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그린케어 운영실태 조사 분석
The Operation Condition Analysis on Green Care Practice in South Korea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1, 2016년, pp.69 - 79  

김아라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조은정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최수명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김상철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by surveying and analysing practice cases of green care in south Korea.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many valuable cases were check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internet informations. Case study targets we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일로 여는 세상'으로 인해 도출된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 사례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장주의 배려와 관심은 치유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애인 가족의 첫 방문 시, 1회로 그칠 수도 있었으나 농장주의 배려와 관심이 이를 지속적인 방문으로 이어지게 하였다. 또한 장애인 부모의 고민을 들어 주는 과정에서 부모의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농장주의 마음가짐과 자세는 치유서비스 제공 및 농장의 지속적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둘째, 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 정도에 따른 프로그램 구분이 필요하다. 현재 농장 활동에 참여하는 장애인은 모두 중증 장애인이며, 4~10년간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가끔 경증 장애 가족의 농장 방문이 이루어지지만 중증 장애아동의 활동 모습에 노출되면서 장애에 대한 반감과 두려움을 나타낸다. 이처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은 장애 정도에 따라 대상자 그룹을 나누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 취약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농장주는 장애인에게 서비스 제공시 관련 지식의 부재로 한계를 느낀다고 하였으며, 이 한계점을 지역 네트워크 조직의 도움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하고 있다. 이처럼 농장은 농업 이외의 사회보호, 의료 등 타 분야에 대한 이해가 낮아 관련 지식 및 정보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므로, 관련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네트워크 활용 활성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 넷째, 추후 농촌체험마을에서 확대 적용하기 위한 선진사례가 될 수 있다. 이 농장에서 제공하는 활동인 배나무 분양활동은 기존 농촌 체험마을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유사한 형태의 활동이다. 또한 연계 체험활동인 수확체험, 음식 만들기 등의 체험 또한 기존의 농촌마을에서 흔히 제공하고 있는 활동이다. 따라서 기존체험마을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치유기능을 접목한 형태의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린케어란 무엇인가? 그린케어(Green Care)는 정신적ㆍ육체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농업 및 농촌, 동물, 원예, 자연 등을 활용하여 제공되는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회 및 치료원예, 동물치료, 보호농업, 녹색운동, 생태치료, 야생치료 등으로 전개된다(Sempik et al., 2010).
국내에서 정의하는 '치유농업'은 무엇인가? , 2010). 국내에서는 치유농업을 ‘농업ㆍ농촌자원 또는 이와 관련한 활동 및 산출물을 활용한 치유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심리적ㆍ사회적ㆍ인지적ㆍ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는 산업 및 활동’으로 정의한 바 있다(Gim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S.M., Cho, E.J., Kim, Y.J., Kim, D.S., 2015, Benchmarking Points from Case Studies on the Support System for Green Care in the Western Countries, Proceedings of the Autumn symposium : 101-117,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 Di lacovo, Francesco and Deirdre O'Connor(Eds.), 2009,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Preogressing Multifunctio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Arsia, Agenzia Regionale per lo Sviluppo e l'Innovazione nel settore Agricolo-forestale, Firenze. 

  3. Gim, G.M., Moon, J.H., Jeong, S.J., Lee, S.M., 2013, Analysis on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gro-healing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4); 909-936. 

  4. Hassink J., Grin J. and Hulsink W., 2008, Multifunctional Agriculture Meets Health Care: Applying the Multi-Level Transition Sciences Perspective to Care Farming in the Netherlands, Sociologia Ruralis 48(1), 1-15. 

  5. Hassink J and Van Dijk M eds., 2006,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ringer. Dordrecht. 

  6. Hine R., Peacock J. and Pretty J., 2008, Care Farming in the UK: Evidence and opportunities.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and Centre for Environment and Society. University of Essex. 

  7. Hine, Rachel, Jo Peacock and Jules Pretty, 2008, Care Farming in the UK, Report for the National Care Farming Initiative(UK). 

  8. Kim, H.D., Gim, G.M., Lee, S.M., Moon, J.H. and Jeong, S.J., 2014, Care Farmi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terrobang 118. 

  9. Sempik J, Hine R and Wilcox D., 2010, Green Care: A Conceptual Framework, A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Health Benefits of Green Care. COST 866, Green Care in Agricul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