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의 통합구조 변화에 따른 지리교육의 목표와 내용 변화: 중학교를 중심으로
The Changes in Goals and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 of Integration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6, 2016년, pp.935 - 955  

박선미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지리교육의 목표와 내용 변화를 통합구조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요목기부터 제3차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사회과교육의 지리, 역사, 일반사회는 분과적으로 운영되었으나 제4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실질적 통합 요구가 강해졌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역사가 사회과교육과정으로부터 과목 독립하고, 학년마다 배치되었던 학제적 통합 단원도 사라지는 등 통합교과로서 사회과교육의 정체성이 흔들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와 일반 사회만으로 구성된 중학교 사회과의 기형적 통합구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둘째, 사회과 통합에 대한 요구가 강할수록 각 학문영역 간 시수 확보 경쟁 또한 치열해져 학습자의 학습 부담도 증가했다. 그리고 중학교 사회과 통합구조는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간극을 점차 벌렸고, 지식과 학생 경험의 괴리도 넓혔다. 이처럼 중학교 사회과 통합구조는 지리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조직의 상위 요인으로 작용하여 의미 있는 지리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goals and contents of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following up the changes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over tim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Third Curriculum, geography education, history educ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지리는 어떤 영역으로 다뤄져 왔는가? 사회생활과가 도입된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지리는 사회과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다양한 학문영역 중 한 영역으로 다뤄져 왔다. 사회과교육과정에는 교육부 정책 담당자, 교육과정총론 연구자와 사회과 교과연구자, 그리고 사회과를 구성하는 하위 학문영역 간에 복잡하고 미묘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변천 과정과 그에 따른 지리교육과정의 변화를 정리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교수요목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를 분석한 심승희(2008)의 연구,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경제지리 교육 내용 구성의 변화 과정을 정리한 조성욱(2014)의 연구 등 특정 학교급 혹은 특정 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한 논문도 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과교육과정의 통합구조와 수준에 따라 변화가 많은 중학교를 대상으로 지리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이 만들어진 이후 약 70년이 지난 현재,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변천 과정과 그에 따른 지리교육과정의 변화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사회과교육과정에는 누구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가? 사회생활과가 도입된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지리는 사회과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다양한 학문영역 중 한 영역으로 다뤄져 왔다. 사회과교육과정에는 교육부 정책 담당자, 교육과정총론 연구자와 사회과 교과연구자, 그리고 사회과를 구성하는 하위 학문영역 간에 복잡하고 미묘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특히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은 기형적이고 불안정한 통합구조로 인한 학문 영역 간 이해관계의 대립 문제가 다른 학교급보다 심각하고, 사회과의 통합구조는 중학교 지리교육의 목표와 내용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대현, 2015,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교수요목기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사회과교육, 54(1), 63-89. 

  2. 강대현.모경환, 2013,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과 양상-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와 실천, 79, 1-23. 

  3. 곽한영, 2010, "초기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법교육의 양상에 관한 연구-교수요목기 공민1 교과서를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5(2), 1-23. 

  4. 권오정.김영석, 2006,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교육과학사. 

  5. 김종건, 2007,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통합교육과정연구, 1, 152-173. 

  6. 김진숙, 2012, "일제강점기부터 제1차 교육과정기 교육과정 문서 체계 분석-총론과 교과의 분화와 독립-," 한국교육사학, 34(1), 27-55. 

  7. 류재택.최석진.진재관.박선미.강대현.은지용, 2004, 사회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4-4-5. 

  8. 박광희, 1963, 한국 사회과 성립과정과 그 과정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선미, 2016,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33-45. 

  10. 박선미.우선영, 2009,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국가별 스테레오타입-제7차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중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8(4), 19-34. 

  11. 박정일, 1979, "사회과 지리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45-1975," 지리학과 지리교육, 9, 332-353. 

  12. 박창언.오은수.차철표, 2013, "교과목 집중이수제 연구: 사회-도덕 교과군을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25(5), 1224-1237. 

  13. 박환이, 1998, "한국 사회과교육의 회고," 사회과교육, 31, 3-15. 

  14. 손명철, 1999,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하나의 대안," 지리.환경교육, 7(1), 51-65. 

  15. 심광택, 2015,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87-100. 

  16. 심승희, 2008,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 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4), 347-364. 

  17. 심풍언, 1986, "고등학교 지리과 교육과정의 연구," 지리 교육논집, 17, 22-53. 

  18. 안종욱, 2011,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8(2), 81-98. 

  19. 안종욱, 2012, "고등학교 경제지리 과목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3), 33-48. 

  20. 조상연.정광순, 2014, "제4차 교육과정 시기의 초등학교 통합교과 생성 과정 고찰," 초등교육연구, 27(1), 157-185. 

  21. 조성욱, 2014, "초중등 지리교육 내용 구성 방법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1), 95-110. 

  22. 진시원.이종미, 2008,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통합 사회과의 미래," 시민교육연구, 40(2), 223-243. 

  23. 최용규.정호범.김영석.박남수.박용조, 2014,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4.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1998, 한국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1998 교육부 위탁연구과제 답신보고서. 

  25. 한명희, 1999, "21세기 한국의 교육학: 현재성의 반성과 비판에 기초하여," 교육학연구, 37(4), 29-48. 

  26. 허경철.박순경.이광우.이미숙.정영근.김진숙.민용성.김두정, 200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CRC 2005-6. 

  27. 홍웅선, 1992, "최초의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의 특징," 한국교육, 19, 23-46. 

  28. 홍웅선.김재복, 1989, "한국 교육과정의 생성과정에 대한 재조명," 통합교과 및 특별활동연구, 5(1). 137-278. 

  29. 군정청 문교부, 1943, 초중등학교 각과 교수요목집(4), 국민학교 사회생활과. 

  30. 文敎部, 1954, 國民學校.中學校.高等學校.師範學校 敎育課程時間配當基準令, 文敎部令 第35號. 

  31. 문교부, 1955, 중학교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45호 별책. 

  32. 문교부, 1963, 중학교 교육과정. 

  33. 문교부, 1973,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25호. 

  34. 문교부, 1981, 중학교 교육과정. 

  35. 문교부, 1987,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7호. 

  36. 교육부, 1992,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1호. 

  37. 교육부, 199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3]. 

  38. 교육인적자원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3]. 

  39.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 

  40. 교육과학기술부, 2009,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10호 [별책 7]. 

  4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7]. 

  4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3호 [별책 7]. 

  43.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44.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