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Change in Migr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Firm City: The Case of Gwangyang City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6, 2016년, pp.837 - 851  

이정록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기업도시 중 하나인 광양시를 사례로 2001~2010년간 인구이동과 인구 구조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광양시 인구는 198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1년 138,468명에서 2010년 145,512명으로 늘어났다. 인구증가로 2010년 인구구조에서 30대와 40대 비중이 전체의 35%를 차지하였다. 2001~2010년 동안 순이동은 -2,925명으로 전출초과를 보였지만, 2008년 이후에는 19세 이하 연령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전입초과를 나타냈고 전입 사유는 직업(49.5%)이 가장 많았다. 광양시 인구증가와 전입 초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광양제철소와 제철관련 기업의 입지, 광양컨테이너부두 건설과 개항, 광양만권경제 자유구역 지정과 관련된 개발사업, 이들 대형 국책사업과 연계되어 추진한 광양시의 지역정책 등이었다. 결과적으로 광양시에서 행해진 각종 지역개발사업으로 제조업 관련 사업체가 증가하였고, 사업체 증가는 젊은 전입자 증가와 출생자 증가로 전이되어 광양시 인구가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Gwangyang city was a result of the POSCO Gwangyang Works, and Gwangyang city is one of typical firm city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xamine the change of migr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in Gwangyang city from 2001 to 2010. Since 1981,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기업도시로 분류되는 광양시를 사례로 2001~2010년까지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를 지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이 연구는 광양시에서 행해진 대형 국책사업과 지역개발사업, 기업도시적 지역정책 등이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쳤고, 전입인구 증가는 광양시 인구구조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 이 연구는 기업도시인 광양시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하지만 지역 내에서 행해진 국책사업을 비롯한 각종 지역개발사업이 제조업을 비롯한 사업체 증가와 인구증가로 어떻게 전이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 이 연구의 한계이다.
  • 이 연구에서는 기업도시 성장·발전과정과 인구변화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광양양제철소 입지가 확정된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간 인구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 이런 관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광양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전술한 연구목적을 위해 1981년 이후 광양시의 공업화 과정, 2001~2010년까지의 인구변화 과정, 인구이동이 인구구조 변화에 미친 영향과 인구학적 특징 분석, 인구 증가 요인분석과 모델화 등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최근 인구이동 관련 경향은?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최근 인구이동 관련 경향은 대도시로의 집중보다도 대도시에서 인구유출이 일어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0년간 서울·부산·대구는 지속적인 인구의 순유출을 나타낸 반면 중소도시와 비도시지역의 순유입이 늘어나고 있다(김리영·양광식, 2013).
전술한 도시에서 인구증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전술한 도시에서 인구증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구이동은 지역 내 경제와 산업 활동·취업기회·지역개발정책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데(Acs and Armington, 2004; Appleyard, 1989; Raghuram, 2009), 기업도시로 명명된 이들 도시의 일자리 창출이 전입자 증가와 인구증가로 전이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들 도시에서는 국가 및 지자체의 지역개발정책으로 새로운 공단이 조성되고 기업이 입지하여 일자리가 만들어졌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청장년층 중심의 전입인구를 유인하여 출생자수를 가져왔다.
전입인구에 의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도시들의 예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서울과 부산·대구·대전·광주 등 지방대도시를 제외하고 전입인구에 의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도시들이 있다. 전자공업도시로 성장한 경북 구미, 조선관련 클러스터가 구축된 경남 거제, 광양제철소와 관련기업이 입지한 전남 광양, 현대제철과 연관산단이 위치한 충남 당진, 석유 화학 클러스터가 만들어진 충남 서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이정록,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광양시지편찬위원회, 2005, 광양시지 제2권: 정치.행정.교육.산업. 

  2. 구동회, 2007, "부산권 인구이동의 공간적 패턴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2(6), 930-939. 

  3. 권기철, 2006, "부산광역권의 제조업 고용 변동과 인구이동의 관계 및 인구이동의 균형화 효과," 경제연구, 24(3), 97-123. 

  4. 권상철, 2010, "한국 대도시의 인구이동특성: 지리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3), 15-26. 

  5. 김두일, 1991, "포항종합제철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지리학연구 17, 66-85. 

  6. 김리영.양광식, 2013,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3), 1-20. 

