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머 블랜드 내 카본블랙 분산에 따른 초미세 영역 특성 원문보기

고무기술 = Rubber technology, v.17 no.3/4, 2016년, pp.125 - 140  

한상욱 (넥센타이어(주)) ,  한민현 (넥센타이어(주)) ,  김종명 (넥센타이어(주)) ,  강용구 (넥센타이어(주))

초록이 없습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본블랙 보강효과의 기계적 거동에 대한 기본 현상으로 무엇이 있는가? ① 충전제 함량 증가 시 모듈러스 증가 현상 ② 변형 증가 시 큰 응력 상승 (stress upturn) 현상 ③ 변형 제거 시 큰 응력완화 및 에너지 손실 현상
타이어 업체가 연비성능 향상을 위해 트레드 부위의 히스테리시스를 감소하는 것에 집중한 이유는 무엇인가? 1)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타이어는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여러 고무 컴파운드 및 보강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Figure 1은 이들의 연비 기여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트레드 부위의 연비 기여도는 40% 이상으로 타 부위 대비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타이어 업체의 연비성능 향상 연구 방향은 트레드 부위의 히스테리시스를 감소시키는 것에 집중되어 왔다.
고무에 카본블랙의 첨가함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카본블랙 충전 고무의 보강이론은 고무 과학과 기술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카본블랙의 첨가는 미충전 고무의 모듈러스,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피로성 및 내마모성 특성 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러한 미충전 고무의 기계적 물성 향상을 카본블랙 보강효과(carbon black reinforcement effect)라 하며 다음과 같은 기계적 거동에 대한 기본 현상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The Pneumatic Tir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2006). 

  2. Y. Fukahori, RUBBER CHEM. TECHNOL. 80, No 4 (2007). 

  3. Y. Fukahori, RUBBER CHEM. TECHNOL. 76, 548 (2003). 

  4. Y. Fukahori, Nippon Gomu Kyoukaishi (Japan) 77, 180 (2004). 

  5. Y. Fukahori, Nippon Gomu Kyoukaishi (Japan) 77, 317 (2004). 

  6. Y. Fukahori, J. Appl. Polymer Sci. 95, 60 (2005). 

  7. T. Chikaraishi, Koubunshi Gakai(Japan) No. 25, Polymer Free Discussion (1987). 

  8. Y. Fukahori, "The Dynamics of Polymers," Gihoudo Press (2000), p. 329. 

  9. F. Bueche and T.J. Dudek, RUBBER CHEM. TECHNOL. 36, 1 (1963). 

  10. Guth, J. Appl. Phys. 16, 20 (1945). 

  11. L. Mullins, RUBBER CHEM. TECHNOL. 21, 281 (1948) 

  12. L. Mullins, RUBBER CHEM. TECHNOL. 23, 733 (1950). 

  13. Houwink, RUBBER CHEM. TECHNOL. 29, 888 (1956). 

  14. E. M. Dannenberg, Tran. Inst. Rubber Ind. 42, T26 (1966). 

  15. B. B. Boonstra, J. Appl. Polym. Sci. 11, 389 (1967). 

  16. Y. Fukahori and W. Seki, Polymer 33, 1058 (1992). 

  17. S. Fujiwara, and K. Fujimoto, RUBBER CHEM. TECHNOL. 44, 1273 (1971). 

  18. S. Kaufman,W. P. Slichter, and D.O. Davis, J. Polymer Sci. A2 8, 829 (1971). 

  19. T. Nishi, J. Polymer Sci., Polym. Phys. Ed. 12, 685 (1974). 

  20. J. O’Brien, E. Casshell, G. E. Wardell,. and V. J. McBrierty, Macromolecules 9, 653 (1976). 

  21. Y. Fukahori and W. Seki, J. Mater. Sci. 28, 4471 (1993). 

  22. A.N. Gent, RUBBER CHEM. TECHNOL. 76, 517 (2003). 

  23. H. Dohi, Nippon Gomu Kyoukaishi (Japan) 80, 86 (2007). 

  24. H. Nukaga, et al., Nippon Gomu Kyoukaishi (Japan) 79, 509 (2006). 

  25. Y. Shinohara, et al., Preprints of No. 17 Elastomer Forum in Kobe (2004) p. 24. 

  26. Y. Tomita, et al., Int. J. Mech. Sci. 48(2) 108-116 (2006). 

  27. E. M. Dannenberg, RUBBER CHEM. TECHNOL. 48, 410-444 (1975). 

  28. M. Doi, et al., Pol. Dyn. Oxford University Press. 16-28 (1975). 

  29. J. S. Bergstrom et al., J. Mech. Phys. Sol. 46, 931-954 (1998). 

  30. J. O'Brien, et al., Macro. 9(4), 653-660 (1976). 

  31. J. S. Bergstrom et al., Mech. Mater. 32, 627-644 (2000). 

  32. Y. Tomita, et al., Int. J. Mech. Sci. 50(5) 856-868 (2008). 

  33. Y. Tomita, et al., Int. J. Solids & Structures. 32(23), 3423-3434 (1995). 

  34. Y. Tomita, et al., Eur. J. Mech. A/Solids. 16, 745-755 (1997). 

  35. JT. Byers, et al., Rubber Technol. 188, 59-104 (1987). 

  36. A. Vidal, et al. Prog Colloid Polym Sci. 75, 201-212 (1987). 

  37. TA. Vilgis,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8. JL. Leblanc. Adv Polym Sci. 264, 273-300 (2014). 

  39. D. Gabriel, et al. Colloid Polym Sci. 294, 501-511 (2016). 

  40. JL. Leblanc. Prog Polym Sci. 27, 627-687 (2002). 

  41. H. Le, et al. Rubber Chem Technol. 84, 415-424 (2011). 

  42. KT. Paul, et al. Polym Compos. 30, 1647-1656 (2008). 

  43. SS. Sarkawi, et al. KGK. 67, 29-33 (2014). 

  44. P. Rybinski, et al. J Therm Anal Calorim. 101, 665-670 (2010). 

  45. P. Mele P, et al. Polymer. 43, 5577-5586 (2002). 

  46. A. Kastner. Technische Universitat Darmstadt (2002). 

  47. A. Kepas-Suwara A. Tire Technology Conference (2015). 

  48. T. Kaule T, et al. ACS Nano. 7, 748-759 (2013). 

  49. E. Bonaccurso, J Phys Chem B. 110, 17918-17924 (2006). 

  50. M. Qu, et al. Soft Matter. 7, 1066-1077 (2011). 

  51. PJM. Ghosh, et al. Rubber Chem Technol. 76, 592-693 (2003). 

  52. The Tyre, Rolling resistance and fuel savings, Micheli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