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특산 태백기린초(돌나물과)의 교잡 기원에 대한 검증
A test of the hybrid origin of Korean endemic Sedum latiovalifolium (Crassul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6 no.4, 2016년, pp.378 - 391  

유영기 (경남대학교생물학과) ,  박기룡 (경남대학교 도시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돌나물과 한국특산종 태백기린초의 교잡 기원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 연관 종들의 형태적,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해 40개 집단으로부터 18개의 형태형질과 35개 집단에 10개 동위효소 좌위를 분석하였다. 동위효소 연구결과 가는기린초, 기린초 그리고 속리기린초에 높은 빈도로 나타났던 $MDH-2^a$, $PGI-1^a$는 태백기린초 집단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태백기린초의 모든 집단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MDH-2^c$는 다른 가는기린초아속 식물에서는 낮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어 태백기린초가 기린초와 가는기린초의 잡종화를 통해 기원되었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할 수 없다. 그러나 금대봉 일대의 일부 집단의 개체들은 태백기린초와 기린초 혹은 기린초와 가는기린초 사이에서 형질이입에 의해 만들어진 교잡 개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een morphological characters from 40 populations and ten isozyme loci from 35 populations of Sedum latiovalifolium and related species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The high-frequency marker alleles $MDH-2^a$ and $PGI-1^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일부 한국 고유종에 대한 동위효소 분석은 교잡의 기원을 밝히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Lee (1992)에 의해 신종 기재된 태백기린초는 Lee (2000)가 금대기린초란 국명으로 신칭하며 가는기린초와 기린초나 가는기린초와 넓은잎기린초 사이의 교잡종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를 규명하기 위해 형태형질과 동위효소 분석을 하였다. 형태형질을 기초로 한 수리분석 결과, 한국특산 태백기린초는 독립된 유집과 공간상의 배열을 보여주어 형태적으로 뚜렷이 구분되는 독립된 종으로 여겨지며 이와 같은 결과는 Lee (2000)의 가는기린초와 기린초나 기린초와 넓은잎기린초의 교잡종일 가능성을 지지하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에 있어 교잡에 의한 종분화는 무엇으로 대변할 수 있는가? 식물에 있어 교잡에 의한 종분화는 크게 이배체 수준의 교잡과 다배체 수준의 종분화로 대변할 수 있는데, 특히 자연집단 내 교잡 기원에 관한 검증은 식물의 종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Mahy et al., 2000).
한국 고유종에 대한 동위효소 분석은 어떻게 사용되어 왔나? koreana 사이에서 교잡을 통해 기원되었다는 것을 입증한바 있다. 이와 같이 일부 한국 고유종에 대한 동위효소 분석은 교잡의 기원을 밝히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Lee (1992)에 의해 신종 기재된 태백기린초는 Lee (2000)가 금대기린초란 국명으로 신칭하며 가는기린초와 기린초나 가는기린초와 넓은잎기린초 사이의 교잡종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를 규명하기 위해 형태형질과 동위효소 분석을 하였다.
한국 고유종에 대한 동위효소 분석으로 교잡의 기원을 밝히는데 사용되었던 연구 사례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국내 교잡종에 관한 연구는 Park et al. (2003)이 이배체 지리고들빼기(P. koidzumiana)가 교잡 기원 종이 아님을 동위효소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Lee et al. (2001)은 Lycorisflavescens가 타가삼배체로 L. chinensis와 L. sanguinea var. koreana 사이에서 교잡을 통해 기원되었다는 것을 입증한바 있다. 이와 같이 일부 한국 고유종에 대한 동위효소 분석은 교잡의 기원을 밝히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ano, M. 1990. Biosystematic study of Sedum L. subgenus Aizoon (Crassulaceae). I. Cytological and morphological variations of Sedum aizoon L. var. floribundum Nakai. Botanical Magazine Tokyo 103: 67-85. 

  2. Amano, M. and H. Ohba. 1992. Chromosome number of Sedum sikokianum Maxim. (Crassulaecease). Journal of Japanese Botany 65: 167-170. 

  3. Arnold, M. L. and S. A. Hodges. 1995. Are natural hybrids fit or unfit relative to their parent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10: 67-71. 

  4. Chung, T. H. 1957. Korean Flora. Singisa, Seoul. Pp. 281-291. 

  5. Chung, Y. H. and J. H. Kim. 1989. A taxonomic study of Sedum section Aizo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9: 189-227. 

  6. Crawford, D. J. 1983. Phylogenetic and systematic inferences from electrophoretic studies. In Isozymes in Plant Genetics and Breeding. Tanksley, S. D. and T. J. Orton (eds.), Elsevier, Amsterdam. Pp. 257-287. 

