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구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Perceptions on Earth Scientists' Workings of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3, 2016년, pp.243 - 254  

정철 (대구대학교) ,  김윤지 (대구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지구과학I 교과를 이수한 110명의 고등학생들이 지구과학자의 일에 대해 내면화 하고 있는 이미지를 그리기 활동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지구과학이라는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는 결과로서 지구과학자가 일하는 장소를 실외로 표현한 사례가 절반에 가깝게 높았다. 연구 대상은 천문과 지질 영역에 편중되고 있어 대기와 해양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일할 때 사용하는 도구 역시 망원경이나 현미경으로 답한 사례가 많아서 전형적인 실험 장치들로 분석되었던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는 차이가 컸으며, 일하는 행동은 발명이 아니라 연구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밝혔다. 학생들이 지구과학자를 자신의 미래와 연계하여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직업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internalized images of earth scientist's work of 110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 a course in Earth Science I through drawing. As a result that reflected the character of earth science as a school subject, it is shown that nearly half of the students believe that 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자로 통칭되는 보다 넓은 의미의 대상에 대해서 이미지화 되어 있는 외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했던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특정 분야인 지구과학자가 직업으로서 하는 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므로 Fralick et al.(2009)의 DAST-체크리스트를 그대로 번안하여 분석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 과학의 특정 분야로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인식 연구는 김윤지(2014)에 의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취수준 상중하 그룹을 구분하여 GAP 프로그램의 10개 문항에 대한 리커트 척도로 분석한 연구가 유일한데,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나 직업인으로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자신의 진로와 연계하여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을 뿐, 지구과학자에 대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이미지를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까운 미래에 우리 사회의 직업인이 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리기 활동을 중심으로 지구과학자와 그의 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이 내면화 하고 있는 지구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인식 연구를 통해서 지구과학 교과를 교육 현장에서 직접 가르치는 교사들과 지구 과학 교과의 발전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 연구자들에게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어떻게 변하는가? 최근 과학교육계에서는 창의적인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내세우고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다방면으로 기울이고 있으나 과학 교과에 대한 초·중·고학생들의 흥미를 조사한 선행연구에서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과학에 대한 흥미, 즐거움, 동기 유발, 가치 인식, 자신감 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달 등, 2010).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선택할 수 있는 과학 교과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에서 특히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도가 낮은 문제는 지구과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그리고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는 심각한 고민이 아닐 수 없다.
과학자는 과거와 현재 어떤 사람으로 인식되는가? 과학자는 전통적으로 자연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을 가지고 자신의 지적 만족감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연과 그 주위를 둘러싼 현상 그 자체를 연구하는 사람으로 그려졌으나, 오늘날에는 연구자로서 직업인으로서 사회의 일원으로서 연구를 하며 연구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의무가 있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는 사람으로 인식된다(최경희, 2005). 과학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는 과학 학습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김범기, 1993), 특정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는 그 교과와 관련된 직업이나 그 직업에서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에 반영되어 표출된다(여상인, 1998).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선택할 수 있는 과학 교과의 선택비율은 각 얼마인가?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선택할 수 있는 과학 교과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에서 특히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도가 낮은 문제는 지구과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그리고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는 심각한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과학 교과는 화학 40%, 생물 25%, 물리 22%, 지구과학 13% 순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대학 진학의 필요성에 따라 교과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미래의 직업에 도움이 되거나 내신 성적에 유리한 교과를 선택하고 있다(국동식과 이상기, 2005).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선택 교과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한 연구 결과 과학>물리 2>생명과학1>지구과학1>화학1>생명과학2>물리1> 화학2>지구과학2 순으로 9개 과목 중에서 지구과학2는 학생들에게 가장 흥미가 없는 과목으로 조사 되었으며, 기초학문이나 대학에서 필요한 공부를 선택한 비율이 높았고 학교 내 개설 여부와 수능 및 부모의 요구 등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국동식, 이상기(2005).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한국지구과학회지, 26(8), 771-776. 

  2. 권난주(200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과 관련된 경험 및 배경 조사. 초등과학교육, 24(1), 59-67. 

  3. 김범기(1993). 학생들의 과학교과 불안도와 학습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41-358. 

  4. 김상달, 이상균, 최성봉(2010).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실태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3), 191-197. 

  5. 김소형, 박재일, 정진수, 이혜정, 권용주, 박국태(2005).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4(1), 1-8. 

  6. 김윤지(2014). 지구과학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59-168. 

  7. 김종승, 김영민, 김현정, 이창훈(2013).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학자, 과학자, 기술자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67-92. 

  8. 김학수, 홍혜현, 박성철(2003). 과학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상(이미지). 기술혁신연구, 11(2), 41-69. 

  9. 김현영, 박수경, 김영민(2012).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64-81. 

  10. 송진웅(199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5. 

  11. 심재호, 박현주, 이준기(2015).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 선택 과목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9(2), 133-150. 

  12. 여상인(1998).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관한 초. 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1-10. 

  13. 이효녕, 박경숙(2010).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과학자와 공학자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육연구, 16(4), 61-82. 

  14.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 양일호(2006). 초. 중. 고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7(1), 1-8. 

  15. 장명덕, 이명제(2004).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18-1130. 

  16. 정진규, 김영민(2014). 초등학생의 과학, 기술, 공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이미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19-730. 

  17. 주영, 김경순, 노태희(2008). 환경과학자 그리기를 이용한 환경과학자와 환경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53-463. 

  18. 주은정, 이수영, 김재근, 이지영(2009). 초등학교 3 학년의 과학자와 과학 학습에 대한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8(1), 35-45. 

  19. 최경희(2005). 과학자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및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과학기술학연구, 5(2), 49-67. 

  20. 최영미, 홍승호(2014). 작은 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및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33(4), 655-673. 

  21. Barman, C. (1997). Student's views of scientists and science: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Science and Children, 67(3), 255-265. 

  22. Chambers, D. W. (1983).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The draw-a-scientist test. Science Education, 67(2), 255-265. 

  23. Finson, K. D., Beaver, J. B. & Cramond, B. (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checklist for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24. Fralick, B., Kearn, J., Thompson, S. & Lyons, J. (2009). How middle schoolers draw engineers and scientis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 60-73. 

  25. Song, J. W. & Kim, K. S. (1999).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The images of the scienti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57-9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