  7. 박주혜.홍성호.안유정.이만형, 2010, "중앙성 지표에 따른 충청북도 인구이동 특성: 2001년과 2008년 사례 비교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4), 369-386. 

  8. 신영재, 2013, "평택항 개항에 따른 배후 지역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 416-435. 

  9. 오정일.안기돈, 2007, "우리나라 15개 시도의 일자리 수변화와 인구이동 간 인과성 검정," 국토연구, 53, 57-76. 

  10. 유성종, 2000,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경제의 변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3(2), 63-79. 

  11. 이기석, 1984, "산업도시의 인구성장과 고용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지리학, 30, 14-27. 

  12. 이정록, 1992, "공업단지의 입지가 지역변화에 미친 영향," 국토계획, 27(3), 117-133. 

  13. 이정록, 2000, "광양만권의 공업화와 지역경제의 변화: 1987-1996," 국토계획, 35(2), 175-186. 

  14. 이정록, 2002, "공업단지의 입지와 지역변화에 관한 연구: 여천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2), 137-155. 

  15. 이정록, 2004,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의 인구변화: 1980-200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1), 83-96. 

  16. 이정록, 2006, 광양만권 잠재력과 비전, 한울 아카데미. 

  17. 이정록, 2014,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책화 과정과 동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9(6), 849-864. 

  18. 이정록, 2014, 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푸른길. 

  19. 이정록.김승곤, 2014,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GFEZ) 제1단계 사업의 개발과정과 성과분석: 2004-2010," 대한지리학회지, 49(1), 91-105. 

  20. 이정섭, 2014,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인구성장과 단계적 이동: 전라북도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9(4), 525-545. 

  21. 이종호.김진수, 2012, "산업단지 조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570-584. 

  22. 이진희.김동명.이만형, 2011, "충청권과 비충청권 기초 자치단체 사이의 인구이동 특성분석," 지역연구, 27(3), 101-120. 

  23. 이희연.박정호, 2009, "경로분석을 이용한 인구이동 결정요인들 간의 인과구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2), 123-141. 

  24. 이희연.이승민, 2008,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 미친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3(4), 561-579. 

  25. 채성주.배민기.백기영, 2014, "지역 낙후도 유형에 따른 인구이동 특성과 이동 요인," 국토연구, 81, 91-104. 

  26. 포항제철주식회사, 1993, 영일만에서 광양만까지: 포항제철 25년사. 

  27. Acs, Z. and Armington, C., 2004, Employment Growth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Cities, Regional Studies, 38(8), 911-927. 

  28. Appleyard, R., 1989, Migration and Development: Myths and Reality, The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3(3), 486-499. 

  29. Briones, L., 2009, Reconsidering the Migration-Development Link: Capability and Livelihood in Filipina Experiences of Domestic Work in Paris, Population, Space and Place, 15(2), 133-145. 

  30. Findlay, A. M. and Wahba, J., 2013, Migration and Demogra-phic Change, Population, Space and Place, 19(6), 651-656. 

  31. Franklin, R. S., 2014, An Examaination of Geography of Population Composition and Change in the United States, 2000-2010: Insights from Geographical Indices and a Shift-Share Analysis, Population, Space and Place, 20(1), 18-36. 

  32. Geiger, M. and Pecoud, A., 2013, Migration, Development and the 'Migration and Development Nexus,' Population, Space and Place, 19(4), 369-374. 

  33. Haas, H.D., 2010, Migration and Development: A Theoretical Perspective,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44(1), 227-264. 

  34. Marvel, M. and Shkurti, W., 1993, The economic impact of development: Honda in Ohio,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7, 50-62. 

  35. Piper, N., 2009, The complex interconnections of the migration-development nexus: a social perspective, Population, Space and Place, 15(2), 93-101. 

  36. Raghuram, P., 2009, Which migration, what development? Unsettling the edifice of migration and development, Population, Space and Place, 15(2), 103-117. 

  37. Rodriguez-Pose, A. and von Berlepsch, V., 2014, When migrants rule: The legacy of mass migration o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104, 628-665. 

  38. Rodriguez-Pose, A. and von Berlepsch, V., 2015, European Migration, National Origin and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Economic Geography, 91(4), 393-424. 

  39. Shen, J., 2012, Changing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Interprovincial Migration in China 1985-2000, Population, Space and Place, 18(3), 384-4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