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 다양성 및 특이종 분포 양상
Diversity of Aquatic Insects of Taean Area in South Korea, with Notes on Species-Specific Distributio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1, 2016년, pp.58 - 70  

정상우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  민홍기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  황호성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  서예지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부) ,  배연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2회에 걸쳐 충청남도 태안군 일대의 담수생태계를 중점으로 수서곤충의 다양성, 섭식기능군, 서식기능군 및 분포특이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태안군 전체에서 수서곤충은 총 6목 30과 72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별 출현종수는 정수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잠자리목이 22종(30.56%)으로 가장 높게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 21종(29.16%), 노린재목 17종(23.61%), 파리목 8종(11.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천에 풍부하게 서식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과 날도래목(Trichoptera)은 각각 2종(2.78%)으로 매우 낮게 출현하였으며, 청정수역을 대표하는 강도래목(Plecoptera)과 유수지역에 서식하는 뱀잠자리목(Megaloptera)은 출현하지 않았다. 섭식기능군은 잠자리목(Odona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이 우세하게 출현하여 Predators(48종, 66.67%)의 비율이 높았고, Shredders와 Scrapers는 출현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은 Swimmers(24종, 33.33%), Climbers(18종, 25.0%), Sprawlers(12종, 16.6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섬과 같은 정수지역에 서식하는 무리의 구성으로 내륙지역의 수서곤충 무리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환경부지정 분포특이종 및 위기(EN), 준위협(NT), 취약(VU) 종으로 적색목록 범주에 포함되어있는 동쪽애물방개(Cybister lewisianus), 투구물땡땡이(Helophorus auriculatus), 단발날도래(Agrypnia pagetana), 각시물자라(Diplonychus esakii) 4종의 서식처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외반출승인종인 새노란실잠자리(Ceriagrion auranticum)와 작은등줄실잠자리(Paracercion melanotum) 2종,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북방아시아실잠자리(Ischnura elegans) 1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포특이종 및 야생에서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4종에 대해서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2006년~2012년) 자료를 포함하여 국내 전국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diversity of aquatic insects, 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 habitat oriented groups (HOGs), and species-specific distribution in the Taean area in Korea from June to August, 2015. As a result, a total of 72 species belonging to 30 families and six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번 태안군 일대 수서곤충 조사는 2007년 태안 기름유출사고로 인한 심각한 환경재난 이후 태안군의 주요 담수생태계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의 다양성 및 특이종들의 서식처를 파악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 자료는 국내 내륙지역과 섬 지역 사이에서 서식하는 수서곤충의 비교 연구 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독특한 해양기후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태안군의 특이종의 특징은 급변하는 기후변화 및 생물의 지리적 이동에 따른 진화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서곤충의 먹이순환과 서식환경을 연구할 수 있는 지표생물은? , 2009b)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정수지 역에 다양하게 분포하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 (Hemiptera), 잠자리목(Odonata)은 서식처의 먹이 풍부도에 따라 서식처를 이동하는 무리(Ohba, 2009; Ward, 1992) 로 수서곤충의 먹이순환을 연구하고 서식환경을 평가할 수있는 중요한 지표생물이다. 국내 수서곤충의 분류 및 생태 학적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본격적으로는 1980년후반부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수서곤충이란? 수서곤충은 담수생태계에서 개체수가 풍부하고 종다양 성이 높으며, 다양한 수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는 분류군이다(Lancaster and Downes, 2013; Merrit et al., 2008).
수서곤충의 분포조사에서 일부 종이 확인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태안군 역시 해안사구의 특이한 환경과 바다와 인접한 지리적 영향으로 하천주변의 독특한 식생과 먹이자원이 수서곤충의 분포를 변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과거 문헌자료(Bae and Kown, 2001)에서도 태안군의 독특한 서식처와 생물상이 언급되었 으며, 이번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수서곤충의 일부 종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하천의 가뭄현상과 더불어 관광지 개발로 인한 인위적인 교란이 함께 진행되어 온 결과라 판단된다. 내륙지역과 인접한 태안구역과 수계가 완전하게 분리된 안면도구역과의 수서곤충의 종구성이 다소 상의하게 나타 나는 경향은 낮은 산지나 저수지에서 흐르는 일부 하천들 (갈두천, 용요천, 상옥천 등)이 아직까지 태안구역에서 유지 되고 있는 반면, 안면도구역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습지와 해수의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 Y.J. and S.J. Kwon(2001)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Taean and Baekhwa Mountain A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13-248. (in Korean) 

  2. Bae, Y.J., D.H. Won, D.H. Hoang, Y.H. Jin and J.M. Hwang(2003a)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According to Stream Order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1): 2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e, Y.J., D.H. Won, W.J. Lee and H.W. Seung(2003b) Development of environment assessment technique and biodiversity management system and their application to stream ecosyste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1(3): 223-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ae, Y.J., T.J. Yoon, K.S. Jung, Y.H. Jin, J.M. Hwang and J.H. Hwang(2013) Red Data Book of Endangered Insects in Korea I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93pp. (in Korean) 

  5. Bass, D.(2003) A comparison of Freshwater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n Small Caribbean Island. BioScience 53(11): 1904-1100. 

  6. Cain, D.J., S.N. Luoma, J.L. Carter and S.V. Fend(1992) Aquatic Insects as Bioindicators of Trace Element Contamination in Cobble-Bottom Rivers and Stream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9: 2141-2154. 

  7. Heino, J.(2000) Lent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 structure along gradients in spatial heterogeneity, habitat size and chemistry. Hydrobiologia 418: 229-242. 

