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사량에 기초한 증발량 산정방법들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vaporation estimation approaches based on solar radi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2, 2016년, pp.165 - 175  

임창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사량에 기초한 증발량 산정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에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식들을 3가지 형태의 model group (Model groups A, B, and C)으로 분류하고, 이를 우리나라 6개 지역(서울, 대전, 전주, 부산, 목포, 제주)에 적용하였다. 증발접시 증발량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model group들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Penman (1948) 조합식을 적용하여 이들 model group들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모든 지역에서 Nash-Sutcliffe (N-S) 효율지수가 0.663 이상을 보여서 만족스러운 증발량 산정결과를 보였다. 모형 검증과정에서 산정된 N-S 효율지수는 모든 연구지역에서 0.526이상을 보여서 역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나, 부산지역에서 적용된 Model groups B와 C를 제외하고는 모두 Penman (1948) 조합식보다 작은 N-S 효율지수를 보였다. 따라서 주요 기상자료 일부(풍속, 상대습도)가 부족하거나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 증발량 산정을 위해서 Penman (1948) 조합식을 대체하여 일사량자료에 기초한 증발량 산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the evaporation estimation approaches based on solar radiation a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model groups (Model groups A, B, and C) in this study. Each group is tested in the 6 study stations (Seoul, Daejeon, Jeonju, Busan, Mokpo, and Jeju). The model par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에너지수지나 공기동력학적 방법이외에 기온자료만을 이용한 경험적인 방법(Thornthwaite, 1948; Blaney and Criddle, 1950; Papadakis, 1961)과 일사량자료를 이용한 경험적인 방법이 있다(Makkink, 1957; Jensen and Haise, 1963; Stephens and Stewart, 1963; McGuinness and Bordne, 1972; Doorenbos and Pruitt, 1977; Hargreaves and Samni 1982, 1985; Abtew, 1996). 본 연구에서는 증발량에 미치는 기후요소 중의 하나인 일사량에 기초하여 증발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과거 제시된 식들을 적용하여 증발량을 산정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증발접시 증발량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식들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것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증가는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IPCC, 2007).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증발량의 증가는 지역적으로 가뭄을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증발량의 증가가 초래한 결과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증가는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IPCC, 2007).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증발량의 증가는 지역적으로 가뭄을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지역에 따라 정확한 증발량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필요하다.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방법 중 에너지수지, 공기동력학적 방법은 어떤 것인가? 에너지수지를 이용한 방법은 지표면이나 저수지 수면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수지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Lenters et al., 2005; Gianniou and Antonopoulos, 2007; Delclaux et al., 2007). 공기동력학적 방법은 가장 오래된 증발량 산정방법 중에 하나로서 Dalton (1802)의 법칙에 근거하고 있으며, 증발표면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수분입자의 확산이동 현상을 모형화하여 증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Rohwer, 1931; Konstantinov, 1968; Jensen, 1973).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식으로 표현되고, 상대적으로 적은 기상관측자료를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btew, W. (1996). "Evapotranspiration measurement and modeling for three wetland systems in South Florida."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32, pp. 465-473. 

  2. Allen, R.G., Peret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AO, ISBN 92-5-104219-5. 

  3. Blaney, H.F., and Criddle, W.D. (1950). Determining water requirements in irrigated areas from climatological and irrigation data. U.S. Dept. Agriculture, Soil Conserv. Service, Tech. Paper 96, p. 48. 

  4. Brutsaert, W.H., and Stricker, H. (1979). "An advection-aridity approach to estimate actual regional evapotranspi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 15, pp. 443-450. 

  5. Dalton, J. (1802). "Experimental essays on the constitution of mixed gases: on the force of steam or vapour from water or other liquids in different temperatures, both in a Torricelli vacuum and in air; on evaporation; and on expansion of gases by heat." Manchester Lit. Phil. Soc. Mem. proc., Vol. 5, pp. 536-602. 

  6. DeBruin, H.A.R. (1978). "A simple model for shallow lake evaporation." J. Appl. Meteorol., Vol. 17, pp. 1132-1134. 

  7. DeBruin, H.A.R., and Keijman, J.Q. (1979). "The Priestley-Yaylor evaporation model applied to a large, shallow lake in the Netherlands", J. Appl. Meteorol., Vol. 18, pp. 898-903. 

  8. Delclaux, F., Coudrain, A., and Condom, T. (2007). "Evaporation estimation on lake Titicaca: a synthesis review and modelling." Hydrological Processes, Vol. 21, pp. 1664-1677. 

  9. Doorenbos, J., and Pruitt, W.O. (1977). Crop water requirements.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24,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pp. 144. 

