모든 기지 자료들의 거리에 따른 변화 특성을 베리오그램(variogram)으로 정량화 및 수식화하여 대상 영역의 자료를 보간하며, 본 연구에서도 크리깅을 적용한 정보 예측 및 구축을 수행하였다.
부지분류 체계 중 VS30은 어떤 지표인가? 부지분류 체계에서는 대상 지역 지반특성과 관련된 지반지진공학적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 변수들을 분류 기준으로 이용하게 되는데, 현행 국내 및 미국의 부지분류 체계에서는 지하 30m 까지의 평균 VS인 VS30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기준은 부지의 기하학적 분포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부지의 동적특성만을 이용하는 지표이며(Sun et al., 2005a; Sun, 2010a; Sun, 2010b), 이와는 달리 경험적인 간편 지표로도 고려되어온 기반암 심도(H)는 지반 강성인 VS에 대한 고려 없이 부지의 기하학적 특성만을 반영하는 지표이다(Sun, 2004; Sun, 2010a; Sun, 2010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un, S.H., C.K. Sun, and C.K. Chung. 2005. Application of geostatistical method for geo-layer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5(2C):103-115 (천성호, 선창국, 정충기. 2005. 지반 정보화를 위한 지구 통계학적 방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5(2C):103-115). 

  2. Dobry, R., R.D. Borcherdt, C.B. Crouse, I.M. Idriss, W.B. Joyner, G.R. Martin, M.S. Power, E.E. Rinne, and R.B. Seed. 2000. New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recent building seismic code provisions. Earthquake Spectra 16(1):41-67. 

  3. Green, R.A., S.M. Olson, B.R. Cox, G.J. Rix, E. Rathje, J. Bachhuber, J. French, S. Lasley, and N. Martin. 2011. Geotechnical aspects of failures at Port-au-Prince seaport during the 12 January 2010 Haiti earthquake. Earthquake Spectra 27(S1):S43-S65. 

  4. ICBO(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ilding Officials). 1997. Uniform building code, volume 2: structural engineering design provis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ilding Officials. pp.12-13. 

  5. ICC(International Code Council). 2000. 2000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nternational Code Council. pp.5-9. 

  6. ICC(International Code Council) 2006. 2006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nternational Code Council. pp.20-22. 

  7. Kang, S.Y. and K.H. Kim. 2009. A case study of GIS-based site classification in the Gyeongsang Province constrained by geologic and topographic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4):136-145. (강수영, 김광희. 2009. GIS기반의 지질,지형 자료를 활용한 경상도지역의 지반분류 사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136-145). 

  8. Kienzle, A., D. Hannich, W. Wirth, D. Ehret, J. Rohn, V. Ciugudean, and K. Czurda. 2006. A GIS-based study of earthquake hazard as a tool for the microzonation of Bucharest. Engineering Geology 87(1):13-32. 

  9. Kim, D.S., C.K. Chung, C.G. Sun, and E.S. Bang. 2002. Sit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atial earthquake ground motion of Kyeongju.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22(5):371-387. 

  10. Kim, D.S. and J.K. Yoon. 2006. Development of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10(3):331-358. 

  11. Kim, H.S. and C.K. Sun. 2016. Visible assessment of earthquake-induced geotechnical hazards by adopting integrated geospatial database in coastal facility area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3):171-180 (김한샘, 선창국. 2016. 복합 공간데이터베이스 적용을 통한 해안 시설영역 지진 유발 지반재해의 가시적 평가.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20(3):171-180). 

  12. Kim, I.H. 2011. Seismic design of domestic civil facilities, Tohoku earthquake and evolution of Korean seismic design procedure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pp.45-72 (김익현. 2011. 국내 토목시설물의 내진설계, 일본 대지진과 우리나라 내진설계의 방향. 한국지진공학회 45-72쪽). 

  13. Lee, S.H., C.G. Sun, J.K. Yoon, and D.S. Kim. 2012.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for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16(6):795-819. 

  14.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7. Study of seismic design guideline(II). p.492 (건설교통부. 1997. 내진설계기준연구(II). 492쪽). 

  15. Rodriguez-Marek, A., J.D. Bray and N.A. Abrahamson. 2001. An empirical geotechnical seismic site response procedure. Earthquake Spectra 17(1):65-87. 

