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속적인 극한호우사상의 발생을 가정한 거대홍수모의
Mega Flood Simulation Assuming Successive Extreme Rainfall Event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8 no.1, 2016년, pp.76 - 83  

최창현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한대건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정욱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재원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  김덕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연속적인 태풍에 의한 일련의 극한 호우 사상으로 홍수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인명과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해 발생한 극한홍수를 거대홍수라고 정의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극한 호우 사상이 연속적으로 발생 될 수 있음을 가정하여 가상의 거대홍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최소 무강우 시간 결정(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방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강우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였으며, IETD에 의해 산정된 시간 간격 안에서 호우 사상을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즉, (1) 기록된 극한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 발생 (2) 기왕 자료를 기반으로 빈도해석에 의해 산정된 설계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 발생을 가정하여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한 거대홍수는 단일 호우 사상으로 인한 일반 홍수에 비해 6~17%의 홍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호우 사상으로 인한 홍수량에 비해 뒤에 오는 호우로 인한 홍수량의 증가는 많지 않지만, 연속적인 호우는 두 번의 홍수피해를 가져오므로 가상의 거대홍수로 인한 홍수 피해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가상의 강우 시나리오를 통해 예상하지 못한 연속적인 홍수 재해와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the series of extreme storm events were occurred by those continuous typhoons and the severe flood damages due to the loss of life and the destruction of property were involved. In this study, we call Mega flood for the Extreme flood occurred by these successive storm events and so we c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를 검토한 결과 연속적인 호우 사상으로 인한 홍수에 관한 정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대홍수란 단기간에 호우 사상이 연속적으로 나타나 엄청나게 큰 홍수가 발생하는 시나리오 상황이라 정의하였다. 즉, 거대홍수란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해 발생한 극한홍수이다.
  •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극한 호우 사상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홍수 피해가 커지고 있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인 호우 사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상의 거대한 홍수를 사전적 의미로 정의하고, 단일 호우 사상으로 인한 일반 홍수와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한 거대홍수의 홍수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Fig.
  • 국내・외적으로 단일 호우 사상으로 인한 홍수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연속적인 호우 사상으로 인한 대규모 홍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인 호우 사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상의 대규모 홍수를 정의하기 위해 국내・외의 대규모 홍수에 관한 정의를 찾아보았다. 국외에서의 정의로 영어권에서 대규모 홍수를 나타낼 때 extreme flood 혹은 catastrophic flood는 통상 “예측되지 않은 정도의 큰 강우와 그로 인한 홍수 유출을 일으켜 침수와 유실로 인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홍수사상”이라고 정의한다(IACWD, 1982; Smith and Ward, 1998).
  • 평창강 유역의 기상 관측소에서 측정된 42개년(1973∼2014년) 강우 자료를 분석하여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창강 하천기본계획에서 사용한 설계빈도 100년과 지방하천 최대 설계빈도인 2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HEC-HMS에 입력하여 시나리오 2, 3의 홍수 모의를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속적인 태풍은 어떠한 피해를 입히는가? 특히 태풍 ‘PHANFONE’과 ‘VONGFONG’이 2014년 일본에서, 태풍 ‘FITOW’와 ‘DANAS’가 2013년 중국에서, 태풍 ‘BOLAVEN’, ‘TEMBIN’, ‘SANBA’가 2012년 한국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연속적인 태풍에 의해 일련의 극한 호우 사상들이 발생하였고, 생명 손실과 재산 파괴를 포함한 심각한 홍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2008년 제7호 태풍 ‘KALMAEGI’의 영향으로 약화된 지반에, 연이어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보았다.
한,중,일의 연속적인 태풍은 언제 발생하였는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와 그 피해는 전 세계적으로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특히 태풍 ‘PHANFONE’과 ‘VONGFONG’이 2014년 일본에서, 태풍 ‘FITOW’와 ‘DANAS’가 2013년 중국에서, 태풍 ‘BOLAVEN’, ‘TEMBIN’, ‘SANBA’가 2012년 한국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연속적인 태풍에 의해 일련의 극한 호우 사상들이 발생하였고, 생명 손실과 재산 파괴를 포함한 심각한 홍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영어권에서 대규모 홍수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인 호우 사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상의 대규모 홍수를 정의하기 위해 국내・외의 대규모 홍수에 관한 정의를 찾아보았다. 국외에서의 정의로 영어권에서 대규모 홍수를 나타낼 때 extreme flood 혹은 catastrophic flood는 통상 “예측되지 않은 정도의 큰 강우와 그로 인한 홍수 유출을 일으켜 침수와 유실로 인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홍수사상”이라고 정의한다(IACWD, 1982; Smith and Ward, 1998). 국내에서의 정의로 이상홍수 평가기술 개발 연구보고서(MOLIT, 2006)에서는 이상홍수를 설계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사상으로 정의하였고, 극한홍수를 과거에 기록된 강수나 홍수량 중 최고치의 홍수사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dams, BJ, and Papa, F (2000). Urban stormwater management planning with analytical probabilistic models, John Wiley & Sons, INC. 

