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사공간으로서 장백산의 문화경관적 해석
Cultural Landscape Analysis of Changbai Mountain as Sacrifice Spac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4, 2016년, pp.89 - 97  

허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본 연구는 특정한 시대에 장백산 지역에 조성된 제사공간을 문화경관의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장백산의 신성성이 역사 속에서의 변화과정과 정권의 교체와 민족의 변화 속에서도 신성성이 유지된 이유에 대하여 해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나라에서 중화민국시기로 과도하면서 겪은 정권의 교체와 민족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의 수용성으로 인하여 장백산의 제사성격과 신적대상이 변화했다. 둘째, 청나라의 황가 제사공간인 망제전(望祭殿)은 권위적인 공간으로 만족만의 유일한 제사공간과 문화를 형성했고 중화민국 시기에는 한족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겪으면서 방산인 사이에서 새로운 민간신앙이 탄생했으며 따라서 제사공간인 여래사(如來寺), 산신노파두묘(山神老把頭廟)가 조성되었다. 셋째, 제사공간과 장백산을 공간적으로 보면 망제전은 수직적인 공간으로 권력적인 공간이고 여래사와 팔괘묘는 장백산과 수평적인 공간에 입지되어 순종적인 공간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사의례를 보면 청나라의 망제전은 만족만의 유일한 제사의례 이지만 황권의 폐지에 따라 단절되었다. 현재는 민간제사의례가 일상화 되어있고 청나라의 제사의례는 형식적으로만 진행된다. 결론적으로 보면 역사적으로 장백산에 대한 신성성은 변하지 않았다. 하지만 장백산 제사공간은 청나라의 단일한 제사문화에서 정권의 교체와 다민족의 문화에 대한 수용을 거쳐 변화하였다. 현재는 상호수용을 통하여 중첩된 제사공간과 문화를 형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ed at the sacrifice space building in the Changbai Mountain area to a specific era in terms of the cultural landscape. The scared of Changbai Mountain how changes in history came despite the regime and national change, interpretation of the reason was the scared maintained.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근거하여 장백산 제사공간을 문화와 경관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고찰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적, 활동적, 의미적 세 부분에 대해 해석하여 특성을 도출하려고 한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변화과정을 밝히고 신성성이 유지된 이유에 대하여 해석하려 한다.
  • 구체적으로 물리적, 활동적, 의미적 세 부분에 대해 해석하여 특성을 도출하려고 한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변화과정을 밝히고 신성성이 유지된 이유에 대하여 해석하려 한다. 물리적으로는 제사공간이 장백산과 가지는 풍수적인 관계를 고찰하고 활동적 부분은 제사공간에서 이루어진 제사행위와 의식을 고찰하여 특성을 도출하고 의미적 부분은 제사공간이 장백산에 가지는 신성한 의미에 대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 이는 장백산이 오래된 역사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고 또한 역사의 다층적인 구조 속에서 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장백산 제사공간에 대해 고찰하려고 한다. 주로 청나라 제사의식과 제사 장소를 선정하여 장백산이 황가의 제사공간으로서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해석하려고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백산을 중심으로 파생한 제사공간이 조성되어 있는 사실에 주목하여 문화경관적 시각으로 장백산이 가지는 신성성을 해석하려고 한다. 장백산의 제사공간을 역사적 시간이 중첩된 흔적이 쌓인 결과물로 보고 문화경관 이론 중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 또한 중화민국시기 민간 제사공간의 의미를 해석하려고 한다. 따라서 황가에서 민간으로 이전된 제사공간의 특징에 대해 해석할 것이다. 셋째, 문화경관의 관점에서 우선 장백산이 가지는 신성성이 특정된 시대의 정책과 민족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고 따라서 이러한 배경 하에 형성된 제사공 간의 변화에 대하여 해석할 것이다.
  • 또한 악무의 의상에 대해서도 규제 하였다. 악무(樂舞)를 하는 사람은 청포(青袍); 무무(武舞)를 하는 사람은 홍단소금화포(红缎销金花袍); 문무생(文武生), 악생(樂生), 분향악무생(焚香乐舞生)은 홍단보포를 입는 규제가 존재했다[16].
  • 주로 청나라 제사의식과 제사 장소를 선정하여 장백산이 황가의 제사공간으로서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해석하려고 한다. 또한 중화민국시기 민간 제사공간의 의미를 해석하려고 한다. 따라서 황가에서 민간으로 이전된 제사공간의 특징에 대해 해석할 것이다.
