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황달의 예방적 치료에 대한 연구동향
A Review of the Treatment to Prevent Neonatal Jaundice -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0 no.4, 2016년, pp.99 - 110  

정민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  강기완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Jaundice is one of the most common conditions found in neonatal period. Phototherapy is one of the main treatments for neonatal jaundice. However, several adverse effects of the phototherapy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DNA damage recently. Therefore, a variety of treatments have b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한계는 선택된 문헌의 질이 낮은 점으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 및 잘 설계된 임상연구를 통한 근거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신생아 황 달의 예방적 치료에 한의사들의 실제적인 접근을 좀더 높일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임상 현장에서 한약복용 뿐만 아니라 약물욕, 추나 마사지 등을 통한 다양한 시도를 포함한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또한 이를 통해 광선치료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광선치료로 인한 모성과의 단절 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위의 검색어로 검색된 문헌에 대하여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문헌을 1차로 선별하였고, 이후 본문을 조사하여 신생아 황달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의학적 치료법을 적용한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CT (Controlled Clinical Trial) 연구문헌들을 선택하였다.
  • 이에 저자는 서양의학에서 신생아황달의 주요 치료법인 광선치료의 치료기간을 단축시키는 치료법의 필요성이 대두된 시점에서, 한의학을 이용한 신생아황달의 예방적 접근을 재조명하며, 또한 下胎毒法의 신생아 황달의 예방적 치료에 대한 근거를 찾아보고자한다. 따라서 최근 3년간 중의학 저널을 중심으로 신생아 황달의 예방적 치료에 대한 문헌을 검색하였다.
  • 출산이 대부분 산부인과에서 이루어지고, 출생 후 1~3일 동안 산모와 신생아가 입원치료를 받는 현 의료 시스템 상에서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한의학적 처치가 거의 사장된 것이 현실이나, 중의학계에서는 신생아황달의 중서의결합치료, 중의치료 등 다양한 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그 중 예방적 접근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한계는 선택된 문헌의 질이 낮은 점으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 및 잘 설계된 임상연구를 통한 근거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선요법이란 무엇인가? 신생아 황달의 일반적인 치료법은 광선요법 (phototherapy) 으로, 파장이 425~475 nm인 청색 형광 빛에서 가장 많이 흡수되는 빌리루빈의 성질을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이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간접 빌리루빈을 직접형으로 바꾸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시키는 것이다4-5).
광선요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생후 나이, 재태 기간과 위험인자들의 유무에 따라서 광선치료 시행 여부 및 기간을 결정하게 된다5). 광선요법은 혈청 빌리루빈치를 낮추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나, 부작용으로 묽은 변, 안구손상, 피부발진, 발열, 탈수, 오한, Bronze baby 증후군 등이 동반될수 있으며4-5), 이외에도 입원에 의한 의료비용 부담과 신생아와 가족 간의 격리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1) . 최근의 연구에서는 DNA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어6) 광선요법의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치료법에 대한 연구1)들이 진행되고 있다.
신생아 황달의 특징은 무엇인가?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흔히 관찰되는 질병 중 하나로, 입원치료를 요하는 질병 중 하나이다1) .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생후 1주 이내에 발생되며, 피부에 빌리루빈이 침착되어 노랗게 보이게 되어 발견 하게 된다2). 대부분의 경우 양성 경과를 보이지만, 경우에 따라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키는 핵황달을 일으킬 수도 있어 주의를 요하는 질환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won JB, Oh MH, Sim JG, Kim MH.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dioctahedral smectiteand cholestyramine with phototherapy in the treatment of neonatal hyperbilirubinemia. J Korean Soc Neonatal. 2000;7:39-44. 

  2. Lee SL. Neonatal jaundice. Korean J Pediatr. 2006;49:6-13. 

  3. Lee YK, Kim KA, Ko SY, Lee YK, Shin SM. Usefulness of the transcutaneous bilirubinometer during phototherapy in neonatal jaundice. Korean J Pediatr. 2006;49:1296-1300. 

  4. Stoll BJ, Kliegman RM. Jaundice and hyperbilirubinemia in the newborn. In: Behrman RE, Kliegman RM, Jenson HB,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7th ed. Philadelphia: vWB Saunders Co. 2004:592-9. 

  5.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ubcommittee on Hyperbilirubinemia. Management of hyperbilirubinemia in the newborn infant 35 or more weeks of gestation. Pediatr. 2004;114:297-316. 

  6. Christensen T, Reitan JB, Kinn G. Single-strand breaks in the DNA of human cells exposed to visible light from phototherapy lamp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bilirubin. J Photochem Phtobiol B. 1990;7:337-46. 

  7.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Yu SA, Lee JY, Lee HJ, Chang GT, Chai JW,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E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0:239. 