  10. Gianniou, S.K., and Antonopoulos, V.Z. (2007). "Evaporation and energy budget in lake Vegoritis Greece." Journal of Hydrology, Vol. 345, pp. 212-223. 

  11. Han, J.S., and Lee, B.Y. (2006). "Measurement and analysis of free water evaporation at HaeNam paddy field."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7, No. 1, pp. 92-98. 

  12. Hargreaves, G.H. (1975). "Moisture availability and crop production."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18, pp. 980-984. 

  13. Hargreaves, G.H., and Samani, Z.A. (1982). "Estima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J. Irrig. and Drain Engr., ASCE, Vol. 108(IR3), pp. 223-230. 

  14. Hargreaves, G.H., and Samni, Z.A. (1985).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from temperature." Transaction of ASCE, Vol. 1, No. 2, pp. 96-99. 

  15.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6. Jensen, M.E., and Haise, H.R. (1963).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from solar radiation.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Divisio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89, pp. 15-41. 

  17. Jensen, M.E. (1973) Consumptive use of water and irrigation requirements. ASAE, New York. 

  18. Jo, H.G. (1973). "On lake evaporation from climatological data in Ko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Vol. 6, No. 1, pp. 5-12. 

  19. Kohler, M.A., Nordenson, T.J., and Fox, W.E. (1955). Evaporation from pans and lakes. U.S. Dept. Commerce Research. Paper. No. 38. 

  20. Kohler, M.A., and Richards, M.M. (1962). "Multicapacity basin accounting for predicting runoff from storm precipit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7, pp. 5187-5197. 

  21. Konstantinov, A.R. (1968). Evaporation in nature. Leningrad. 

  22. Lagos, L.O. Martin, D.L., Verma, S.B., Irmak, S., Irmak, A., Eisenhauer, D., and Suyker, A. (2011). "Surface energy balance model of transpiration from variable canopy cover and evaporation from residue-covered or bare soil systems: model evaluation." Irrigation Science, DOI: 10.1007/s00271-011-0298-9. 

  23. Lee, K.H., and Kim, M.I. (1985). "Seasonal variations of the evapor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Vol. 18, No. 3, pp. 243-251. 

  24. Lenters, J.D., Kratz, T.K., and Bowser, C.J. (2005). "Effects of climate variability on lake evaporation: Results from a long-term energy budget study of Sparkling Lake, northern Wisconsin(USA)." Journal of Hydrology, Vol. 308, pp. 268-195. 

  25. Makkink, G.F. (1957). "Testing the Penman formula by means of lysimeters." Journal of the Institution of Water Engineers, Vol. 11, pp. 277-288. 

  26. McGuinness, J.L. and Bordne, E.F. (1972). A comparison of Lysimeter-deriv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ith computed values. Technical Bulletin 1452,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pp. 71. 

  27. Mkhwanazi, M., Chavez, J.L., and Rambikur, E.H. (2012). "Comparison of Large aperture scintillometer and satellitebased energy balance models in sensible heat flux and crop evapotranspiration deter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Applications. Vol. 12, pp. 24-30. 

  28. Monteith, J.L. (1965). "Evaporation and environment." Symp. Soc. Exp. Biol., Vol. 19, pp. 205-234. 

  29.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1. A discussion of principles." J.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30. Papadakis, J. (1961). Climate tables for the world. Publ. by Author, Buenos Aires, p.175. 

  31. Paul, G., Gowda, P.H., Prasad, V., Howell, T.A., and Staggenborg, S.A. "Evaluating surface energy balance system(SEBS) using aircraft data collected during BEAREX07."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11: Bearing knowledge for sustainability, pp. 2777-2786. 

  32. Penman, H.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 Roy. Soc. London, Vol. A193, pp. 120-146. 

  33. Penman, H.L. (1956). "Evaporation. An introductory survey." Neth. J. Agric. Sci. Vol. 4, pp. 9-29. 

  34. Preistley, C.H.B., and Taylor, R.J. (1972). "On the assessment of the surface heat flux and evaporation using large-scale parameters." Monthly Weather Review, Vol. 100, No. 2, pp. 81-92. 

  35. Rohwer, C. (1931). Evaporation from free water surfaces. USDA Technical Bulletin No. 271. 

  36. Shuttleworth, W.J. and Wallace, J.S. (1985). "Evaporation from sparse crops-an energy combination."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11, pp. 839-855. 

  37. Stephens, J.C., and Stewart, E.H. (1963). A comparison of procedures for computing evaporation and evapotranspiration. Publication 62,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Hydrology. International Union of Geodynamics and Geophysics, Berkeley, pp. 123-133. 

  38. Thorn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 Rev., Vol. 38, pp. 55-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