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밸런스 핸들 장치를 이용한 상지 운동 기능의 근전도 신호 분석
EMG Signal Analysis of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using Balance-handle Device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0 no.4, 2016년, pp.295 - 303  

이충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송기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안재용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신성욱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정성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재활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훈련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거치대와 핸들, 밸런스 볼을 결합한 밸런스 핸들 장치를 개발하였다. 피험자 7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상지 훈련 장치를 기울일 때 주요 상지 근육에 대한 근전도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여 재활 훈련 장치로 사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밸런스 핸들 장치를 앞뒤로 기울였을 때의 상지 신전 굴곡 운동 동작과 좌우 기울임을 이용한 상지 운동 동작에서 근 수축과 이완이 기준이 되는 주동근과 길항근에서 근 활성화 신호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Fugl-Meyer Assessment(FMA)의 신전 굴곡 운동 평가 항목에서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평가에 이용되는 이두근, 삼두근, 삼각근에서 근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장치를 활용하여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 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motor function of hemiplegic patient must maintain interest and demand a device for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habilitation training.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device that is composed of arm cradle, handle, and balance ball for rehabilitation exercise. We ha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편마비 환자의 상지 근 기능 강화 및 관절 가동 각도의 회복을 돕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양측성 재활 운동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본 운동 동작에 대한 상지 재활 관련성과 편마비 환자를 위한 재활 장치로서 적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밸런스 핸들 장치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FMA의 신전·굴곡 운동 평가 항목과 유사하게 기기의 앞, 뒤, 좌, 우 기울임 동작에 대해서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에 관여하는 이두근, 삼두근, 삼각근 등의 근 활성도 측정 실험을 정상인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지 기능 장애 환자의 재활치료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상지 기능 장애 환자가 운동 기능을 빠른 시간 내에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직이 나타나기 전, 편마비 증상이 발병 후 3~4일부터 7일 이내, 수행되는 조기 재활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9]. 일반적인 재활치료 방법으로는 재활 치료사의 주관 하에 기능적 손상의 최소화 및 손상된 뇌신경 회복을 위하여 정해진 각 항목마다 환자에게 정확 하고 반복적인 상지재활 동작을 수행시키고 그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Fugl-Meyer Assessment (FMA) 및 Motor Assessment Scale(MAS) 등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10-11]. 이와 달리 기존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상지 재활 치료를 위한 연구들로는 강제유도운동 치료(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거울 치료(Mirror Therapy), 양측성 상지 훈련활동, 로봇 재활 등이 있다.
상지기능 장애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기능장애 환자들 대부분이 편마비 장애를 겪게 되고, 이들 중 69% 이상은 경증에서 중증까지의 상지기능 장애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상지기능 장애 환자들은 근육 마비, 근력약화, 운동조절 저하 등의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 저하로 인해 양손의 협응 동작 수행이 어렵기 때문에 일상생활 능력이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다[7-8].
뇌졸중으로 인한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뇌졸중은 노인성 질환 중에서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환자의 10% 정도가 회복 가능, 15~20%는 사망, 그리고 나머지 70~75%는 뇌의 침범영역에 따른 만성적인 신체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후유증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뇌혈관의 파열이나 폐쇄로 야기되는 신경계 손상에 의해 운동장애, 인지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등의 다양한 증상들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 Yokoya, S. Demura, and S. Sato, "Fall risk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n exercise class,"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vol. 27, no. 1, pp. 25-32, 2008. 

  2. C. Luke, K Dodd, and K. Brock, "Outcomes of the Bobath concept on upper limb recovery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8, no. 8, pp. 888-898, 2004. 

  3. S. Wolf, P. Catlin, and M. Ellis, "Assessing wolf motor function test as outcome measure for research in patients after stroke," Stroke, vol. 32, no. 7, pp. 1635-1639, 2001. 

  4. R. M. Scully and M. R. Barnes, "Physical Therapy," J. B. Lippincott Company, 1988. 

  5. J. I. Won, "Necessity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ystem after Strok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8, no. 1, pp. 16-26, 2008. 

  6. Y. S. Bang, H. Y. Kim, M. K. Lee, "Factors Affecting the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9, no. 7, pp. 202-210, 2009. 

  7. G. M. Nys, M. J. Van Zandvoort, P. L. De Kort, B. P. Jansen, H. B. Van der Worp, L. J. Kappelle, and E. H. F. Dehhan, "Domain-specific recovery after first-ever stroke: A follow-up study of 111 case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 11, issue 07, pp. 795-806, 2005. 

