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남성의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milies' Health Level on Married Men's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4, 2016년, pp.19 - 34  

서종수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조희금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이재법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n life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577 married men from August 29 to September 22 in 2014; it was handed out via mail and hand delivery. The families's health level of married men was, strength of family rela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나의 생활영역에서 인간이 얻는 만족감은 매우 제한적이므로, 일과 여가, 가족을 비롯한 다양한 생활영역을 통해서 생활만족을 충족시켜야 한다(윤소영,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생활의 여러 측면을 구분하여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생활만족도에 가정의 건강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를 통하여 기혼남성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또한 가정건강성의 하위 요인인 가족관계건강성의 경우 연령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며, 자원관리건강성의 경우 연령, 월 소득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고, 외부관계 건강성의 경우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성의 가정건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연령, 경제수준, 학력에 따른 가정건강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가정건강성 연구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가정건강성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단일차원의 생활만족도나 결혼생활만족도 그리고 직업, 학교생활만족도 등과 같이 제한된 탐색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만족도를 다차원으로 구성하여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 생활만족도는 연령(서하진ㆍ김정옥, 2009; 이옥순, 2011), 월소득(서하진ㆍ김정옥, 2009; 이옥순, 2011; 황미라, 201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 경제수준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고, 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생활만족도는 전반적인 가정생활을 포함하게 되며, 가정체계의 관리과정을 통해 산출된 질적 측면의 결과로 생활만족도는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박미석ㆍ김미영,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생활영역에만 포커스를 두지 않고, 다양한 생활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각 생활영역별 만족도에 미치는 가정건강성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생활영역별로 중요시 되는 가정건강성의 요소가 도출되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경북지역 기혼남성의 가정건강성과생활만족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과 생활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가족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7월 3일부터 17일까지 경북지역의 맞벌이 남성 5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에 대한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거쳐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였다.
  • 반면 주거생활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나 그 영향력이 다른 생활만족도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남성의 각 생활영역별 만족도에 미치는 가정건강성의 요소와 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가정건강성과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생활만족은 개념적 측면에서 행복, 삶의 질, 좋은 삶, 웰빙(안녕감), 복지(잘 살고 있는 상태)등과 동의어로 혹은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행복, 삶의 질 등과 같은 유사한 용어를 포함하여, 또한 학교생활만족 및 결혼생활만족 등 생활만족의 일부 영역만을 측정한 연구를 포함하여 생활만족 및 가정건강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만족도를 다차원으로 구성하여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북지역 기혼남성의 가정건강성과생활만족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생활의 여러 측면을 구분하여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생활만족도에 가정의 건강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를 통하여 기혼남성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기혼남성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최근 들어 남성에게도 가사노동과 자녀 양육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일 중심적인 삶으로부터 오는 불균형과 아버지역할로부터의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 안에서 남성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송혜림 외, 2010). 이에 본 연구는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가정의 건강성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젊은 세대들은 무엇에 가치를 크게 두는가? 가정의 건강성은 행복한 생활, 그리고 삶의 균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윤소영ㆍ김혜진,2013). 오늘날 젊은 세대들은 점차 일중심적 삶에서 균형있는 삶에 더욱 높은 가치를 두고 있으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에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직장인의 성공에 대해 일과 가정의 양립을 1순위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평가에 따르면 한국인의 생활만족도는 어떠한가? 한국인의 생활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OECD의 2015 삶의 질(How’s life?)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으로 OECD 평균(6.58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순위는 34개 회원국 중 27위로 나타났다(OECD 홈페이지, 2016).
가정건강성의 구성요인들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결과 가정건강성의 구성요인들은 각 영역별 생활만족도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건강성에 대한 담론은 주로 가족관계건강성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데, 본 연구결과 자원관리건강성은 경제생활만족도와 주거생활만족도 직장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관계건강성은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건강성의 모든 구성요소가 중요한 요소임을 본 연구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권안나(2012). 가정에 대한 인식과 가정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성인 남.여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옥선.오윤자.최명구(2005). 초등학생이 지 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9(3), 761-777. 