  • 장백산의 제사공간을 역사적 시간이 중첩된 흔적이 쌓인 결과물로 보고 문화경관 이론 중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문헌을 통해 제사 공간의 시대별 특성을 고찰하는 관점 및 제사공간과 장백산의 상호관계를 시간의 축을 통해 변화과정을 밝히고 해석하려고 한다.
  •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중국고문헌, 학술논문과 매체자료를 참고하여 이루어 졌다. 중국 고문헌으로는 『산해경(山海經)』, 『청실록(清實錄)』, 『글단국지(契丹國志)』, 『통전(通典)』, 『금사사기(金史史記)』, 『皇朝文獻通考(황조문헌통고)』, 『장백산지(長白山志)』, 『태산용맥론(泰山龍脈論)』를 참고하였고 그 외에 학위논문, 학술 논문 게재 논문을 참고하였다.
  • 또한 문화경관 변천과정에서 사회적 배경, 문화적 표준 및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근거하여 장백산 제사공간을 문화와 경관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고찰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적, 활동적, 의미적 세 부분에 대해 해석하여 특성을 도출하려고 한다.
  • 본 연구는 장백산 제사공간이 시간의 누적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므로 통시적인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다(Figure 2).
  • 본 연구는 제사공간에 의한 장백산 신성성이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오는 다층적인 개념 및 의미를 제시할 수 있고, 또한 문화경관으로서 그의 역사적 층위와 가치를 밝힐 수 있다.
  • 본 연구는 중국 장백산 제사공간의 신성성이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 온 다층적인 개념 및 의미를 제시하였고, 또한 문화경관으로서 제사공간이 가지는 특성을 밝혔다. 북한의 백두산과 중국의 장백산은 같은 산으로서 제사문화의 연결고리가 존재한다.
  • 본 연구는 특정한 시대에 장백산 지역에 조성된 제사공간을 문화경관의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장백산의 신성성이 역사 속에서의 변화 및 정권의 교체와 민족의 변화 속에서도 신성성이 유지된 이유에 대하여 해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다(Figure 2). 신성한 산으로서 기록이 남아있는 청나라 이전의 시기, 황실의 제사공간인 청나라 시기, 민간의 제사공간인 중화민국시기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장백산 제사공간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백산을 중심으로 파생한 제사공간이 조성되어 있는 사실에 주목하여 문화경관적 시각으로 장백산이 가지는 신성성을 해석하려고 한다. 장백산의 제사공간을 역사적 시간이 중첩된 흔적이 쌓인 결과물로 보고 문화경관 이론 중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문헌을 통해 제사 공간의 시대별 특성을 고찰하는 관점 및 제사공간과 장백산의 상호관계를 시간의 축을 통해 변화과정을 밝히고 해석하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백산이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장백산1) 지역은 중국의 명산으로 1980년 유네스코(UNESCO) 인간과 생물권 계획(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세계 생물권 보류지 중 하나로 선정되면서 생태적인 가치를 인정받았다[1]. 장백산 생태환경이 잘 보존된 것은 대상지에서 생활하고 거주했던 소수민족이 장백산을 신성한 존재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장백산 생태환경이 잘 보존된 이유는? 장백산1) 지역은 중국의 명산으로 1980년 유네스코(UNESCO) 인간과 생물권 계획(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세계 생물권 보류지 중 하나로 선정되면서 생태적인 가치를 인정받았다[1]. 장백산 생태환경이 잘 보존된 것은 대상지에서 생활하고 거주했던 소수민족이 장백산을 신성한 존재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장백산 지역의 민간제사 활동에서 금기하는 것은? 민간제사에서 금기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방산인 집단을 형성할 때 숫자 2와 4를 피한다. 2명이 동시에 인삼을 찾았을 때 다툼이 일어나면 분쟁을 조정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4 (四)는 죽을 사(死)자와 글자의 음이 같아서 피한다. 또한 산에 오르는 날짜도 매월 3, 13, 23일을 금일(禁日)로 하고 산 속에 들어가면 매월 1, 15일은 인삼을 캐지 못한다. 산신노파두를 존경하는 풍습도 존재한다. 사람들이 나무 그루터기에 앉지 않는다. 나무 그루터기는 산신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소나무 관솔에 앉지 못한다. 산신의 초불이기 때문이다. 검게 태운 나무위에 앉지 못한다. 산신의 필이기 때문이다. 노동을 통하여 수확한 산물(產物)외의 물건을 가져가지 못한다. 이러한 금기행위는 산신에 대한 공경을 표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ilin Local Chronicles committee (2002). Annals of Changbai Mountain, Jilin. p.29. 

