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Pisc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화학적 연구
An Anatomical and Histochemical Study of the Olfactory Organ in Rice-fish Oryzias sinensis(Pisces: Adrianichthyidae) in South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8 no.4, 2016년, pp.223 - 228  

김현태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용주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의 후각기관을 실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 및 조직 화학적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전체적 구조에서 후각기관은 두부의 주둥이 위에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다소 떨어져있는 전비공과 후비공, 한 개의 비강, 한 개의 비낭으로 구성되었다. 비강내 상피는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층으로 구분되었다. 감각상피는 후감각세포, 지지세포, 기저세포 그리고 공포들로 구성되었다.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 세포, 산성과 중성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었다. 비낭의 상피층은 층상상피세포와 배상세포들로 구성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대륙송사리의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화학적 특징들은 농경지에서의 정체되고 오염되어있는 수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Oryzias sinensis was researched using a stereo microscope and light microscope. In the gross structure, the paired olfactory organs on the dorsal part of the head consist of two nostrils (a circular anterior nostril and a slit posterior nostril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atipes has only been reported by Yamamoto (1982), and information on the anatomy and histochemistry of genus Oryzias is required further for any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O. sinensis and draw comparison analysis with relationship to its habita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o, L., R. Causee and E. Zhang. 2012. Revision of the loach species Barbatula nuda (Bleeker 1865) (Pisces: Balitoridae) from North China,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Inner Mongolia. Zootaxa, 3586: 236-248. 

  2. Cox, J.P. 2008. Hydrodynamic aspects of fish olfaction. J. Roy. Soc. Interface, 5: 575-593. 

  3. Doving, K.B., M. Dubois-Dauphin, A. Holley and F. Jourdan. 1977.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of fish and the ciliary mechanism of water transport. Acta Zool., 58: 245-255. 

  4.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09. Cellular architecture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olfactory rosette of Wallago attu (Bleeker). Turkish J. Fish Aquat. Sci., 9: 187-190. 

  5.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1. Distribution and organization of different cells lining the olfactory epithelium of the Indian minor carp, Labeo bata (Hamilton 1822): a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Pakistan J. Biol. Sci., 14: 736-741. 

  6.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4. Hist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olfactory epithelium of banded pearl spot Etroplus suratensis (Bloch, 1790). J. Entomol Zool. Stud., 2: 78-82. 

  7. Gurr, G.T. 1956. A practical manual of medical and biological staining techniques. Interscience, New York, pp. 1-99. 

  8. Hansen, A. and E. Zeiske. 1998.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 of the zebrafish, Danio rerio: An ultrastructural study. Chemical Senses, 23: 39-48. 

  9. Hara, T.J. 1986. Role of olfaction in fish behaviour. In: Pitcher, T.J. (ed.), The behaviour of teleost fishes. Springer US, pp. 152-176. 

  10. Kasumyan, A.O. 2004. The olfactory system in fish: structure, function, and role in behavior. J. Ichthyol., 44: 180-223. 

  11. Kim, H.T. and J.Y. Park. 2014. Structure of the egg envelope in rice-fish Oryzias sinensis Chen, Uwa & Chu, 1989, with comments on the relationship to Oryzias latipes. J. Appl. Ichthyol., 30: 156-159. 

  12. Kim, H.T., H.S. Kim and J.Y. Park. 2016. Th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sand goby Favonigobius gymnauchen (Pisces, Gobiidae). Korean J. Ichthyol., 28: 29-35. 

  13. Kim, H.T., Y.J. Lee, J.S. Park and J.Y. Park. 2014.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eripheral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mudskipper, Scartelaos gigas (Pisces, Gobiidae). Korean J. Ichthyol., 26: 281-287. 

  14.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Korea. pp. 388-389. (in Korean). 

  15. Kumari, K. 2008.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rosette of a teleostean fish: Catla catla (Ham.). Our Nature, 6: 30-37. 

  16. Mokodongan, D.F., R. Tanaka and K. Yamahira. 2014. A new ricefish of the Genus Oryzias (Beloniformes, Adrianichthyidae) from Lake Tiu, Central Sulawesi, Indonesia. Copeia, pp. 561-567. 

  17. Mowry, R.W. 1956. Alcian blue technique for the hisochemical study of acidic carbohydrates. J. Histochem. Cytochem., 4: 407-408. 

  18. Ojha, P.P. and A.S. Kapoor. 1973.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lfactory apparatus in the freshwater carp, Labeo rohita Ham. Buch. J. Morphol., 140: 77-85. 

  19. Parenti, L.R. 2008. A phylogenetic analysis and taxonomic revision of ricefishes, Oryzias and relatives (Beloniformes, Adrianichthyidae). Zool. J. Linn. Soc., 154: 494-610. 

  20. Sarkar, S.K. and S.K. De. 2011. Functional morphoanatomy of olfactory sensory epithelial cells of Pseudapocryptes lanceolatus (Bloch and Schneider). I.J.S.N., 2: 1-6. 

  21. Saruwatari, T., J.A. Lopez and T.W. Pietsch. 1997. A revision of the osmerid genus Hypomesus Gill (Teleostei: Salmoniformes),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the southern Kuril Islands. Species Diversity, 2: 59-82. 

  22. Shephard, K.L. 1994. Functions for fish mucus. Rev. Fish. Biol. Fisheries, 4: 401-429. 

  23. Timm-Davis, L.L. and F.E. Fish. 2015. Flow through the nasal cavity of the spiny dogfish, Squalus acanthias. Eur. Phys. J. Special Topics, 224: 3407-3417. 

  24. Yamamoto, M. 1982.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s in teleosts. In: Hara, T.J. (ed.), Chemoreception in fishes; Elsevier, Amsterdam, pp. 39-59. 

  25. Zeiske, E., B. Theisen and H. Breucker. 1992. Structure, development, and evolutionary aspects of the peripheral olfactory system. In: Hara T.J. (ed.), Fish chemoreception; Springer Netherlands, pp. 1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