  16. Scott, B.M. and L.H. Carlton. 1999. Applications and issues of GIS as tool for civil engineering modeling.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13(3):144-152. 

  17. Sun, C.G. 2004.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and sit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for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Ph.D. Thesis, Seoul Nat'l Univ., Seoul, Korea. pp.131-154. 

  18. Sun, C.G. 2009. Seismic zonation on site responses in Daejeon by building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patial GIS framework.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5(1):5-19 (선창국. 2009. 공간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전 지역의 부지 응답에 따른 지진재해 구역화.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5(1):5-19). 

  19. Sun, C.G. 2010a. Suggestion of additional criteria for site categorization in Korea by quantifying reg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on seismic response.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13(3):203-218 (선창국. 2010. 지역고유 지진응답 특성 정량화를 통한 국내 부지 분류 기준의 추가 반영 제안.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13(3):203-218). 

  20. Sun, C.G. 2010b. Seismic site classes according to site period by predicting spatial geotechnical layers in Hongseo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32-49 (선창국. 2010. 홍성 지역의 공간 지층정보 예측을 통한 부지주기 토대의 지진 공학적 부지분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32-49) 

  21. Sun, C.G. 2012. Applications of a GISbased geotechnical tool to assess spatial earthquake hazards in an urban a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65(7):1987-2001. 

  22. Sun, C.G., B.H. Kim, and C.K. Chung. 2006. Investigation on weathering degree and shear wave velocity of decomposed granite layer in Hongsu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6(6C):431-443 (선창국, 김보현, 정충기. 2006. 홍성 지역 화강 풍화 지층의 풍화도 및 전단파 속도에 관한 고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6C):431-443). 

  23. Sun, C.G., B.S. Chung, J.H. Kim, S.K. Hong, and K.S. Kim. 2010. Implementation of an earthquake alarming system based on acceleration monitoring at coastal LNG receiving termin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20(3):339-348 (선창국, 정병선, 김준호, 홍성경, 김기석. 2010. 해안 천연가스 인수기지에 대한 가속도 계측 기반의 지진경보 시스템 구축. 지질공학 20(3):339-348). 

  24. Sun, C.G. and C.K. Chung. 2008. Regional estim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s at Gyeongju by building GIS-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38-50 (선창국, 정충기. 2008.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한 경주 지역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지역적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38-50). 

  25. Sun, C.G., C.K. Chung, and D.S. Kim. 2005a. A proposition of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design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1(6):101-115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 2005a. 국내 내륙의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 증폭계수 및 지반 분류 체계 제안.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1(6):101-115). 

  26. Sun, C.G., D.S. Kim, and C.K. Chung. 2005b. Geologic site conditions and sit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Engineering Geology 81(4):446-469. 

  27. Sun, C.G., D.S. Yang, and C.K. Chung. 2005c. Evalu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plains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9(4):29-42 (선창국, 양대성, 정충기. 2005c. 서울 평야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증폭 특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9(4):29-42). 

  28. Sun, C.G., H.S. Kim, C. K. Chung, and H.C. Chi. 2014. Spatial zonations for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56:44-56. 

  29. Sun, C.G. and S.H. Chun. 2014. Preliminary estimation of earthquake losses based on HAZUS in a coastal facility area with blocks applying site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10-27 (선창국, 천성호. 2014. 블록별 부지분류 적용 해안시설 영역에서의 HAZUS 기반 지진피해 추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4):10-27). 

  30. Sun, C.G., S.H. Chun, T.G. Ha, C.K. Chung, and D.S. Ki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tool for earthquake-induced hazard prediction. Computers and Geotechnics 35(3):436-449. 

  31. Wald, D.J. and T.I. Allen. 2007. Topographic slope as a proxy for seismic site conditions and amplificatio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7(5): 1379-1395. 

  32. Wills, C.J., M. Petersen, W.A. Bryant, M. Reichle, G.J. Saucedo, S. Tan, G. Taylor, and J. Treiman. 2000. A site-conditions map for California based on geology and shear-wave velocity.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0(6B):187-208. 

  33. Yoo, H.H., S.S. Kim, K.Y. Park, and W.S. Choi. 2005. Disasters risk assessment of urban areas by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3(3):41-52 (유환희, 김성삼, 박기연, 최우석. 2005. 지형공간정보체계에 의한 도시지역 재해위험도 평가. 지형공간정보학회지 13(3):4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