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고는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기술 중 하나인 난독화[5]에 대한 개념 및 분류, 기술 동향에 대한 내용을 서술한다.
  • 본 고에서는 소프트웨어 보안을 위한 난독화 기술 동향을 서술하였다.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난독화는 적용된 위치를 기준으로 소스 레벨과 바이너리 레벨로 분류되며, 적용 방법을 기준으로 배치 난독화, 자료 난독화, 제어 난독화, 방지난독화로 분류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조득연, 김은희, 최재영,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불법 복제 앱 탐지기의 성능향상",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시스템 및 이론 41(2), pp.67-74, 2014 년 4월. 

  2. 한효영, 박복녕, 김태윤, "Software Aging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가을학술발표논문집, 29(2), pp.637-639, 2002년 10월. 

  3. 김영준, 이성민, 이윤정, 박남섭, 이병래, 김태윤,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 프로토콜의 설계", 안국정보과학회논문지, 정보통신 28(4), pp. 641-650, 2001년 12월. 

  4. J. von Neumann, "First draft of a report on the EDVAC", IEEE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15(4), pp. 27-75, 1993. 

  5. 이경률, "온라인 본인확인수단 보안성 개선방안 연구: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년 12월. 

  6. C. Collberg, C. Thomborson, and D. Low, "A Taxonomy of Obfuscating Transformations", Technical Report #148, The University of Auckland, 1997. 

  7. 최석우, 박희완, 한태숙, "메소드 분산을 통한 자바프로그램 난독화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가을학술발표논문집, pp.238-240, 2003년 1월 

  8. C. Collberg, C. Thomborson, and D. Low, "Manufacturing Cheap, Resilient, and Stealthy Opaque Constructs", Proc. 25th ACM SIGPLAN-SIGACT Symposium on Principles of Programming Languages(POPL), pp.184-186, Jan. 1998 

  9. M. V. Yason, "The Art of Unpacking", IBM Internet Security Systems, 2001. 

  10. 금융보안연구원, "소프트웨어 보안성 강화를 위한 실행압축 기술", 이슈리포트, 2011(19), 2011 년 11월. 

  11. 이경률, 임강빈,"코드은닉을 이용한 역공학 방지 악성코드 분석방법 연구", 한국항행학회 논문지, 16(3), pp.489-494, 2012년 6월. 

  12. K. Lee, S. Pho, W. Kim, H. Yeuk, Y. Choi, I. You, and K. Yim, "A hint to the analysis of the packed malicious codes", Proc. 11th International Workshop on Information Security Applications(WISA), pp.37-38, Aug. 2010. 

  13. 이경률, 김완수, 육형준, 유일선, 임강빈, "코드 난독화를 위한 새로운 가상머신 모델 제안", 한국정보보호학회 동계학술대회논문집, pp.176-181, 2010년 12월. 

  14. 김정현, 이강승, "AE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위한 견고한 역공학 방지기법",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42(9), pp.1100-1108, 2015년 9월 

  15. UPX, http://upx.sourceforge.net 

  16. ASPack, http://www.aspack.com 

  17. Themida, http://www.oreans.com/themida.php 

  18. OllyDbg, http://www.ollydbg.de 

  19. IDA, https://www.hex-rays.com/products/ida 

  20. ProcDump, https://technet.microsoft.com/en-us/sysinternals/dd996900.aspx 

  21. ASEC, "악성코드 분석을 방해하는 패킹", http://asec.ahnlab.com/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