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LE를 이용한 웨어러블 LED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설계
Design of Wearable LED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BLE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20 no.1 = no.76, 2016년, pp.99 - 106  

황홍택 (금오공과대학교 응용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스마트 단말기의 형태와 사용이 더 용이하도록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 줄 수 있는 효율적인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LED를 이용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전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옥외용 LED 디스플레이는 전용 컨트롤러와 함께 전용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로 적용할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개별사양에 적합한 드라이버 제작 및 별도의 통신방식을 구현해야만 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모듈과 통신을 위한 모듈을 분리하여, 독립성 및 확장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또한 최근 저전력 기술로 발전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인 Bluetooth 4.0 을 채택함으로써, 스마트 폰을 활용한 제어 시스템 구성이 가능함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arable display market is a consistently growing field to handle a smart device with ease. Wearable display is an efficient device that can show the information to the user. In this paper, propose the scheme of a wearable display using LED and implement it including controlling remotely with BL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모듈을 설계하고, 무선으로 제어를 위하여 BLE 기반의 시스템과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LE란 무엇인가? BLE는 기존의 bluetooth BR/EDR에 비하여 저전력, 디바이스 연결의 간소화, 패킷사이즈 감소 등으로 설계된 bluetooth 4.0 버전이다. BLE는 전력 사용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작 사이클을 감소시키고, GATT profile을 이용하여 소규모 데이터 패킷을 짧은 시간동안 전송하며, 통신하지 않는 동안은 링크를 유지 하지 않는다.
BLE는 어떤 영역으로 구분되는가? BLE는 application, host, controller 영역으로 구분하며, host 와 controller 영역 간 통신을 위하여 HCI(host controller interface)가 사용된다. 다음은 각 스택의 기능을 기술한다.
LED은 어떠한 장점으로 인해 교통 신호기, 전자 광고판, 최첨단 조명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가? LED (light emitting diode)는 유해 가스 배출이 없는 친환경 기술로서 저전력, 고효율의 특성으로 실내외 조명, 옥외 광고 등에 주로 사용된다. 색 재현율이 매우 높고 온도 및 휘도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교통 신호기, 전자 광고판, 최첨단 조명등의 기술이 연구, 개발 되고 있는 추세이다[1]. 기존 옥외 광고용으로 제작되는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LED 모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그리고 콘텐츠 제작 및 전송을 위한 전용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B. Jung, J. Y. Lee and H. Kim, "Study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wearable smart devices," in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Korea: Jeju, Summer, 2014. 

  2. I. J. Jun and K. Y. Chung, "Life weather index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based smart cap,"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9, No. 12, pp. 477-484, Sep. 2009. 

  3. J. I. Lee, "A study on the flexible display R&D technology design convergence," Korea Science & Art Forum, Vol. 18, pp. 519-529, Dec. 2014. 

  4. B. H. Cho, "Design of restaurant advertisement and order system using bluetooth 4.0 technology,"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5, No. 1, pp. 69-76, Feb. 2015. 

  5. U. J. Lee, H. Y. Park and H. C. Shin, "Implementation of a bluetooth-LE based wireless ECG/EMG/PPG monitoring circuit and system,"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1, No. 6, pp. 261-268, June. 2014. 

  6. W. J. Lee, W. S. Hwang and J. S. Kim,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41, No. 2, pp. 33-42, Mar. 2014. 

  7. S. H. Shin and H. Y. Kim, "Wireless LED lighting control using the smartphon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6, pp.3385-3390, June. 2015. 

  8. S. H. Kang and S. W. Hong, "Resent progress in flexible/wearable electronics,"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Vol. 32, No. 3, pp. 32-42, June. 2014. 

  9. J. H. Lee, H. Y. Chu, K. S. Suh and K. Y. Kang, "Flexible displa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ETRI, Vol. 20, No. 6, pp. 48-61, Dec. 2012. 

  10. S. B. Hong,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formation's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bluetooth," The Journal of Korea Navigation Institute, Vol. 13, No. 5, pp. 787-792, Oct. 2009. 

  11. J. S. Bae and S. G. Kang, "Implementation of a point-to-multipoi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bluetooth,"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ol. 13, No. 9, pp. 1921-1927, Sep. 2009. 

  12. S. O. Moon, "An adaptive frequency hopping method in the bluetooth baseban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2, pp. 237-241. Apr. 2005. 

  13. Y. J. Ha, B. Y. Jin and S. Kim, "Design of the high speed data processing controller for the LED full color display board system," in Proceeding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Mokpo; Korea, pp. 493-499, June. 2009. 

  14. N. M. Benbernou, Geometric algorithms for reconfigurable structures, Ph.D. dissertation, Dept. of Mathematics, MIT, Sep. 2011. 

  15. E. T. Filipova, T. Tachib and P. Glaucio H. "Origami tubes assembled into stiff, yet reconfigurable structures and metamaterials,"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Vol. 112, No. 40, pp. 12321-12326, Oct. 2015. 

  16. Orilamps co., Ltd., A bluetooth-enabled, multi-purpose modern lamp, Jan. 2016, [Internet]. Available: http://orilamps.com/orilamp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