  3. 김혜신.김경신(2011).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부부의 가족건강성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59-86. 

  4. 너르진 어용게렐(2015). 몽골기혼 남성의 가정내 역할수행이 가정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문화체육관광부(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결과.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6. 박미석.김미영(2012).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정자원 수준 및 집단별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35-51. 

  7. 박유진(2002). 여가경험과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향실.김경신(2015).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orea Journal of Human Ecology, 24(4), 499-511. 

  9. 삼성경제연구소(2013).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삼성경제연구소. 

  10. 서종수(2010).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하진.김정옥(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141-178. 

  12. 송인숙.홍달아기.박현성(2013).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4), 579-598. 

  13. 송진숙.이영관(2007). 대전지역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가족여가 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가족여가 만족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2), 183-194. 

  14. 송혜림.고선강.박정윤.권혜진.김유경.진미정(2010). 가족친화환경 측면에서 본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341-361. 

  15. 송혜림.이승미(2014). 행복체감형 가족정책에 대한 가정관리학의 역할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제56차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6. 양순미(2004). 성별에 따른 농촌부부의 행복정도과 가족건강성 변인의 효과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53-172. 

  17. 여성가족부(2010). 제2차 가족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8. 옥선화(2004). 한국가족의 건강가족 지표-탐색적 접근. UN세계가정의 해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19.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1), 45-60. 

  20. 윤소영.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7-35. 

  21. 이국화.류점숙.이선정.신효식(2011).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와 가정생활만족도. 生活科學硏究, 21, 95-102. 

  22.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윤로.유시순(2009). 사회복지사를 위한 SPSS. 서울: 학지사. 

  24. 이정미(2014). 기혼여성의 평생교육참여와 가족의 지원이 가정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정영금.박정윤.송혜림(2011).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77-1970. 

  26.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3). 건강가정론(3판). 서울: 신정. 

  27. 조희금.박미석(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과 체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31-344. 

  28. 지영숙 이영호(1996). 가정교육에 대한 태도와 가정건전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77-90. 

  29. 최보아.지영숙(2000). 공공가정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유료양로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2), 1-15. 

  30. 최정혜(2005).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3(3), 11-26. 

  31. 최정혜(2006a).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3), 163-173. 

  32. 최정혜(2006b). 맞벌이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6), 47-58. 

  33. 통계청(2015). 2015 사회조사결과.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S14FA132R# 

  34. 한겨레(2014.1.22). 회사에서 행복한 김 대리, 비결이 뭘까? http://www.hani.co.kr/arti/economy/working/620958.html. 

  35. 한국소비자원(2013). 2013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http://www.kca.go.kr/brd/m_32/view.do?seq1485&multi_itm_seq2048 

  36.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직장인의 성공에 대한 인식과 시사점. KRIVET Issue Brief, 48, 1-4. 

  37. 황미라(2011). 여성근로자의 일.가정양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Allis, P. & O'Driscoll, M.(2008). Positive effects of non work-to-work facilitation on well-being in work, family and personal domain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3), 273-291. 

  39. Beutell, N. J. & Wittig-Berman, U. (2008). Work- 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synergy for generation X, baby boomers, and matures: Generational differences, predictors, and satisfaction outcom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5), 507-523. 

  40. Burr, W. R.(1970).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marriage over the life cycle: A random middle class samples. Journal of Marriages and the Families, 32(1), 29-37. 

  41. DeFrain, J. & Asay, S. M.(2007). Strong families around the world: An introduction to the family strengths perspective. Marriage & Family Review, 41(1-2), 1-10. 

  42.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02. 

  43. Greenhaus, J. H. & Powell, G. N.(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44. Medley, L.(1980). Life satisfaction across four stage of adult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1(3), 193-209. 

  45.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46. OECD 홈페이지. http://www.keepeek.com/Digital-Asset-Management/oecd/economics/how-s-life-2015_how_life-2015-en#page1. 

  47. Olson, D. H. & DeFrain, J.(2003). Marriage and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Boston: McGrawhill-Hill. 

  48. Woodhouse, C. G.(1930). A study of 250 successful families. Social Forces, 30(8), 511-5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