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조기 초경 경향과 영향요인
Secular Trend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arly Menarche among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319 - 327  

한달롱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종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선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초경 연령 변화와 조기 초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2006년-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조사 완료된 여학생 중 내용이 부실한 자료를 제외한 1988년에서 2002년에 출생한 216,917명이었다. 연도별 초경 연령과 조기 초경(12세 이전 초경 경험) 비율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선형추세검정을 이용하였고, 조기 초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988년생 여학생의 초경연령이 $12.61{\pm}1.32$세에서 2002년생 $11.88{\pm}0.75$세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 for trends<.001), 조기 초경을 경험한 비율은 증가추세에 있었다(p for trends<.001). 조기 초경 비율은 1988년에 출생한 여학생의 경우 19.7%에서 2002년에 출생한 여학생은 25.2%로 증가 추세에 있었다(p for trends<.001). 도시에 거주할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과체중 및 비만일수록 조기 초경의 위험이 높았다(all p<.001).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여고생의 초경연령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으며, 초경연령 조절을 위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ecular trend in age at menarche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e the early menarche(<12 years old) among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We analyzed data from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KYRBWS) 2006-2014. This stud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 본부에서 실시한 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Korean Youth Health Behavior Web-based Survey)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재분석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 연구에서 초경 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진 변수들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변수는 연령, 초경 연령, 거주지역, 사회경제적 수준, 신체활동, 스트레스 정도, 수면시간, 신장, 체중이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하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14년간의 초경 연령 변화와 조기 초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14년간의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초경 연령과 조기 초경 비율의 변화와 조기 초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고등하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14년간의 초경 연령 변화와 조기 초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조기 초경을 예방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건강한 성장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최근 10여 년간 여성 청소년들의 초경 연령 변화추이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조기 초경을 예방하고 건강한 성장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경 연령이 보건 관리 지표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초경 연령은 사춘기 이전의 부정적인 신체적, 심리적 이상증상과 관련이 있어 초경 연령은 여성 청소년들의 보건관리를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4]. 또한 빠른 초경 연령은 사춘기 이후의 각종 질병발생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성인보건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관리대상이라 할 수 있다.
초경 연령이 영향을 받는 요인은 무엇인가? 한편, 초경 연령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어머니의 초경 연령[3][12], 사회경제적 수준[12-14], 거주지역[12][15], 비만[16][17], 영양상태[17], 스트레스정도[17][18], 신체활동[19][20], 수면시간[13][20] 등이 초경 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경 연령이 빨라지는 것이 가져오는 문제점은? 이렇게 초경 연령이 빨라지는 것은 여러 가지 보건학적 문제를 야기한다. 조기 초경(early menarche)을 경험한 여아는 정신적 성숙보다 신체적 성숙이 앞서기 때문에 우울 등과 같은 심리적 문제 및 일탈을 경험하기 쉽다[5]. 조기 초경을 경험한 여성은 성장판이 일찍 닫히면서 성장속도가 둔화되어 성인기 신장이 적은 결과에 이르며, 성인기 비만이 될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또한 초경 연령의 변화는 질병발생의 위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기 초경은 성인기 당뇨병, 골다공증 등과 같은 만성질환을 증가시킨다[7][8]. 조기 초경은 에스트로겐 노출 증가로 유방암, 자궁내막암과 같은 여성호르몬과 관련된 암의 발생을 증가시킨다[9][10]. 또한 빠른 초경은 체질량지수 및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작용할 뿐 아니라 조기사망의 위험을 높인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 H. Morris, M. E. Jones, M. J. Schoemaker, A. Ashworth, and A. J. Swerdlow, "Secular trends in age at menarche in women in the UK born 1908-93: results from the Breakthrough Generations Study," Paediatr Perinat Epidemiol. Vol.25, No.4, pp.394-400, 2011. 

  2. J. H. Ahn, S. W. Lim, B. S. Song, J. Seo, J. A. Lee, D. H. Kim, and J. S. Lim, "Age at menarche in the Korean female: secular trends and relationship to adulthood body mass index,"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Vol.18, No.2, pp.60-64, 2013. 

  3. G. J. Cho, H. T. Park, J. H. Shin, J. Y. Hur, Y. T. Kim, S. H. Kim, K. W. Lee, and T. Kim, "Age at menarche in a Korean population: secular trends and influencing factors," Eur J Pediatr, Vol.169, No.1, pp.89-94, 2010. 

  4. 최문정, 한국인의 초경연령에 영향을 주는 요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 C. Joinson, J, Heron, G. Lewis, T. Croudace, and R. Araya, "Timing of menarche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girls from a UK cohort," Br J Psychiatry, Vol.198, No.1, pp.17-23, 2011. 

  6. M. B. Pierce and D. A. Leon, "Age at menarche and adult BMI in the Aberdeen children of the 1950s cohort study," Am J Clin Nutr, Vol.82, No.4, pp.733-739, 2005. 

  7. R. Lakshman, N. Forouhi, R. Luben, S. Bingham, K. Khaw, N. Wareham, and K. K. Ong, "Association between age at menarche and risk of diabetes in adults: results from the EPIC-Norfolk cohort study," Diabetologia, Vol.51, No.5, pp.781-786, 2008. 