  2. Adams, BJ, Fraser, HG, Howard, CD, and Sami HM (1986). Meteorological data analysis for drainage system design, J.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12(5), pp. 827-848. 

  3. Ahn HW and Yoo SY (2001). Numerical Simulation of Urban Flash Flood Experiments Using Adaptive Mesh Refinement and Cut Cell Method,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7), pp. 511-522. [Korean Literature] 

  4. Ahn JH, Lee JU and Choi CW (2011). Flood Mitigation Analysis for Abnormal Flood at the South Han River Basin, J. of KOSHAM, 11(5), pp. 265-272. [Korean Literature] 

  5. Choi CW, Ahn JH and Lee JU (2009).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 the South Han River Basin During Abnormal Floo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620-623. [Korean Literature] 

  6. Choi CW, Yoo MS and Lee JE (2012). Fuzzy Optimal 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Abnormal Flood.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4B), pp. 221-232. [Korean Literature] 

  7. Fryirs, K, Lisenby, P, and Croke, J (2015). Morphological and historical resilience to catastrophic flooding: The case of Lockyer Creek, SE Queensland, Australia, Geomorphology, 241, pp. 55-71. 

  8. Han GY and Choi GH (2002). Comparison Study on One- and Two-Dimensional Models for Extreme Flood Rout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6), pp. 1589-1592. [Korean Literature] 

  9. Han GY, Choi GH and Choi HJ (2003). Emergency Action Plan against Extreme Flood from Dam/Levee Break,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2348-2351. [Korean Literature] 

  10. Hong, CC, Hsu, HH, Lin, NH, and Chiu, H (2011). Roles of European blocking and tropical-extratropical interaction in the 2010 Pakistan flood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8(13). 

  11. Jang DW, Kim BS, Yang DM, Kim BG and Seo BH (2009). A Development of GIS based Excess Flood Protection System - Using Decision Support method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630-634. [Korean Literature] 

  12. Joo JG (2005). A Development of Rainfall Time Distribution Model for Urban Watershed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13. Kang HS, Kim SU and Hong HJ (2011). Numerical Investigations of Flood Level Reduction via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for Extreme Flood, J. of KOSHAM, 11(6), pp. 217-226. [Korean Literature] 

  14. Gangwon Province (2012). Pyeongchang River Master Plan, Gangwon Province. [Korean Literature] 

  15. Kwon, JH (2003). Rainfall Analysis to Estimate the Amount of Non-point Sourse Pollu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16. Larson, LW (1997). The great USA flood of 1993, IAHS Publications-Series of Proceedings and Reports-Intern Assoc Hydrological Sciences, 239, pp. 13-20. 

  17. Lecce, SA, Pease, PP, Gares, PA, and Rigsby, CA (2004). Floodplain sedimentation during an extreme flood: the 1999 flood on the Tar River, eastern North Carolina, Physical Geography, 25(4), pp. 334-346. 

  18. Matthews, WJ, Marsh, ME, Adams, GL and Adams, SR (2014). Two Catastrophic Flood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ffects on an Ozark Stream Fish Community, Copeia, 2014(4), pp. 682-693. 

  1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06).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 on the Abnormal Floo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2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A) (2011). Water Vision 202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n Literature] 

  2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MPSS) (2015). Disasters Yearbooks 2014,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Korean Literature] 

  22. Mudelsee, M, Borngen, M, Tetzlaff, G, and Grunewald, U (2003). No upward trends in the occurrence of extreme floods in central Europe, Nature, 425(6954), pp. 166-169. 

  23. Nix, SJ (1994). Urban stormwater modeling and simulation, CRC Press. 

  24. Porfiriev, BN (2015).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2013 catastrophic flood in the Far East, Herald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85(1), pp. 40-48. 

  25. Romanescu, G, and Stoleriu, C (2013). Causes and effects of the catastrophic flooding on the Siret River (Romania) in July-August 2008, Natural hazards, 69(3), pp. 1351-1367. 

  26. Smith, JA, Baeck, ML, Morrison, JE, Sturdevant, RP, Turner, GD and Bates, PD (2002). The regional hydrology of extreme floods in an urbanizing drainage basin, J. of Hydrometeorology, 3(3), pp. 267-282. 

  27. Smith, K and Ward, R (1998). Floods: physical processes and human impacts, John Wiley and Sons Lt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