  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3. Si, M. Q. (2011). Records of the Historian, Hunan: Yulu Publishing. p.7. 

  4. Li, X. D. (1985).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 Beijing: Science Publishing. p.45. 

  5. Young Ai Seo(2015). Seoul Namsan as Historic Urban Landscape From Multiple Perspective of Mountain Park and City Wall. Seoul National University. pp.7-11. 

  6. Mike Crang(1998). Cultural Geography. London: Routledge. pp.22-23. 

  7. Unesco(2015). Operational Guidelines. p.65. 

  8. Jia, L. F. (2015). Shanhai Jing. Beijing: United Publishing. p.173. 

  9. Jia, J. Y. (2014). Qidan Guozhi. Beijing: Zhonghua Book Company. p.47. 

  10. Du, Y. (1988). Tongdian. Beijing: Zhonghua Book Company. p.32. 

  11. Tuo, T. (2013). Jin Shi. Beijing: Zhonghua Book Company. pp.23-58. 

  12. Zhang, T. Y. (1787). Huangquan Wenxian Tongkao. Beijing: Zhonghua Book Company. p.83. 

  13. Chen, Z. H. (2012). Qingshilu. Beijing: Beijing Unverisity Publishing. pp.52-78. 

  14. Changbai Mountain Government network. http://cbs.jl.gov.cn/web/main.aspx 

  15. Gu, C. Y. (1969). Zengding Jilin Dili Jiyao. Lilin: Jilin Province Publishing, p.5. 

  16. Zhang, W. P. (1834). Changbai Mountain Wangji Temple. 

  17. Sun, S. F. (1996). Shanshen Laobatou and its worship practices. Beijing: Folklore Research. 

  18. Baidu Baike. http://baike.baidu.com/ 

  19. Henri Lefebvre(1992), Production of Space, Wiley-Blackwell. p.72. 

  20. Chung, Soojin(2004). Study on the Mt. Namsan in Kyeongju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sacred place. Seoul National University. 

  21. Li, Z. R. (2000). A Study on the Rites of Offering Sacrifices to the Heaven on the Summit of the Changbai Mountain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Qin Dynasty. Beijing: Journal of inner mongolia polytechnic university. 

  22. Zhang, Y. F. (2007). Changbai Mountain Culture Summary, Beijing: Culture and education. 

  23. Liu, H. S. (2003). Definition of changbai mountain culture and others. Beijing: China's borderland history and geography studies. 

  24. Cho Bup Jong(2009). The origin of religious faith about Bakdusan (白頭山) and designation of Manchulia(滿洲) in ancient-middle age in Korea History. Seoul: Korea history research. 

  25. Park, Seung Gyu(1995). Cultural geography latest developments. Seoul: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6. Yoon Chung Sup(1984). A Study on a planning for historic environment in urban plan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7. Peter Jackson(1989). Maps of Meaning: An Introduction to Cultural Geography London: Unwin Hyman. 

  28. Denis Cosgrove & Stephen Daniels(1988). The Iconography of Landscape: Essays on the Symbolic Representation, Design and Use of Past Environ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James Duncan and Nancy Duncan (1988). "(Re)reading the Landscape."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