  8. 김창수, 남정모, 김덕희, 김현창, 이강희, 지선하, 서일, "초경시기와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신체성장의 변화 : 강화연구," 예방의학회지, 제33권, 제4호, pp.521-529, 2000. 

  9. O. Karapanou and A. Papadimitriou, "Determinants of menarche," Reprod Biol Endocrinol, Vol.30, No.8, p.115, 2010. 

  10. G. Kvale, I. Heuch, S. Nilssen, and V. Beral, "Reproductive factors and risk of ovarian cancer: a prospective study," Int J Cancer, Vol.42, No.2, pp.246-251, 1988. 

  11. B. K. Jacobsen, K. Oda, S. F. Knutsen, and G. E. Fraser, "Age at menarche, total mortality and mortality from ischa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the Adventist Health Study, 1976-88," Int J Epidemiol, Vol.38, No.1, pp.245-252, 2009. 

  12. L. S. Adair, "Size at birth predicts age at menarche," Pediatrics, Vol.107, No.4, p.E59, 2001. 

  13. 오창모, 서울시 여학생의 초경관련인자에 관한 단면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4. D. Braithwaite, D. H. Moore, R. H. Lustig, E. S. Epel, K. K. Ong, D. H. Rehkopf, M. C. Wang, S. M. Miller, and R. A. Hiatt. "Socioeconomic status in relation to early menarche among black and white girls," Cancer Causes Control, Vol.20, No.5, pp.713-720, 2009 

  15. Y. Song, J. Ma, H. J. Wang, Z. Wang, P. Hu, B. Zhang, and A. Agardh, "Trends of age at menarche and association with body mass index in Chinese school-aged girls, 1985-2010," J Pediatr, Vol.165, No.6, pp.1172-1177, 2014. 

  16. R. L. Rosenfield, R. B. Lipton, and M. L. Drum. "Thelarche, pubarche, and menarche attainment in children with normal and elevated body mass index," Pediatrics, Vol.123, No.1, pp.84-88, 2009. 

  17. 이복임, "우리나라 여고생의 초경연령 영향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7권, 제3호, pp.121-129, 2014. 

  18. 안경민, 홍경희, "여중생의 초경경험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5737-5744, 2013. 

  19. E. Abdulla and N. M. Ibraheem, "Assessment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age of menarche among girls in Tikrit city," Tikrit Medical Journal, Vol.16, No.2, pp.129-133, 2010. 

  20. S. Y. Ku, J. W. Kang, H. Kim, Y. D. Kim, B. C. Jee, C. S. Suh, Y. M. Choi, J. G. Kim, S. Y. Moon, and S. H. Kim, "Age at menarch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Hum Reprod, Vol.21, No.3, pp.833-836, 2006. 

  21. F. Rigon, L. Bianchin, S. Bernasconi, G. Bona, M. Bozzola, and F. Buzi, et al. "Update on age at menarche in Italy: toward the leveling off of the secular trend," J Adolesc Health, Vol.46, No.3, pp.238-244, 2010. 

  22. Z. Atay, S. Turan, T. Guran, A. Furman, and A. Bereket, "Puberty and influencing factors in schoolgirls living in Istanbul: endof the secular trend?," Pediatrics, Vol.128, No.1, pp.40-45, 2011. 

  23. A. Papadimitriou, G. Fytanidis, K. Douros, C. Bakoula, P. Nicolaidou, and A. Fretzayas, "Age at menarche in contemporary Greek girls: evidence for levelling-off of the secular trend," Acta Paediatr, Vol.97, No.6, pp.812-815, 2008. 

  24. E. Hwang, K. W. Lee, Y. Cho, H. K. Chung, and M. J. Shin, "Association between age at menarche and diabete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Endocr J, 2015 Jul 17. [Epub ahead of print]. 

  25. C. M. Oh, I. H. Oh, K. S. Choi, B. K. Choe, T. Y. Yoon, and J. M. Choi,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early menarche of adolescent girls in Seoul," J Prev Med Public Health, Vol.45, No.4, pp.227-234, 2012. 

  26. 질병관리본부, 대한소아과학회, 소아청소년 신체발육표준치 제정위원회, 2007년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 : 해설, 질병관리본부, 2007. 

  27. L. Zhai, J. Liu, J. Zhao, J. LiuJ, Y. Bai, L. Jia, and X. Yao, "Association of obesity with onset of puberty and sex hormones in Chinese girls: A 4-year longitudinal study," PloS One, Vol.10, No.8, e0134656, 2015. 

  28. S. Shalitin and M. Phillip, "Role of obesity and leptin in the pubertal process and pubertal growth : A review,"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Vol.27, No.8, pp.869-874, 2003. 

  29. 오두남, 김은만, 김선호, "한국 청소년의 체중조절행동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218-228, 2013. 

  30. 권미경, 초경시기와 관련된 요인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중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1. 하영미, 박현주, "고등학생의 수면 부족, 비만, 스크린 타임 사이의 관련성 연구,"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16권, 제2호, pp.80-8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