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Impacts of CCS Marine Geological Storage Demonstration Project on the National Economy using Input-output Analysis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8 no.1, 2016년, pp.71 - 79  

이주석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대학 국제무역경제학부) ,  최은철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CCS marine geological storage demonstration project in Korea using Input-Output analysis utilizing the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issued in 2013. In particular, this study defines the $CO_2$ ocean storage industry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외생화 기법을 적용하게 되면 연구개발, 폐기물처리,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으로 이루어진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을 정의한 후 기존의 산업분류 외에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산업부문을 전체 산업연관분석에별도로 추가하여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 부문의 산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그 산출물이 타 산업에 유발하는 효과를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에 해당하는 산업들을 식별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산업을 정의한 후, 외생화를 통해 동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정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을 중심으로 국가경제 측면에서의 역할과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동 사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당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의 경제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고자 한다. 한편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을 중심으로 국가경제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의 총산출 변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데 통상적인 산업연관분석으로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 부문의 변동시 자기 부문 외의 다른 산업부문들이 받는 영향을 별도로 분리하여 분석할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산업구조를 유지하면서도 CO2를 감축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무엇인가? 석탄의 경우에도 수요의 증가의 폭은 과거에 비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2040년의 소비량이 6,722백만 톤에 육박하여 여전히 많은 양의 석탄이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보다 경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수단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산업구조를 유지하면서도CO2를 감축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CCS, CO2 capture and storage)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IEA (2009)에 따르면 전 세계의 CCS 플랜트 수요가 2050년에 3,400기까지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코펜하겐 기후협약정상회의에서 어떤 목표를 설정하였는가? 한편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에 속하여 감축의무대상국은 아니지만 OECD 국가 중 온실가스 배출 증가율 1위이고 세계 9위의 CO2 배출 국가로 국제사회에서 온실가스 감축의 압박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9년 11월 코펜하겐 기후협약정상회의에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 배출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대비 30% 감축키로 하는 국가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공표했다. 우리나라가 현상태에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2020년 배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온실가스 총량(BAU)은 8억1,300만 톤으로 이 수치를 30% 줄이겠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CO2를 해양에 저장하여 처리하는 해양지중저장사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배경은? 한편 우리나라의 CCS 사업은 원천기술개발은 미래창조과학부, 포집부분은 산업통상자원부, 육상저장은 환경부, 해상수송 및 저장은 해양수산부가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육상저장의 경우 누출의 우려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사회 각계각층의 우려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Al-Fattah et al. 2010; van Alph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광하 (2000)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서울, 422 p (Kang KH (2000) Input-output analysis. Yeonamsa, Seoul,422 p) 

  2. 박소연, 이경실, 유승훈 (2014) 집단에너지 부문과 도시가스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에너지 공학 23(2):83-92 (Park SY, Lee KS, Yoo SH (2014) Comparative analysis onthe economic effects of integrated-energy and manufacturedgas supply sectors. J Energ Eng 23(1):83-92) 

  3. 유승훈, 허재용, 김기주 (2004) 투입산출표의 외생화를 이용한 전파 방송 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17(5):1593-1612 (Yoo SH, Heo JY, Kim KJ (2004) The role of the wirelesscommunications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an input-output analysis. J Ind Econ Bus 17(5):1593-1612) 

  4. 한국은행 (2015)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서울, 204 p (The Bank of Korea (2015) Input-output table. The Bank OfKorea, Seoul, 204 p) 

  5. 해양수산부 (2014) 2014 Korea Clean Carbon Storage 프로젝트 (KCCS 2005). 해양수산부 (MOF (2014) 2014 Korea Clean Carbon Storage Project(KCCS 2005).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6. Al-Fattah SM, Barghouty MF, Dabbousi BO (2011) Carbon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ies, policies, economic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CRC Press, Leiden, 404 p 

  7. IEA (2009) Technology roadmap: carbon capture and storag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https://www.iea.org/publications/ freepublications/publication/technology-roadmap-carboncapture- and-storage-2009.html Accessed 13 Jan 2016 

  8. IEA (2014) World Energy Outlook 2014. International Energy Agency. http://www.worldenergyoutlook.org/weo2014/ Accessed 13 Jan 2016 

  9. Metz B, Davidson O, de Coninck H, Loos M, Meyer L (2005)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431 p 

  10. Miller RE, Blair PD (2009)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784 p 

  11. van Alphen K, van Voorst tot Voorst Q, Hekkert MP, Smits RE (2007) Societal acceptance of carbon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ies. Energ Policy 35(8):4368-4380 

  12. Wu RH, Chen CY (1990)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 Econ 12(1):71-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