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 국제표준 적용 원문보기

정보와 통신 : 한국통신학회지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34 no.1, 2016년, pp.58 - 69  

김대영 (KAIST) ,  정성관 (KAIST) ,  김상식 (KAIST) ,  김상태 (KAIST) ,  변재욱 (KAIST) ,  우성필 (KAIST) ,  임장관 (KAIST) ,  윤원득 (KAIST) ,  허세현 (KAIST) ,  조혜은 (KAIS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글로벌 식품 시장의 확대와 변화하는 소비자의 식품 소비 패턴은 기존의 농식품 서비스 산업에 큰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다가오는 식품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각화된 유통구조에서 오는 식품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급변하는 시장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스마트 팜 에서부터 유통물류, 그리고 식품안전, O2O 등 식품 응용서비스의 기반이 될 수 있는 GS1 표준 글로벌 식품 생태계를 소개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글로벌 표준 단체인 GS1에서는 EU1169에 대응하는 표준으로 GDSN과 GS1 Source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2017년 1월 부터 EU에서 73개의 연구 기관이 참여하는 Internet of Food and Farm(IoF) 2020 이라는 초대형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는데,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식품 안전 시스템을 개발하고, IoT 산업과 식품 안전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 농식품 서비스 관련 표준안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GS1의 주요 Work Group들을 소개한다.
  • 2 (TSD Standard 및 TSD Product Data Modules Standard 포함) 표준안은 상품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고 저장 및 공유하기 위한 방법론을 정의한다. 데이터 저장을 위한 스키마 정의 및 저장소 간 정보 공유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것이 표준의 주요 목표이다.
  •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식품 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GS1 국제 표준을 소개하고, 관련된 GS1 표준의 Work Group 과 주요 표준안,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내 표준안 현황을 소개하였다. 한국의 주요 식품 교역 대상국들은 이미 글로벌 식품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GS1 표준을 중심으로한 표준 식품 데이터 체계 구축을 통해 다가오는 차세대 식품 생태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식품 산업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한 시장의 지배적인 국제 표준인 GS1 표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GS1 표준은 다양한 사물 및 물류의 식별체계와 데이터 표준 공유 체계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및 비즈니스 표준으로써 현재 미국의 FSMA, 유럽의 EU1169/2011, 중국의 식품안전법에 대응하는 표준안 및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 FSMA에 대응하기 위해 Institute of Food Technologies (IFT)에서는 traceability를 위한 pilot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미농무부, 농업 국무부, 공중보건 국무부, 산업부, 소비자 그룹, 비영리기관 등을 포함한 100개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는 식품이력추적 프로젝트로서, 공급사슬에서 식품을 추적하는 것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식품 안전에 대한 예방책으로서 위험 식품을 유통받은 사람들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찾고 그 방법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GS1에서는 IFT traceability 의 pilot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 농식품 ICT 융합 표준 포럼에서는 2015년 8월 Auto-ID Labs KAIST, ETRI, KT, 이지팜, 순천대학교 등이 주축을 이루어 농식품 유통 분과위원회를 신설하였으며, GS1 표준을 국내 농식품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응용 표준안 개발작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번 장에서는 농식품 ICT 융합 표준 포럼과 TTA에서 채택된 대표적인 GS1 응용표준안들을 살펴본다.
  • 최종적으로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내외의 농축산물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합된 농축산물 서비스 검색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S1는 어떤 기구인가요? GS1은 데이터 중심 글로벌 비즈니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사물 정보의 식별(Identify), 수집(Capture), 공유(Share), 활용(Use)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비영리 국제표준 기구로서, 2017년 기준 112개 회원국과 수백만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인 기업들로 구성된다. 미국의 바코드 체계인 UPC(Universal Product Code)를 관리하기 위해 1973년 설립된 UCC(Uniform Code Council)와 1977년 유럽의 바코드 체계인 EAN(European Article Number)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EAN(European Article Numbering Association)은 1990년 UCC/EAN으로 합병된 이후 2005년부터 GS1으로 통합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GS1의 기반 표준은 분류할 때, 표준안의 어떤 목적에 따라 나누나요?? GS1의 기반 표준은 표준안의 목적에 따라 식별(Identify), 수집(Capture), 공유(Share), 활용(Use)으로 분류 된다.
2011년 미국이 시행한 식품안전현대화법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미국은 오바마 정부에서 2011년 식품안전현대화법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FSMA)를 시행하였다. 미국 FDA의 권한이 강화된 것이 특징으로, FDA는 식품 공급 전반에 걸쳐 포괄적이고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통제를 요구할 권한을 갖게 되었다. 이는 미국 국내 식품 뿐 아니라 해외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식품에도 적용된다. FDA는 수입 업체로 하여금 공급자 증명 제도 (Foreign Supplier Verification Program) 를 시행하도록 요구하고, 업체가 FDA의 검사를 허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FDA는 수입 식품의 반입을 거부할 수 있다. 2016년 7월 이후로는 통조림, 가공식품 등 일부 식품에 한해서 적용되던 HACCP이, 모든 식품에 적용되는 HARPC로 강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산업자원통상부, "전세계 FTA 체결 현황", http://www.ftahub.go.kr/main/situation/fta/world/ 

  2. 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Retrieved from http://oliot.org 

  3. Diane Taillard, "Traceability Interest Group", GS1 Industry and Standards Event 2016, Brussel, Belgium, Oct 3-7, 2016 

  4. 변재욱, 김대영, "농산물 식품 생산, 유통 및 소비 정보 서비스", TTA Standard TTAK.KO-10.0941, 2016 

  5. 우성필, 김대영, "농산물 생장 및 유통 환경 모니터링 센서 정보 운용 방법", TTA Standard TTAK.KO-10.0939, 2016 

  6. 김상식, 김대영, "협동조합을 위한 가축 이력 사설 인증 방법", TTA Standard TTAK.KO-10.0938, 2016 

  7. 조혜은, 김대영, "농축산물 식품 메타데이터 모델링 가이드 라인", TTA Standard TTAK.KO-10.0940, 2016 

  8. 윤원득, 김대영, "농축산물 서비스 탐색 구조", TTA Standard TTAK.KO-10.0942, 2016 

  9. 글로벌이코노믹, "농협인삼, GS1표준과 ICT기술 접목으로 해외시장 적극 공략",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610191724462968882_1/article.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