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 입문교육에서 형성평가 후 되먹임 및 재시험의 효과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Feedback and Remediation after Formative Assessment in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8 no.1, 2016년, pp.38 - 43  

이용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  최손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 of feedback and remediation after formative assessment (FRFA) by comparing the FRFA score and that of summative assessment (SA) in a course on clinical skills. In March 2015, 33 subjects underwent evaluation of their ability to perform a complex clinical skill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이후 교내 OSCE/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평가할 때 2015년 12월에도 3학년을 대상으로 같은 항목에 대한 평가가 있어서 2015년 12월 교내평가결과를 2014년 12월의 교내평가점수 및 2015년 3월의 형성평가점수를 비교함으로써 현장 되먹임을 시행만 했던 2014년 12월 교내평가점수와 차이를 비교하고 되먹임과 재시험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객관구조화진료시험의 도입 이유는? 국가시험에 실기시험의 형태로 임상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된 객관구조화진료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은 우리 의과대학도 임상실습기간 중 교내평가 및 컨소시엄 평가를 통해 진행해 오고 있다.
의사국가시험에서 실기시험을 도입한 배경은? 의과대학에서는 지식 위주의 의학교육에 대한 반성과 함께 의과대학을 졸업할 시점에서 학생들이 실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Hamilton, 1999; Harden et al, 1999). 그일환으로 임상술기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각 의과대학은 학생들이 의사로서의 기본술기를 실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있다(Lee et al., 2001; Park et al.
STEPS모형의 특징은? 임상술기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조화된 STEPS모형(Ker, 2009)은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이다.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 이전에 실습지도자의 시범, 이론적 근거에 기반을 둔 재시범과 설명,실습수행에 대한 격려와 되먹임 등을 통해 실습지도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정확한 술기를 보고 익힐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며, 자신감이 생길 때까지 지속해서 반복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술기습득을 위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및 심동적 영역에 효과를 높일 수 있다(Le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ullock, I. (2000). Skill acquisition in resuscitation. Resuscitation, 45(2), 139-143. 

  2. Cleland, J., Mackenzie, R. K., Ross, S., Sinclair, H. K., & Lee, A. J. (2010). A remedial intervention linked to a formative assessment is effective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in subsequent degree examinations. Med Teach, 32(4), e185-e190. 

  3. Hwang, K., Lee, Y. M., & Baik, S. H. (2001). Clinical performance assessment as a model of Korean medical licensure examination. Korean J Med Educ, 13(2), 277-287. 

  4. Hamilton, J. D. (1999). Outcomes in medical education must be wide, long and deep. Med Teach, 21(2), 125-126. 

  5. Harden, R. M., Crosby, J. R., & Davis, M. H. (1999). An introduction to outcome-based education. Med Teach, 21(1), 7-14. 

  6. Hauer, K. E., Teherani, A., Irby, D. M., Kerr, K. M., & O'Sullivan, P. S. (2008). Approaches to medical student remediation after a comprehensive clinical skills examination. Med Educ, 42(1), 104-112. 

  7. Hodder, R. V., Rivington, R. N., Calcutt, L. E., & Hart, I. R. (1989). The effectiveness of immediate feedback during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Med Educ, 23(2), 184-188. 

  8. Ker, J. S. (2009). Clinical skills centre teaching. In: J. A. Dent, & R. M. Harden (Eds.), A practical guide for medical teachers (pp. 86-95). Edinburgh: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9. Lee, C. M. (2015). Effects of a STEPS model-based nursing skill training program on knowledge,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0. Lee, Y. M., Ahn, D. S., Kim, B. S., & Park, J. Y. (2001).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course for teaching basic clinical skills. Korean J Med Educ, 13(2), 231-236. 

  11. Melle, E. V. (2008). The teaching doctor, improve learning through formative assessment. Retrieved from http://meds.queensu.ca/assets/Improve-learning-throughformative-assessment.pdf 

  12. Park, G. H., Koh, H. J., Choi, I. S., Lee, Y. D., Yim, Y. M., & Kim, Y. I. (2002). The operational design of clinical skills training program in Gachon Medical School. Korean J Med Educ, 14(2), 203-212. 

  13. Park, H. (2004). Clinical application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Korean J Med Educ, 16(1), 13-23. 

  14. Park, W. B., Hur, M., Kim, A. R., Seo, M. S., Kim, J. S., Kwon, S. T., ... Shin, J. S. (2009). Skill training in internal medicine student clerkship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Med, 76(4), 451-458. 

  15. Song, M. R., Kim, E. M., & You, S. J. (2012). 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Int J Contents, 12(6), 390-4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