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위험 조기경보를 위한 웹기반 표출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arly Warning System for Meteorological Hazard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4, 2016년, pp.21 - 28  

공인학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김홍중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오재호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이양원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우, 폭염, 한파와 같은 기상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상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현재시점의 기상특보를 제공하고 있고,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장재해에 대한 2일 예보를 일부 지역에 대해 시범서비스 하고 있다. 이러한 기상위험 조기경보 시스템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국적인 고해상도 예측자료와 Web GIS가 통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시간 간격, 1km 해상도수치예보 자료와 Web GIS가 통합된 형태의 기상위험 조기경보 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지구모델 GME의 다운스케일링을 통해 시공간분해능이 향상된 기상위험 예측자료가 Web GIS를 통해 표출되도록 하였으며, 오픈소스 기반의 지도 API와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시각화기법을 결합하여 동적 인터액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다. 711,504개 격자점에 대하여 1시간 간격의 위도, 경도, 기온, 강수량 등 9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하여 오픈소스 기반의 DBMS인 PostgreSQL을 사용하였으며, Spring과 myBatis를 연동하여 전자정부 프레임웍기반의 웹서비스를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은 현재의 기상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향후 7일간의 호우, 폭염, 한파 등 기상위험 예측정보가 1시간 간격 및 읍면동 단위로 제공된다. 이 시스템이 현업운용 되기 위해서는 수치예보의 정확도 향상과 함께 래스터 및 벡터 자료의 전처리시간 단축이 향후과제로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eric weather prediction is important to prevent meteorological disasters such as heavy rain, heat wave, and cold wav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ovides a realtime special weather report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emonstrates information about 2-day warning of agri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기상위험 조기경보 시스템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국적인 고해상도 예측자료와 웹GIS가 통합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지예보모델이 1시간 간격으로 1.5 km 해상도의 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에 준하여 실험적으로 1시간 간격, 1 km 해상도의 수치예보 자료와 웹GIS가 통합된 기상위험 조기경보 서비스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럽중기예보센터(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의 전지구모델 GM(global model)과 지역모델 EM(European model)을 결합한 예보모델인 GME(Majewski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기상재해로 인해 생긴 피해는? , 2015). 이러한 기상재해로 인하여 2005년에서 2014년까지 10년 동안 약 62억 원의 재산피해 및 270명의 사망ㆍ실종, 2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바 있다. 피해 중 50%는 집중호우가 원인이었고, 30%는 태풍, 대설, 풍랑, 강풍 등의 순으로 집계되었다(KMA, 2015).
기상예측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호우, 폭염, 한파와 같은 기상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상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현재시점의 기상특보를 제공하고 있고,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장재해에 대한 2일 예보를 일부 지역에 대해 시범서비스 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상청은 어떤 수치예보모델을 사용하고 있는가? 기상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상예측이 매우 중요하며, 현재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수치예보모델을 통해 기상예측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수치예보모델은 영국 기상청(Met Office)의 UM(unified model)에 기초하고 있으며, 공간규모에 따라 12 km 해상도의 지역예보모델과 1.5 km 해상도의 국지예보모델로 나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S. H., Park, K. J., Kim, J. Y. and Kim, B. J.,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and damage for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2, pp. 133-144. 

  2. Fielding, R. and Taylor, R., 2002, Principled design of the modern web architecture, ACM Transactions on Internet Technology, Vol. 2, No. 2, pp. 115-150. 

  3. Garrett, J. J., 2005, Ajax: A new approach to web applications, Adaptive Path, http://adaptivepath.org/ideas/ajax-new-approach-web-applications/ 

  4. Kim, J. Y., Kim, D. Y., Oh, J. H., Kim, S. H., Kim, H. G., Kang, Y. H., Kim, J. J. and Cho, C. H., 2015, Sensitivity evaluation of surface wind simulations by surface drag parameterization and spatial resolution using WRF model,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19, No. 3, pp. 77-83. 

  5. Kim, O. Y. and Oh, J. H., 2010, Verification of performance of the high resolution QPF model for heavy rainfall event over the Korean Peninsul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6, No. 2, pp. 119-133. 

  6. KMA, 2015, Meteorological disaster statistic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weather/lifenindustry/disaster_02.jsp 

  7. KMA, 2016, Meteorological data open porta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s://data.kma.go.kr/ 

  8. Kraak, M. J., 2004, The role of the map in a Web-GIS environment,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Vol. 6, No. 2 pp. 83-93. 

  9. Lee, Y. H. and Kim, H. S., 2014, A study on Ajax method RIA solution service configuration and using outloo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12, No. 2, pp. 189-195. 

  10. Lee, Y. S., Kim, Y. H. and Kim, U. M., 2015, Performance analysis on the data query operations of RDBMS, Proc.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Seoul, Korea, pp. 370-371. 

  11. Li, W., Song, M., Zhou, B., Cao, K. and Gao, S., 2015,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s for geospatial web services in a cyberinfrastructure environment - A case study with a disaster management portal,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54, pp. 314-325. 

  12. Majewski, D., Liermann, D., Prohl, P., Ritter, B., Buchhold, M., Hanisch, T., Paul, G. and Wergen, W., 2002, The operational global icosahedral-hexagonal gridpoint model GME: Description and high-resolution tests, Monthly Weather Review, Vol. 130, pp. 319-338. 

  13. NOAA, 2016, Weather-ready nation,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http://www.weather.gov/ 

  14. Oh, J. H. and Kim, O. Y., 2010,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f natural disaster for local governments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6, No. 2, pp. 19-30. 

  15. Park, Y. M, Moon, A. K., Yoo, H. K., Jung, Y. C. and Kim S. K., 2010, SOAP-based web services vs. RESTful web service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25, No. 2, pp. 112-120. 

  16. RDA, 2016,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ttp://new.agmet.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