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다낚시복합타운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ilities Planning for Recreational Fishing Complexes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0 no.6, 2016년, pp.431 - 440  

강영훈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  이한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바다낚시공원이나 바다낚시시설은 기타 레저시설 미비, 체험프로그램 및 시설 부족, 편의시설이나 숙박시설 등 부대시설 부족 등으로 인해 증가하는 가족낚시인의 바다낚시 및 해양레저의 복합적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바다낚시 및 해양레저의 복합적 수요에 대응하여 가족이 즐기고 휴식할 수 있는 바다낚시복합타운의 조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개념을 정립하고 시설유형을 분류한 다음 각 유형별 시설구성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촌복합생활공간, 해양레저생활공간, 낚시공원사업 등 유사 사례, 관련사업 및 법률을 바탕으로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개념을 정립한다. 또한 바다낚시복합타운의 유형을 입지조건 및 활동형태에 따라 도시근교 레저 스포츠형(I형), 도시근교 힐링 휴식형(II형), 도시외곽 체험 활동형(III형) 그리고 도시외곽 문화 휴양형(IV형)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별 특성에 따른 시설구성안을 제시하며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구성시설을 기반시설과 레저시설(기본시설, 특화시설)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시설계획안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uggests facility planning ideas for recreational fishing complexes suitable for family anglers. Existing recreational fishing parks are only equipped with facilities for angling. There are many needs for recreational fishing complexes in coastal fishing villages that include not only a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본격적으로 조성될 바다낚시복합타운을 대상으로 적절한 개념을 제시하고 이에 맞는 시설 유형을 정하며 유형별로 시설구성안 및 시설별 계획사항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바다낚시시설이 증가하는 가족낚시 및 해양레저의 복합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어촌 커뮤니티로서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개념과 시설계획을 제안하였다. 먼저 바다낚시복합타운의 유사 사례, 관련 정부사업, 근거 법률 등을 검토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바다낚시복합타운의 목적, 특성을 정리한 다음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 어촌생활과 어업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과 교육의 장으로 계획하며 가두리낚시 등 다양한 바다낚시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계획한다. 이와 함께 해양레저와 체험을 즐길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고 날씨와 계절의 영향을 극복할 수 있도록 시설을 계획하여 겨울철에도 체류와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 특히 낚시복합타운은 낚시활동이외에도 즐길 거리, 먹거리, 볼거리를 다양하게 제공하며 낚시전문인 뿐 아니라 여성, 어린이, 낚시초보자 등이 바다낚시와 함께 기타 해양레저도 즐기면서 바다와 친숙해지고, 바다를 즐기고, 바다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다낚시복합타운과 바다낚시공원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존 바다낚시공원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바다낚시공원이 바다낚시를 위한 전용시설인데(Kang, Hong and Lee, 2015) 비해 바다낚시복합타운은 바다낚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레저, 휴식, 생활이 이루어지는 ‘해양레저형 복합공간’이라는 점이다.
기존 바다낚시공원 및 바다낚시시설의 문제점은? 이에 따라 바다낚시공간에는 바다낚시와 함께 다양한 해양레저를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레저 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바다낚시공원 및 바다낚시시설은 바다낚시만을 위한 시설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족을 위한 레저시설,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의 부족, 접근의 어려움, 체험프로그램 및 시설의 미비 등으로 인해 이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향후 바다낚시는 여성 및 어린이가 함께 참여하는 가족 중심의 바다낚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레저공간이 부족한 형편이다.
바다낚시복합타운의 입지조건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바다낚시복합타운의 성패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입지로서 입지조건에 따라 사업목적, 유치권역과 집객력, 시설 종류와 제공 서비스, 기대되는 효과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낚시복합타운의 입지조건은 도시에서 가까운 ‘도시근교형’과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도시외곽형’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kio G.(writer), Kim N. H and Lee, H. S.(translators)(1999), Marine Recreational Facilities, Science & Tech Publishing Company. 

  2. Chai. Y. S., et. al(2002), Modern of Practical Resort Development, Hyunhaksa Publishing Company. 

  3. Kang. Y. H, .Lee, H. S. and Hong S. K(2015), "A Field Survey on Facility Management and Anglers Requirements at Recreational Sea-fishing Park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9, No. 6, pp. 529-538. 

  4. Kim, S. K(2007), Marine Tourism, Hyunhaksa Publishing Company. 

  5. Kim, S. K. et al(2007), A Research on Basic Plan for Complex Living Space of Fishing Villag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6. Lee, H. S. Kang. Y. H. and Kim N. Y(2016), Waterfront Planning, C.I.R Publishing Company. 

  7. Lee, H. S. and Kang. Y. H(2014), Marine Architectural Planning, Munundang Publishing Company. 

  8. Lee, H. S., Lee. M. K. and Park, G(2001), "Planning of Sea Fishing Pier at Waterfront Area in Busa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17, No. 11, pp.29-38. 

  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a), Fishing Complex Town Development Plan. 

  1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b), The 2nd Fishing Town and Port Development Plan. 

  1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c), 2014 Marine and Fisheries Business Enforcement Guidebook. 

  1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09), Safety and Environmental Standards of Floating Structure for Leisure Fishing Activities.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04),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lan of Cage-aquaculture Fishing Site. 

  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02), Development Planning of Ocean Living Complex. 

  1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Fishing Portal Site, Naksi-Nuri, http://www.naksinuri.com/. 

  16. Shim H. J(2009), For Vitalization of Fishery Villages, KMI Fisheries Trend. 

  17. Young-Nam Sea Grant(2008), Development Ways for Fishing Villages and Ports of Kyong-nam Provi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