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PHR)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소비자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PHR) Application on Consumer Health Behavior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3 no.4 = no.102, 2016년, pp.7 - 26  

이용정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 어플리케이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소비자 건강정보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7명의 대학생들이 3개월 동안 PHR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예방 차원의 건강관리 및 건강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와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제공, 가족과의 데이터 공유 및 간병인(caregiver)의 환자 건강관리지원, 무엇보다도 환자와 의료전문가와의 상호작용 강화 등이 PHR의 혜택으로 부각되었다. 반면 근력운동과 같은 콘텐츠의 미비 내지는 타 기기와의 호환성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PHR의 도움으로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감정적 지원을 받는가 하면, 수면장애극복, 금주, 금연, 그리고 체중감량 및 식습관의 변화 등 건강행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생겼으며, 실제로 건강행태의 변화를 성취함으로써 자기효능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는 도입단계인 PHR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헬스케어분야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강 및 의료정보서비스를 모색하는데 통찰력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 (PHR) application and identifying its impacts o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behavior. For the study, twenty-seven college students used a PHR application for three months, based on which the stu...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고인석, 장혜정 (2013). PHR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8(1), 26-38.(Ko, In-Seok, & Chang, Hye-Jung (2013). Development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n the intention of using PH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8(1), 26-38.) 

  2. 박경은, 박주화, 조광수 (2014). 개인건강정보기록 활용의 변화 및 애플, 구글의 플랫폼 전략 전망.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312-313.(Park, Kyoung-Eun, Park, Ju-Hwa, & Cho, Kwang-Su (2014). Changes in personal health record and forecasting for personal big data platform strategy of Apple and Google. Proceedings of HCI Korea 2014, 312-313.) 

  3. 박종태, 천승만, 김균열 (2012). U-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활용 기술 동향 및 문제점 분석. 한국통신학회지논문지, 29(10), 45-54.(Park, Jong-Tae, Cheon, Seung-Man, & Kim, Kyun-Yul (2012). An analysis of smartphone application technologies and their challenges for u-healthcare. Journal of Korean Communication, 29(10), 45-54.) 

  4. 배세은, 김하연, 손현석, 이현실 (2011). 개인보건정보기록에 대한 인지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4), 1703-1710. https://doi.org/10.5762/kais.2011.12.4.1703(Bae, Se-Eun, Kim, Ha-Yeon, Son, Hyeon-Seok, & Rhee, Hyun-Sill (2011). Recogni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4), 1703-1710. https://doi.org/10.5762/kais.2011.12.4.1703) 

  5. 백은혜, 임성원, 김한결, 이현실 (2012). 보건대학생과 의과대학생 간의 개인건강기록(PHR) 인식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10(10), 373-382.(Baek, Eun-Hae, Lim, Sung-Won, Kim, Han-Kyoul, & Rhee, Hyun-Sill (2012). The comparison of recognizing personal health record between healthcare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0), 373-382.) 

  6. 이명규, 황희정 (2015). 개인건강기록 서비스에서 보안취약성 및 위협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5(6), 163-171. https://doi.org/10.7236/jiibc.2015.15.6.163(Yi, Myung-Kyu, & Hwang, Hee-Joung (2015). A study on security weakness and threats in 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5(6), 163-171. https://doi.org/10.7236/jiibc.2015.15.6.163) 

  7. Cocosila, M., & Archer, N. (2014). Perceptions of chronically ill and healthy consumers about electronic personal health records: A comparative empirical investigation. BMJ Open, 4(7), e005304. https://doi.org/10.1136/bmjopen-2014-005304 

  8. Doyle-Lindrud, S. (2014). Mobile health technology and the use of health-related mobile application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8(6), 634-636. https://doi.org/10.1188/14.cjon.634-636 

  9. Huber, J. T., & Swogger, S. (Eds.). (2014). Introduction to reference sources in the health sciences (6th ed.). Chicago, IL: Neal-Schuman. 

  10. Johnson, D. (2014).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 J. Huber & S. Swogger (Eds.), Introduction to reference sources in the health sciences (6th Ed.) (pp. 1-15). Chicago, IL: Neal-Schuman. 

  11. Kharrazi, H., Chisholm, R., VanNasdale, D., & Thompson, B. (2012).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An evaluation of features and function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1(9), 579-593. https://doi.org/10.1016/j.ijmedinf.2012.04.007 

  12. Krebs, P., & Duncan, D. T. (2015). Health app use among US mobile phone owners: A national survey. JMIR mHealth and uHealth, 3(4), e101. https://doi.org/10.2196/mhealth.4924 

  13. Krist, A. H., Peele, E., Woolf, S. H., Rothemich, S. F., Loomis, J. F., Longo, D. R., & Kuzel, A. J. (2011). Designing a patient-centered personal health record to promote preventive care.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11(1). https://doi.org/10.1186/1472-6947-11-73 

  14. Lamonaca, F., Polimeni, G., Barbe, K., & Grimaldi, D. (2015). Health parameters monitoring by smartphone for quality of life improvement. Measurement, 73, 82-94. https://doi.org/10.1016/j.measurement.2015.04.017 

  15. Lee, H. E., & Cho, J. (2016). What motivates users to continue using diet and fitness apps? Application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Health Communication, 1-9. https://doi.org/10.1080/10410236.2016.1167998 

  16. Liu, L. S., Shih, P. C., & Hayes, G. R. (2011, February). Barriers to the adoption and use of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Proceedings of the 2011 iConference, 363-370. https://doi.org/10.1145/1940761.1940811 

  17. Nahl, D. (2007). The centrality of the affective in information behavior. In D. Nahl & D. Bilal (Eds.), Information and emotion: The emergent affective paradigm in information behavior (pp. 3-37). Medford, NJ: Information Today. 

  18. Pifalo, V., Hollander, Su., Hendeson, C., DeSalvo, P., & Gill, G. (1997). The impact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libraries: The delaware experience. Bulletin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85(1), 16-22. 

  19. Tactio Health Group (2015). Retrieved from http://www.tactiohealth.com/ 

  20. Vance, B., Tomblin, B., Studeny, J., & Coustasse, A. (2014). Personal health records: Benefits and barriers for its adoption. Insights to a Changing World Journal, 2014(4), 48-67. 

  21. Witry, M. J., Doucette, W. R., Daly, J. M., Levy, B. T., & Chrischilles, E. A. (2010). Family physician perceptions of personal health records. Perspectives in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7(Winter), 1-12. 

  22. Yi, Y. J. (2015). Consumer health information behavior in public libraries: A qualitative study. Library Quarterly: Information, Community, Policy, 85(1), 45-63. https://doi.org/10.1086/679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