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총생 증상을 보이는 한국잔디로부터 노균병원균 관찰
Observation of Scleropthora macrospora Causing Downy Mildew from Zoysiagrass with Leaf Yellowing and Excessive Tillering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5 no.1, 2016년, pp.23 - 28  

한무호 (삼성물산 식물환경연구소) ,  김경덕 (삼성물산 식물환경연구소) ,  피재호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최수민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박대섭 (삼성물산 식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적으로 재배중인 한국잔디에서 확대되고 있는 총생잔디에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피시움균의 난포자와 유사하지만 다소 큰 사이즈인 $50{\sim}80{\mu}m$의 난포자를 관찰하였다. 동일 시료들을 암상태의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24시간 증식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80{\sim}100{\mu}m$ 크기의 Sclerophthora macrospora 유주자낭이 확인되었다. 유전자 분석을 통한 확인을 위해 유전자 은행에 등록된 S. macrospora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라이머와 감염된 조직에서 추출한 DNA로 PCR 후, S. macrospora 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S. macrospora가 한국잔디 총생 증상에 관여하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oysiagrass possessing the leaf yellowing with excessive tillers was first found in a golf course in Gyunggi province at last three to four years ago and since then have rapidly spread many golf courses in Korea. The symptom is very similar to that of yellow tuft or downy mildew, which is caus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의 많은 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조이시아 그래스에서의 총생화 현상이 노균병의 원인균인 S.macrospora와 연관성이 있는지의 확인을 위하여 S. macrospora 유전자에 특이적인 마커와 PCR로 S. macrospora의 감염 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진단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A: Mulitiple alignment of the Sm H-AY and known isolates (EU826119, HQ641397, HQ641398, HQ641399, HQ641400, HQ641401, HQ641402)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B: Taxonomic position of Sm H-AY isolate based on ITS region of ribosomal DN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국내의 한국잔디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최근 3~4년 전부터 국내의 한국잔디(Zoysia sp.)에서 다수의 개체들 잎에서 황화증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밀도가 과하고 과분얼되어 직경이 3~5 ㎝ 정도로 뭉쳐진 형태의 개체들로 뿌리 생육이 매우 부진하여 결국 고사하거나 현저한 생육저하를 보인다. 이 증상은 벼(Oryza sativa L.
국내 잔디의 황화증상의 심각성은? 이러한 증상은 일부 골프장에서만 관찰되어왔으나 최근 2년전부터는 전국적으로도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데, 초기 증상은 생육이 부진한 연녹색의 잔디 개체들이 작은 북더기 형태를 띄고, 개체별로 과분얼에 의한 총생화 현상을 보인다. 병이 진행되면서 뭉쳐진 총생 잔디들은 갈변하면서 고사한다. 이러한 개체들은 건전한 잔디 개체들로부터 확연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하지만 과분얼된 개체를 가진 지하경(rhizome)과 지상 포복경 (stolon)으로부터 뻗어나온 새로운 개체들에서도 총생화가 진행되는 것이 관찰되어 문제의 심각성이 높다.
노균병 원인균으로 알려진 S. macrospora의 특징은? 노균병 원인균으로 알려진 S. macrospora는 순활물기생 균으로 인공배지에서의 인위적 배양은 불가능하다(Safeeulla, 1976). 하지만 이병조직으로부터 병원균 증식 등으로 병의 특성 연구는 진행되어 왔는데 이병잔디 조직내에서 증식된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uton, B.D., Toler, R.W. and Frederiksen, R.A. 1978. Sclerophthora macrospora, a downy mildew of St. Augustinegrass. Phytopathol. News 12:189. 

  2. Chang, T. and Lee, Y.S. 2013. Occurrence of Pythium blight caused by Pythium aphanidermatum on Chewing Fescue. Weed Turf. Sci. 2:306-311. (In Korean) 

  3. Corwin, B.S. and Ervin, E.H. 2000. Solving the mystery of Zoysiagrass yellow tuft: Downy mildew pathogen apparently causes yellowing in spring, fall. Golf Course Management. 68:54-55. 