  7. Crawford, D. J. 1989. Enzyme electrophoresis and plant systematics. In Isozymes in Plant Biology. Soltis, D. E. and P. S. Soltis (eds.), Discorides Press, Portland. Pp. 146-164. 

  8. Ellstrand, N. C., R. Whitkus and L. H. Rieseberg. 1996. Distribution of spontaneous plant hybrid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3: 5090-5093. 

  9. Gallez, G. P. and L. D. Gottlieb. 1982. Genetic evidence for the hybrid origin of the diploid plant Stephanomeria diegensis. Evolution 36: 1158-1167. 

  10. Gastony, G. J. 1986. Electrophoretic evidence for the origin of fern species by unreduced spor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73: 1563-1569. 

  11. Gottlieb, L. D. 1981. Eletrophoretic evidence and plant populations. In Progress in Phytochemistry, Vol. 7. Reinhold, L., J. B. Harborne and T. Swain (eds.), Pergamon Press, New York. Pp. 1-46. 

  12. Lee, N.-S., M. Kim, B.-S. Lee and K.-R. Park. 2001. Isozyme evidence for the allotriploid origin of Lycoris flavescens (Amaryllidacea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27: 227-234. 

  13. Lee, T. B. 2000. A natural hybrid of the genus Sedum. Natural Plant 50: 5-6. 

  14. Lee, Y. N. 1992. New taxa on Korean flora (4).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2: 7-11. 

  15. Lee, Y. N. 1996.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Pp. 268-278. 

  16. Mahy, G., L. P. Bruederle, B. Connors, M. Van Hofwegen and N. Vorsa. 2000. Allozyme evidence for genetic autopolyploidy and high genetic diversity in tetraploid cranberry, Vaccinium oxycoccos (Eric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7: 1882-1889. 

  17. Morrell, P. and L. Rieseberg. 1998. Molecular tests of the proposed diploid hybrid origin of Gilia achilleifolia (Polemoni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5: 1439-1453. 

  18. Nakai, T. 1909. Flora Koreana II.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26: 226-231. 

  19. Nei, I. 1972. Genetic distance between populations. American Naturalist 106: 283-292. 

  20. Oh, S. 1985. The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family Crassulaceae in Korea. Research Review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9: 123-159. 

  21. Park, K.-R., J.-H. Pak and B.-B. Seo. 2003. Allozyme variation in Paraixeris: a test for the diploid hybrid origin of Paraixeris koidzumiana (Compositae). Botanical Bulletin of Academia Sinica 44: 113-122. 

  22. Park, M. K. 1974.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Dicotyledoneae). Chungunsa, Seoul. Pp. 151-158. 

  23. Rieseberg, L. H., R. Carter and S. Zona. 1990. Molecular tests of the hypothesized hybrid origin of two diploid Helianthus species (Asteraceae). Evolution 44: 1489-1511. 

  24. Rieseberg, L. H., N. C. Ellstrand and M. Arnold. 1993. What ca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makers tell us about plant hybridization? Critical Review of Plant Science 12: 213-241. 

  25. Rieseberg, L. H. and J. F. Wendel. 1993. Introgression and its consequences in plants. In Hybrid Zones and the Evolutionary Process. Harrison R. G.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70-109. 

  26. Rohlf, F. J. 1992. NTSTS-pc: Numerical Taxonomy and Multivariate Analysis System (version 1.70) [Computer program]. Exeter Software, New York. 

  27. Soeda, T. 1944. A cytological study on the genus Sedum, with remarks on the chromosome numbers of some related plants.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of the Hokkaido Imperial University Series 5, Botany 5: 221-231. 

  28. Soltis, D. E., C. H. Haufler, D. C. Darrow and G. J. Gastony. 1983. Starch gel electrophoresis of ferns: a compilation of grinding buffers, gel and electrode buffers, and staining schedules. American Fern Journal 73: 9-27. 

  29. Sun, M. 1996. The allopolyploid origin of Spiranthes hongkongensis (Orchid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3: 252-260. 

  30. Swofford, D. L. and R. B. Selander. 1981. BIOSYS-1: a FORTRAN program fo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electrophoretic data in population genetics and systematics. Journal of Heredity 72: 281-283. 

  31. Uhl, C. H. and R. Moran. 1972. Chromosomes of Crassulaceae from Japan and South Korea. Cytologia 37: 59-81. 

  32. Wright, S. 1978. Evolution and the Genetics of Population, Vol. 4. Variability within and among Natural Popul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590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