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저수지 수변 식생 건강성 평가
The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in Riparian Vegetation of Lake Reservoir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6, 2016년, pp.111 - 121  

김형대 (상명대학교 대학원) ,  구본학 (상명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iparian vegetation health in the fluctuation area and vicinity of reservoi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 basic data to improve the ecological function and establish green-network of waterside ecosystem. The study site is Daecheong lake reservoir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저수지 수위변동구간 및 그 인접지역에 발달한 수변식생의 현황 및 건강성을 평가하여 수변 생태복원 시 적합한 식재모델 및 그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위변동구간에 형성된 수변식생대의 역할은 무엇인가? 수위변동구간에 형성된 수변식생대(Riparian vegetation 또는 Vegetation strip)는 수변완충지역(Riparian buffer)으로서, 숲, 초지, 나지 등이 해당되며 토양보전, 야생동물 서식처 및 종 다양도 증진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수생태계와 연계된 육상생태계로서 서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Lowrance et al.
수변에 형성된 식생군락의 보전이나 조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또한 문화재 등 역사문화자원 및 야생동물 서식지 등 생태자원이 수몰되기도 하며 정수생태계로의 변화, 비탈면 침식, 풍화로 인한 붕괴 위험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수변에 형성된 식생군락의 보전이나 조성은 수변공간과 배후산림지역의 생태축 구성, 생물다양성 회복 및 증가, 토양침식방지, 생산성 향상, 야생동물의 이동통로 제공, 수변경관 복원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수생태계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물길에 따른 종적 생태계와 수생태계-수변생태계-육상생태계로 연계되는 횡적 생태계를 우선 고려하고, 지하수 및 토양과 연계 되는 수직적 생태계, 시간적 흐름에 따른 천이등 시간적 생태계 등 종합적인 연결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식생건강성평가의 수목의 평가항목으로 판정할 수 있는 수목의 상태는 무엇인가?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기준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의 현장적용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정량적 데이터인 엽록소 측정값을 추가하였다. 우선 각 수목의 평가항목으로 전반적 생육상태, 수관 형태 변형 여부, 잎의 크기 및 건강성 정도, 수간 및 가지 생육상태를 판정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한 등급은 상, 중, 하로 구분하였다. 종합적인 식생건강성은 3단계(우수, 보통, 불량) 로 구분, 평가하였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Dritte Auflage, Springer-verlag, Wien, N.Y. 

  2. Byun, MS.Koo, BH and Lee, MW. 2001. Ecosystem Monitoring Perform Direction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plan establishment of Dam Basin.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Summer Reference. 

  3. Choi, H.Park, PS.Kim, JG and Suh, SE. 2010. Change of the Vegetation Due to Soyanggang Dam Construction. Journal of Korean Wetland Society 12(3): 1-13. 

  4. Choi, SU.Yoon, BM.Woo, HS and Cho, KH. 2004. Effect of Flow-Regime Change due to Damming on the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Downstream River Reach : A case of Hapchon Dam on the Hwa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1): 55-66.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4. Guideline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ees in Cultural Heritage location. 

  6. Kim, EJ.Kang, JG.Yeo, HK and Kim JT. 2014. Study on Flooding Tolerance of Salix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4): 327-333. 

  7. Koo, BH. 1997. The pla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Water Level Fluctuation Area in Dam Reservoir.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Field Guide Naturalized Plants of Korea. 

  9. K-water. 2003. The experimental research for ecological restoration water level Fluctuation Area in Dam Reservoir Slope(I). 

  10. K-water. 2004. The experimental research for ecological restoration water level alteration Section in Dam Reservoir Slope(II). 

  11. K-water. 2005. The experimental research for ecological restoration water level alteration Section in Dam Reservoir Slope(III). 

  12. Lee, T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13. Lowrance, R.R. Leonard and J. Sheridan. 1985. Managing riparian ecosystems to control nonpoint pollution.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40: 87-91. 

  14.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0. The Tree Physiology Research. 

  15. Park, SH.Park, CM and Oh, HK. 2008. Growth Characteristics of 4 Iris Species by Flooding Periods for Revegenation Plants Selection in Water Level Changing Slopes.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Ecology 22(6): 640-647. 

  16. U.S. EPA. 2002. Methods for Evaluating Wetland Condition: Using Vegetation To Assess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etlands. Office of Wate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EPA-822-R-0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