  8. Jung, K.S.(2011) Odonata Larvae of Korea. Nature and Ecology, Seoul, 399pp. (in Korean) 

  9. Jung, S.W., Y.J. Park, S.A. Ham, M.C. Kim, H.S. Oh and Y.J. Bae(2011)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Jeju island in Korea. Entomological Research Bulletin 27: 59-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ung, S.W. and K.D. Jang(2014)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Duwoong wetland. 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Research 1-13. (in Korean) 

  11. Jung, S.W., K.D. Jang and H.S. Kim(2014)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Anmyeondo basin. 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Research 1-11. (in Korean) 

  12. Kim, J.I., W.G. Min, J.Y. Park, D.H. Lee, S.G. Lee, B.H. Jung and Y.B. Cho(2013a) Red Data Book of Endangered Insects in Korea 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129pp. (in Korean) 

  13. Kim, M.C., S.P. Chun and J.K. Lee(2013b) Invertebrates in Korean Freshwater Ecosystems. Geobook, Seoul, 483pp. (in Korean) 

  14. Kim, Y.K., Y.J. Bae, K.S. Ryoo, D.H. Yeom, S.K. Lee, S.H. Lee, J.H. Lee and K.J. Cho(2005) Invertebrate biomakers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Jeonghaengsa, Seoul, 211pp. (in Korean) 

  15. Kwon, S.J., Y.C. Jun and J.H. Park(2013) Benthic Macroinvertebrates. Nature and Ecology, Seoul, 791pp. (in Korean) 

  16. Lancaster, J. and B.J. Downes(2013) Aquatic Ento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96pp. 

  17. Lee, J.S. and M.K. Choi(2009a) A repor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Duwoong wetl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31-335. (in Korean) 

  18. Lee, J.H., S.H. Lee, Y.B. Bae, K.J. Cho, K.S. Ryoo, Y.K. Kim and M.P. Jung(2009b) Assessment techniques for ecological effects on heavy metal pollution using invertebrate biomakers. Jeonghaengsa, Seoul, 90pp. (in Korean) 

  19. Lee, S.J. and G.A. Lee(2006)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Taean Area. 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Research 1-5. (in Korean) 

  20. Lee, S.J., J.D. Yeo and H.C. Shin(2008) Insect biogeography in the south western Sea of Korea with comments on the insect fauna of Kwanmae Island. Entomological Research 38: 165-173. 

  21. Malmqvist, B., A.N. Nillson, M. Baez, P.D. Armitage and J. Blackbum(1993) Stream marc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island of Tenerife. Archives of Hydrobiology 128(2): 209-235. 

  22. Merrit, R.W., K.W. Cummins and M.B. Berg(2008)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4h Ed. Kendall/Hunt Publish. Co. Dubuque, Iowa, 1158pp. 

  23. 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e Guide to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nviornmental Research, Incheon, 298pp. (in Korean) 

  24. Mosha, F.W. and C.M. Mutero(1982) The influence of salinity on larval development and population dynamics of Anopheles merus Donitz (Diptera: Culicidae). Bulletin of Entomological Research 72: 119-128. 

  25. Ohba, S.Y.(2009) Ontogenetic Dietary Shift in the Larvae of Cybister japonicus (Coleoptera: Dytiscidae) in Japanese Rice Fields.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38(3): 856-860. 

  26. Park, E.Y.(2005)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 in the Iwon Intertidal Zone, Taean-Gun, Korea.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cheongbukdo,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ark, H.C., H.S. Sim, J.H. Jeong, T.H. Kang, H.A. Lee, Y.B. Lee, M.A. Kim, J.G. Kim, S.J. Hong, K.Y. Seol, N.J. Kim, S.H. Kim, N.H. Ahn and C.G. Oh(2008) A Field Guide to Aquatic Insects of Rural Environme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349pp. (in Korean) 

  28. Piscart, C., A. Lecerf, P. Usseflio-Polatera, M. Jean-Claude and B. Jean-Nicolas(2005) Biodiversity patterns along a salinity gradient: the case of net-spinning caddisfli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4: 2235-2249. 

  29. Resh, V.H. and D.M. Rosenberg.(1984) The Ecology of Aquatic Insects. Praeger, New York, 625pp. 

  30. Ro, T.H.(2002) Categorization and Ecological Importance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s Essential Units in Lotic Ecosystems. Bulletin of the KACN 21:67-93. (in Korean) 

  31. Ro, T.H. and D.J. Chun(2004) Functional Feeding Group Categorization of Korean Immature aquatic Insects and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2): 137-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ilberbush, A., L. Blaustein and Y. Margalith(2005) Influence of salinity concentration on aquatic insect community structure: a mesocosm experiment in the Dead Sea Basin Region. Hydrobiologia 548: 1-10. 

  33. Terriault, T.W. and J. Kolasa(2000) Explicit links among physical stress, habitat heterogeneity and biodiversity. Okos 89: 387-391. 

  34. Ward, J.V.(1992) Aquatic Insect Ecology. 1. Biology and Habitat.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438pp. 

  35. Won, D.H. and J.H. Yeom(2002)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Duwoong wetland area. 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Research 53-70. (in Korean) 

  36. Won, D.H., S.J. Kown and Y.C. Jun(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Seoul, 415pp. (in Korean) 

  37. Wurtsbaugh, W.A.(1992) Food-web modification by an invertebrate predator in the Great Salt Lake (USA). Oecologia 89: 168-175. 

  38. Yoon, I.B.(198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0 Aquatic Insects,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840pp. (in Korean) 

  39. Yoon, I.B.(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Seoul, 262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