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Users' Evalua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University Archiv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6 no.1, 2016년, pp.195 - 221  

정우철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낮은 현실 속에서 이용자들의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는 기록관에서 이용자들의 실질적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개선을 위해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슷한 이용자군을 이루고 있으며 이용자 간 상호작용이 원활한 대학기록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서비스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서비스 평가도구를 분석하여 설문지가 작성되었으며,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13개 대학기록관에서 113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설문결과는 적합성 검증을 통해 4개 영역(이용결과, 기록관정보제공, 기록관접근성, 상호작용)의 평가 척도로 재구성되었으며, 이에 대해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용자들은 상호작용영역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한 반면, 기록관정보제공영역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T검정 결과 검색 웹사이트를 구축한 기관 및 전자시스템으로 기록을 관리하는 기관이 세부영역에서 이용자에게 더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회귀분석 결과 상호작용영역 및 기록관정보제공영역에 대한 평가결과가 이용결과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situation where the recognition of archival services remains minimal, an evalu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y users could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users' practical needs and present helpful information for improved services. A service evaluation by users using questionnair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반적으로 이용자들은 여전히 대학기록관의 기능 및 활동들에 대해서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검색 기능 개선 및 원문 서비스 요청이 많았는데, 각 대학기록관에서 관심을 가지고 전자시스템의 도입 등을 강력히 추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기록관은 이용자층을 유사하게 범주화할 수 있으며, 기관의 실무자와 이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기록정보서비스가 추구하는 본질적인 목표에 부합하는 환경을 갖추고 있어, 본 연구의 목적인 이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최근 몇 년 간 국공립대학에 기록연구사들이 속속 배치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볼 때, 기록정보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기록관으로서 대학기록관이 가지는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시행 하여, 이용자들의 기록관 서비스 평가 수준과 기록관이나 이용자의 특성별 차이 및 서비스 영역별 상관관계 및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서비스에 대한 아쉬운 점 및 요구사항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발표되고 활용되고 있는 기록 정보서비스 평가도구들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기록관 현실에 맞는 기록정보서비스 설문문항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 수준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도구 조사, 평가 설문문항 개발, 설문지 배부 및 평가 실시, 서비스 영역별 평가결과 분석, 그리고 서비스 개선사항 제시 등의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 아직까지 개별 기록관 단위에서의 기록정보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는 못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학 기록관을 실제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기록관을 어떠한 목적을 위해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기록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국내 기록관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자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연구사들의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이고, 기록관 이용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이를 위해 국내·외의 다양한 서비스 평가 척도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대학기록관의 현실에 가장 적합한 지표들을 선별하여 평가를 위한 문항을 개발하고, 서비스평가 영역들에 대해 이용자 및 기관의 특성에 따라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영역별 상관관계가 있는지, 영역별 영향 관계가 있는지 등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대학기록관에서는 어떠한 점들을 개선하여야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더 좋은 평가를 받을 것인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기록관에서 다양한 이용자그룹이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실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이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다양한 서비스 평가 척도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대학기록관의 현실에 가장 적합한 지표들을 선별하여 평가를 위한 문항을 개발하고, 서비스평가 영역들에 대해 이용자 및 기관의 특성에 따라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영역별 상관관계가 있는지, 영역별 영향 관계가 있는지 등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대학기록관 특성 및 이용자 특성에 따라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와 관련한 연구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와 관련한 연구는 크게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 연구와 기록 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 관련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분석에 대한 연구로는 오은정(2009)이 개별 대학 기록관의 기능과 특성에 맞게 필수요소 및 선택요소로 구분한 웹사이트 구축모형을 제안하였고, 백은지, 이혜원(2013)은 대학기록관 3곳의 현황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열람서비스 및 정기적인 전시, 행사를 개최하는 것이 간접적인 홍보가 되며, PC환경에서 이용이 가능한 웹사이트 구축을 통한 서비스가 필요로 하다고 하였다.
기록관리 기관들이 이용자들에게 활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나아가기까지 매우 힘겨운 이유는 무엇인가?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2006년 개정 법률인 공공기록물관리법이 시행된 지도 10여년이 지났다. 법제도 하에서 꾸준한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기록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이 예전보다는 나아졌으나, 아직까지 많은 기록 관리 기관에서는 다양한 기록관리 업무들을 포괄적으로 시행하기보다, 기록의 평가 및 폐기 중심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부분의 공공기관은 아직까지도 기관 당 기록연구사 1명 배치라는 기존 관례에서 벗어나 있지 못하고 있고, 실제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기록연구사 입장에서도 기록관리 업무의 주안점을 당장 시급한 평가와 폐기 중심으로 둘 수밖에 없기도 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기록관리 기관들이 이용자들에게 활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로 나아가기까지는 매우 힘겹다 할 수 있겠다.
이용자들은 어떤 목적으로 대학기록관을 방문하고 있는가? 분석 결과, 이용자들은 다양한 업무, 과제 및 전시 관람 등의 목적으로 대학기록관을 방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회 이상 기록관을 방문해본 이용자가 전체 응답자의 반이 넘었으며(5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가기록원 (2014a). 2014년 대학 기록관리 워크숍.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4a). 2014 Workshop on Academic Records Management.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2. 김두리, 김수정 (2014).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4), 29-47. Kim, Du-Ri & Kim, Soo-jung (2014). A Study on Users' Perceptions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n a University 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29-47. 