  4. De leon, C. 1984. Maize diseases: a guide for field identification. CIMMYT. pp. 5-7. 

  5. Dernoeden, P.H. and Jackson, N. 1980. Infection and mycelial colonization of gramineous hosts by Sclerophthora macrospora. Phytopathol. 70:1009-1013. 

  6. Han, M., Kim, C.Y., Lee, J., Lee, S.K. and Jeon, J.S. 2014. OsWRKY42 represses OsMT1d and induces reactive oxygen species and leaf senescence in rice. Mol Cells. 37:532-539. 

  7. Han, M., Ryu, H.S., Kim, C.Y., Park, D.S., Ahn, Y.K. and Jeon, J.S. 2013. OsWRKY30 is a transcription activator that enhances rice resistance to the Xanthomonas oryzae pathovar oryzae. J. Plant Biol. 56:258-265. 

  8. Jackson, N. and Dernoeden, P.H. 1978. Sclerophthora macrospora the causal agent of yellow tuft disease in turfgrasses. Phytopathol. News 12:236. 

  9. Jackson, N. and Dernoeden, P.H. 1980. Sclerophthora macrospora: The incitant of yellow tuft disease of turfgrass. Plant Dis. 64:915-916. 

  10. Jones, B.L. and Amador, J. 1969. Downy mildew, a new disease of St. Augustinegrass. Plant Disease Reporter 53:852-854. 

  11. Kim, J.W. and Park, E.W. 1999. Occurrence and pathogenicity of Pythium species isolated from leaf blight symptoms of turfgrasses at golf courses in Korea. Plant Pathol. J. 15:112-118. 

  12. Kim, C.Y., Han, M., Park, C.J. and Jeon, J.S. 2014. Differential role for BiP3 in rice immune receptor-mediated resistanc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7:539-542. 

  13. Kim, K.D., Hong, S.C., Jang, K.M., Han, M., Pyee, J.H., et al. 2014. First report of Waitea Ring Patch caused by Waitea circinata on Zoysiagrass. Weed Turf. Sci. 3:1-4. (In Korean) 

  14. Lee, Y.H., Cha, K.H., Ko, S.J., Park, K.B. and Kim, Y.C. 2003. Effect of rice downy mildew (Sclerophthora macrospora) on rice growth and screening of disease resistance of cultivars. Res. Plant Dis. 9(1):52-56. (In Korean) 

  15. Park, D.S., Lee, J.H., Cho, M.R., Kim, Y.S., Kim, K.D., et al. 2012. Damage of Zoysiagrass by Zoysiagrass mite, Aceria zoysiae in Korean Golf Courses. Weed Turf. Sci. 1:76-79. (In Korean) 

  16. Reinert, J.A. 2010. Damage by Bermudagrass mite and resistance in Bermudagrass cultivars. USGA Turfgrass and Environmental Research Online 9:1-7. 

  17. RPD, No.415. Yellow tuft or downy mildew of Turfgrasses. 1988. http://ipm.illinois.edu/diseases/series400/rpd415/ (Accessed on Apr. 1988). 

  18. Safeeulla, K.M. 1976. Biology and control of the downy mildews of Pearl millet, Sorghum and Finger millet. Wesley Press, Mysore, India. p. 304. 

  19. Semeniuk, G. and Mankin, C.J. 1964.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Sclerophthora macrospora on cereals and grasses in South Dakota. Phytopathology 54:409-416. 

  20. Smiley, R.W., Dernoeden, P.H., Clarke, B.B. 2005. Compendium of turfgrass diseases. 3rd ed.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N, USA. 

  21. Ullstrup, A.J. 1952. Observations on crazy top of corn. Phytopathology 42:675-680. 

  22. White, T.J., Bruns, T., Lee, S. and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CR Protocols. Academic Press, Mn, USA. pp. 315-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