  8. E. Y. Park, I. S. Shin, J. H. Kim,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n Patients with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2, pp. 537-548, 2012. 

  9. Y. W. Kwon, J. M. Lee, J. J. Jeon, J. H. Choi, D. Y. Kwon, K. W. Lee, "Comparison of Functional Recovery Status according to Rehabilitation Therap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6, no. 4, pp. 370-373, 2002. 

  10. A. R. Fugl-Meyer, L. Jaasko, I. Leyman, S. Olsson, S. Steglind,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vol. 7, no. 1, pp. 13-31, 1975. 

  11. K. H. Song, C. K. Lee, J. Y. An, K. Y. Kwon, S. W. Shin, S. T. Chung, "Development of Handle Type Interface and Emulator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The 2016 Summer Conference of IEIE, pp. 1067-1070, 2016. 

  12. W. R. Hur, B. Song, "Effects of Foot and Ankle Mobilization on Balance Abilities for Patient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6, pp. 339-358, 2016. 

  13. S. H. An, D. S. Park, "Discriminative 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as Independent Ambulation for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2, pp. 293-306, 2016. 

  14. M. J. Park, J. Y. Kang, "ICF Core Sets for Measuring Functional Status of 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19, no. 2, pp. 107-119, 2012. 

  15. B. Gialanella, R. Santoro, and C. Ferlucci, "Predicting outcom after stroke: the role of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predicting outcome after stroke," Eur. J. Phy. Rehab. Med., vol. 49, no. 5, pp. 629-637. 2013. 

  16. S. W. Shin, S. H. Jeong, S. T. Chung, C. J. Lim, "Balance ball controller and Rehabilitation Contents Development using Smart Multisens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27, no. 3, pp. 135-141, 2014. 

  17. J. Y. An, Y. G. Kim, S. T. Chung, "A Research on Measurements and Contents of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Based on Inertial Measurement Unit,"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28, no. 3, pp. 143-150, 2015. 

  18. J. H. Kim, M. H. Oh, J. S. Lee, H. S. Ahn, "The Effects of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s on Stroke Patients'Functional Recove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9, no. 3, pp. 101-114, 2011. 

  19. P. S. Buyn, M. Y. Chon,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deo Game on Improvement Range of Motion for Upper-Extremity, Shoulder Pain and Stres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19, no. 1, pp. 46-56, 2012. 

  20. H. W. Jung, Y. K. Park," Desinging and Materialization of Rhythm Game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Hempilegic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26, no. 2, pp. 123-131, 2013. 

  21. Y. H. Kim, K. S. Tae, S. J. Song, "Evaluation of Upper-Limb Motor Recovery after Brain Injury: The Clinical Assessment and Electromyographic Analysis," Physical Therapy Korea, vol. 12, no. 1, pp. 91-99, 2005. 

  22. D. G. Kamper, W. Z. Rymer, "Impairment of voluntary control of finger motion following stroke: Role of inappropriate muscle coactivation," Muscle Nerve, vol. 24, no. 5, pp. 673-681. 2001. 

  23. M. C. Huang, S. H. Lee, S. C. Yeh, R. C. Chan, A. Rizzo, W. Xu, and L. Shan-Hui, "Intelligent Frozen Shoulder Rehabilitation," IEEE Intelligent Systems, vol. 29, no. 3, pp. 22-28, 2014. 

  24. K. J. Sullivan, J. K. Tilson, S. Y. Cen, D. K. Rose, J. Hershberg, A. Correa, and P. W. Duncan,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function after stroke standardized training procedure for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trials," Stroke, vol. 42, no. 2, pp. 427-432. 2011. 

  25. Y. W. Jin, "The Scientific Research of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Life Science, vol. 20, no. 11, pp. 1704-1710, 2010. 

  26. M. A. Murphy, K. S. Sunnerhagen, B. Johnels, and C. Willen, "Three-dimensional kinematic motion analysis of a daily activity drinking from a glass: A pilot study,"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 3, pp. 18-28, 2006. 

  27. S. Y. Yun, T. Y. Lee, S. Y. Park, J. B. Yi, J. H. Kim, "Muscle Activity and a Kinematic Analysis of Drinking Mo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6, no. 1, pp. 77-88, 2008. 

  28. P. F, Vint, S. P. McLean, and G. M. Harron, "Eletromechanical delay in isometric actions initiated from nonresting level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3, no. 6, pp. 978-98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