  3. 김상덕 (2008). 교사자료 전시를 통한 박물관 활성화 방안.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학술대회, 8(4), 19-34. Kim, Sang Duk (2008). Museum Revitalizing Methods by the Exhibition of University's Historical Materials.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of University Museums, 8(4), 19-34. 

  4. 김지현 (2012).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67-187. Kim, Ji-hyun (2012).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Reference Service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167-187. 

  5. 김현지, 이해영 (2009).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개발과 서비스 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59-78. Kim, Hyun-Jee & Rieh, Hae-Young (2009).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Service Evaluation: Focused on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59-78. 

  6. 박혁준 (2007).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 방안.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Park, Hyuk-jun (2007). A Study on Reference Service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Archives. Master's theses. Myongji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7. 백은지, 이혜원 (2013). 국내 대학 기록관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논총, 20, 311-332. Baek, Eun-Jee & Lee, Hye-won (2013). A Study on the Management Condition and Development of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SWU, 20, 311-332. 

  8. 오은정 (2009). 대학기록관 웹 사이트의 구축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 전공. Oh, Eun-Jeong (2009). A Study of Structuring and Modeling of University Archives Websit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Major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9. 이해영 (2012). 기록관의 정보서비스 현황 조사 및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177-201. Rieh, Hae-young (2012).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and Archives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177-201. 

  10. 이해영, 이미영, 이은영, 이혁준, 이현정, 최영실, 박미자 (2008). 대학기록관 시소러스 구축 지침의 개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189-210. Rieh, Hae-young et al. (2008).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saurus Construction at University Archives: Case Study of Myongji University Archives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189-210. 

  11. 이혜경, 이해영 (2014).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의 현황과 발전 방안. 기록학연구, 40, 131-180. Lee, Hye Kyoung & Rieh, Hae-Young (2014).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University Archives'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the Archives' Staff.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0, 131-180. 

  12. 하은미, 이수상 (2007). 대학기록물의 온라인 탐색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139-164. Ha, Eun-Mi & Lee, Soo-Sang (2007). A Study on the Online Finding Aids of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139-164. 

  13. 한수연, 정동열 (2012). 기록물관리기관 서비스 품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59-78. Han, Soo-Yeon & Jeong, Dong-Youl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chive Service Quality Scal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59-78. 

  14. 허덕행 (2014).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Heo, Duk-Hang (2014).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Master's theses.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chival Science. 

  15. Duff, W., Dryden, J., Limkilde, C., Cherry, J., & Bogomazova, E. (2008). Archivists' views of user-based evaluation: Benefits, barriers, and requirements. The American Archivist, 71(1), 144-166. 

  16. Duff, W., Yakel, E., Tibbo, H., Cherry, J., McKay, A., Krause, M., & Sheffield, R. (2010). The development, testing, and evaluation of the Archival Metrics Toolkits. The American Archivist, 73(2), 569-599. 

  17. Pugh, M. J. (2005).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8. Yakel, E. & Tibbo, H. (2010). Standardized survey tools for assessment in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etrics, 11(2), 211-222. 

  19. Yeo, G. (2005). Understanding users and use: a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6(1), 25-53. 

  20. 국가기록원(2014b) '14년 국가기록원 기록물 열람서비스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보고. 대전: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15. 3. 10. http://www.archives.go.kr/next/common/downloadFile.do?up_filepath2F757046696c652F6265666f7265496e666f2F313433343333353732383731372e706466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4b). '14 Report on the Survey Results of Reading Service of Archive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trieved March, 10, 2015, from http://www.archives.go.kr/next/common/downloadFile.do?up_filepath2F757046696c652F6265666f7265496e666f2F313433343333353732383731372e706466 

  21. Archival Metrics Toolkits. Archival Metrics: Promoting a Culture of Assessment in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Retrieved January 12, 2015, from http://www.archivalmetrics.org/node/10 

  22. Archives & Records Association. Public Services Quality Group of the Archives and Records Association (UK & Ireland) (2011). Survey of Visitors to U.K. Archives 2011. Retrieved March 13, 2015, from http://www.nationalarchives.gov.uk/documents/archives/national-report-2011.pdf 

  23. Richard Pearce-Moses (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Retrieved October 9, 2015, from http://files.archivists.org/pubs/free/SAA-Glossary-2005.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