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소 불안정 현상은 연료의 응답 함수, 연소율, 국부 연료 표면의 유동 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체로켓 모터 설계 시 성능이나 구조적 안정성을 다루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연소 불안정 현상은 음향 모드가 연소/유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수와 결합(coupled)되었을 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파동방정식으로부터 음향 비선형 불안정 모델을 유도하여 실린더형 고체로켓 모터의 연소 불안정 현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고체로켓 모터 연소실 압력, 연소 속도가 연소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dict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is important to avoid an obvious threat to the structural safety and the motor performance because it affects the apparent response function of the propellant, the burning rate, and a mean flow Mach number at the local surface. The combustion instability oc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체로켓 모터의 연소불안정을 예측하기 위하여 Culick의 이론을 기반으로 선형/비선형 연소 불안정 해석의 결과를 검증하고 연소가 진행에 따른 불안정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소 불안정 현상은 언제 발생하는가? 연소 불안정 현상은 연료의 응답 함수, 연소율, 국부 연료 표면의 유동 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체로켓 모터 설계 시 성능이나 구조적 안정성을 다루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연소 불안정 현상은 음향 모드가 연소/유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수와 결합(coupled)되었을 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파동방정식으로부터 음향 비선형 불안정 모델을 유도하여 실린더형 고체로켓 모터의 연소 불안정 현상을 분석하였다.
고체로켓 모터 설계시 연소 불안정 현상은 왜 중요한가? 연소 불안정 현상은 연료의 응답 함수, 연소율, 국부 연료 표면의 유동 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체로켓 모터 설계 시 성능이나 구조적 안정성을 다루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연소 불안정 현상은 음향 모드가 연소/유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수와 결합(coupled)되었을 때 발생한다.
Culick의 접근해 해석 방법을 이용한 선형/비선형 안정성 해석 이론을 통하여 Flandro, Baum가 얻은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Culick[1]은 1970년대부터 음향모드와 내부 유동장의 섭동을 결합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형 안정성 이론으로부터 확장한 접근해 해석 방법(approximate method)을 이용하여 선형/비선형 안정성 해석을 수행해 왔으며[2,3], 1980년대 들어서 Flandro, Baum등의 연구자들이 Culick의이론을 적용한 실험/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압력결합과 속도결합에 의한 선형 안정성 이론이 정립되었고 Flandro의에너지 방정식 해석을 통해 DC shift 현상과 Limit cycle, Triggering에 대한 연구가 근래까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 연구 결과, 고체로켓모터의 연소 불안정성은 물리적 현상에 의해 가진 시키는 요소와 감쇄시키는 요소로 나눌수 있으며, 챔버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결합, 속도 결합, 추진제 연소에 따른 펌핑의 효과는 불안정을 가진시키는 요소이고, 유동방향전환과 노즐, 구조물 및 입자는 불안정성을 감쇄시키는 요소로 각각 선형 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ulick, F.E.C. and Yang, V., "Prediction of the Stability of Unsteady Motions in Solid-Propellant Rocket Motors," AIAA Progress in Astronautics and Aeronautics, Vol. 143, pp. 719-779, 1992. 

  2. Culick, F.E.C., "Nonlinear Behavior of Acoustic Waves in Combustion Chamber," NASA-CR-149367, 1975. 

  3. Culick, F.E.C., "Nonlinear Growth and Limiting Amplitude of Acoustic Waves in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3, No. 1, pp. 1-16, 1971. 

  4. French, J.C., "Non-Linear Combustion Stability Prediction of SRMs using SPP/SSP," 39th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Huntsville, AL, USA, AIAA-2003-4668, July 2003. 

  5. French, J.C. and Flandro, G.A., "Linked Solid Rocket Motor Combustion Stability and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41th AIAA/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Tucson, AZ, USA, AIAA-2005-3998, July 2005. 

  6. Culick, F.E.C., "Unsteady Motions in Combustion Chambers for Propulsion Systems", AVT-039, 2006. 

  7. Blomshield, F., "Lessons Learned In Solid Rocket Combustion Instability," 43rd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 Exhibit, Cincinnati, OH, USA, AIAA-2007-5803, July 2007. 

  8. Flandro, G.A., Fischbach, S.R. and Majdalani, J., "Nonlinear Rocket Motor Stability Prediction: Limit Amplitude, Triggering, and Mean Pressure Shift," Physics of Fluids, Vol. 19, No. 9, 094101, 2007. 

  9. Blomshield, F.S., "Pulsed Motor Firings," NAWCWD TP 8444, 2000. 

  10. Cavallini, E., Favini, B., Di Giacinto, M. and Serraglia, F., "Internal Ballistics Simulation of NAWC Tactical Motors with SPINBALL Model," Proceedings of the 46th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and Exhibit, Nashville, TN, USA, AIAA-2010-7136, July 2010. 

  11. Cavallini, E., Favini, B. and Neri, A., "Q1D Modelling of Vortex-Driven Pressure Oscillations in Aft-Finocyl SRMs with Submerged Nozzle Cavity," 51st AIAA/SAE /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Orlando, FL, USA, AIAA 2015-3975, July 2015. 

  12. Kim, H.C., Kim, J.S., Moon, H.J., Sung, H.G., Lee, H.K., Ohm, W.S. and Lee, D.H., "Linear Stability Analysis for Combustion Instability in Solid Propellant Roc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7, No. 5, pp. 27-36, 2013. 

  13. Hong, J.S., Moon, H.J., Sung, H.G., Ohm, W.S. and Lee, D.H., "Unsteady Internal Ballistic Analysis for Solid Rocket Motors with Nonlinear Combustion instability," Proceeding of the 2015 KSPE Spring Conference, Busan, Korea, pp. 89-93, May 2015. 

  14. Hong, J.S., Moon, H.J., and Sung, H.G., "LES Investigation of Pressure Oscillation in Solid Rocket Motor by an Inhibi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9, No. 1, pp. 42-4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