  8. He LC, Yang JM. The effect observation of Yinchen Chaihutang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Forum Tradit Chin Med. 2014;29(2):35. 

  9. Pang PG, Chen JH, Wang YC. The effect observ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prevention neonatal hyperbilirubinemia. J New Chin Med. 2014;46(5):138-40. 

  10. Zhu CY, Shrn ZY, Guan LF, Du ZM, Sun Q, Wang J. The effect observation of rhubarb in preventing icterus neonatorum. Zhejiang Med Educ. 2013;12(11):62-3. 

  11. Wang B. The effect observation of Yinzhihuang Koufuye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C J GMCM. 2012;27(11):2218-9. 

  12. Tong XF. The effect observation of Yinzhihuang Koufuye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Strait Pharm J. 2013;25(6):184-5. 

  13. Gong HY. The effect observation of Yinchen Wuling Tangjiang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Chin Community Doctor. 2016;26:179-80. 

  14. Jeong MJ. A study regarding current usage of Hataedok method in postpartum mothers. J Pediatr Korean Med. 2014;28(4):157-65. 

  15. Park MS. Significance of clinical pharmacology in pediatrics. Pediatr. 1997;40(11):1495-500. 

  16. Wu HC, Wu SY. The effect observation of a medicated bath using Tuihuangwaixiye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China Mod Med. 2012;19(15):92-3. 

  17. Liu LP. The effect observation of a medicated bath using Tuihuangxunxifang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TCM Res. 2014;27(4):17-8. 

  18. Zhou WD. The effect observation of Yinzhihuangfnagji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Chin Med Mod Distance Educ China. 2013;11(1):16-7.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formation on proper use of medicines for children (for professionals)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cited 2016 Nov 1].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701&seq11425&cmdv. 

  20. Xie HC, Liu EZ. The effect observation of retention enema using Yinzhihuang Koufuye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Jilin Med J. 2012;33(17):3670-1. 

  21. Jeong MJ. The study of enema therapy as one of the detoxification therapy. J Orient Neuropsychiatry. 2004;15(2):24-36. 

  22. Song EY, Lee EJ, Yoo JH, Lee JH, Koh BH, Bu YM, Park JW, Kim HJ, Chai KM. The study for standardized method of the retention-enema; for a method of experimental study. J Korean Med. 2014;35(1):1-9. 

  23. Korean Medical Pharmacology Text publication committee. Korean Medical Pharmacology. Seoul: Shinil Books. 2010:627-9, 648-51, 570-4. 

  24. Kitagawa I, Fukuda Y, Yoshihara M, Yamahara J, Yoshikawa M. Capillartemisin A and B, two new choleretic principles from Artemisia Capillaris herba. Chem Pharm Bull. 1983;31:352-5. 

  25. Sheng L, Qian Z, Zheng S, Xi L. Mechanism of hypolipidemic effect of crocin in rats: crocin inhibits pancreatic lipase. Eur J Pharmacol. 2004;14;495:201-8. 

  26. Lee IA, Lee JH, Baek NI, Kim DH.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crocin isolated from the fructus of Gardenia Jasminoides and its metabolite Crocetin. Biol Pharm Bull. 2005;28:2106-10. 

  27. Tsai JC, Tsai S, Chang WC.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three Chinese medicinal plants with laxative properties on ion transport of the rat intestinal epithelia. Biol Pharm Bull. 2004;27:162-5. 

  28. Ziao YL, Wang JB, Zhou GD, Shan LM, Xiao XH. Investigations of free anthraquinones from rhubarb against alpha-naphthylisothiocyanate-induced cholestatic liver injury in rats.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2009;104:463-9. 

  29. Yatsunenko T, Rey FE, Manary MJ, Trehan I, Dominguez-Bello MG, Contreras M, Magris M, Hidalgo G, Baldassano RN, Anokhin AP, Heath AC, Warner B, Reeder J, Kuczynski J, Caporaso JG, Lozupone CA, Lauber C, Clemente JC, Knights D, Knight R, Gordon JI. Human gut microbiome viewed across age and geography. Nat. 2012;486:222-7. 

  30. Zhao HM. A clinical research of meridian conditioning to prevent neonatal hyperbilirubinemia. Zhejiang University. 2012. 

  31. An HS. Textbook of pediatrics, 10th ed. Seoul: MIRAEN Co. 2010:320-1. 

  32. Gourley GR, Kreamer B, Arend R. The effect of diet on feces and jaundice during the first 3 weeks of life. Gastroenterol. 1992;103(2):660-7. 

  33. Jeong MJ. A study regarding current usage of Hataedok method in Korean pediatrician. J Pediatr Korean Med. 2014;28(2):88-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