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이동양상에 따른 교합력 변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비교 연구
Changes in occlusal forc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after loss of lower first molar: comparative study by using a strain gauge 원문보기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32 no.1, 2016년, pp.47 - 59  

송명자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학교실) ,  박지만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보철과) ,  전윤식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경사 및 정출 정도에 따른 교합력의 변화를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 및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경사 및 정출이 심화되는 정도를 점진적으로 네 개의 다이에 표현 후, CAD/CAM 제작 맞춤형 다이 시스템을 통하여 주모형에 부착 및 교체 가능하도록 하였다. 치아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 후, 만능물성시험기로 저작력을 가하면서 상하악 치아의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독립표본 t검증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alpha}=.05$). 결과: 대구치 상실 후 치아이동에 따른 교합력의 양상은, 네 단계의 모형에 대한 교합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감소 추세였다. 음식물 저작 시 인접 치아들의 이동에 따라 상악 제1, 2소구치, 하악 제2대구치에서 점차 교합력이 감소되었다. 음식물의 경도가 감소함에 따라 치아의 교합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육포 저작 시 하악 제2대구치의 교합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 < 0.05). 결론: 하악 제1대구치가 상실되고 치아 이동이 일어나기 전에는 저작 시 치아가 상실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교합력이 높은 반면, 치아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교합력은 정량적으로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lusal force after loss of the lower first molar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and extrusion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by using a strain gauge. Materials and Methods: Anatomic teeth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normal den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경사된 구치에 대한 보철적 치주적 교정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는 있어왔지만 구치가 경사됨으로 인해 교합력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연구나 실제 음식물을 저작하는 것을 측정하는 동적인 교합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부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하악 우측 제1대구치 상실 후 하악 제2대구치의 근심경사를 포함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이동에 따른 저작 시 교합력의 변화양상을 관찰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적인 상하악 구치부의 위치가 치축을 따라 수직력을 가할 때 근심방향으로의 힘이 존재하게 되는 이유는? 정상적인 상하악 구치부의 위치는 약간의 근심경사를 보이기 때문에 치축을 따라 수직력을 가할 때 근심방향으로의 힘이 존재하게 된다.1 하악 제1대구치의 상실은 가장 일반적인 구치부 상실의 형태이고 치아의 상실로 인한 치아간 접촉 상실은 교합력의 근심요소가 인접 치아로 작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으로 제2대구치가 근심으로 기울어진다.
저작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0세기 초반에서부터 저작기능의 중요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저작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는 음식의 분쇄율을 측정하는 저작효율 검사,10 저작근의 세기와 활성도 검사,11 음식의 저작횟수를 평가하는 연하경계점 검사,12 최대 씹는 힘을 검사하는 교합력 검사13 등이 있다. 저작효율검사는 음식물의 특성이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다양한 재료가 선택, 사용되어 왔으나, 이 방법은 음식물을 삼키거나 침에 의해 녹거나 음식물의 강도 등이 다름으로 인해발생되는 부정확함과 검사단계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제기되어 왔다.
하악 제1대구치가 상실되었을 때 제 2대구치의 근심경사와 함께 인접 치아들에 나타나는 변화는 어떻게 알려져 있는가? 하악 제1대구치가 상실되었을 때 제2대구치의 근심 경사와 함께 인접 치아들에 나타나는 변화는 다양하다. 상악 견치의 원심경사 축이 하악 제1소구치의 근심경사 축과 교합을 이룰 때 하악 치아에 원심력이 가해져 하악 소구치가 원심으로 기울어진다. 구치경사와 소구치의 이동으로 인해 발치 부위 공간은 점차 줄어들어 상실 부위를 정상적으로 수복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Stern 등2은 상실된 구치의 대합 치아는 과맹출이 일어나 원래의 치아간 접촉을 상실하고 보다 하방으로 치아간 접촉을 재위치시켜 조기 치아 접촉 및 교합평면과 악간 관계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치주인대의 2/3는 사선으로 배열되어 수직 교합력이 치아의 장축으로 전달되지 않아 치주적으로 불리해진다고 하였으며,4 정상 구 치에 비해 경사된 구치는 치은연상 치석과 치은연하 치석의 양이 많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경계상피에 인접한 결합조직의 염증세포 수와 혈관 수가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Yalisove I, Deitz J. Telescopic prosthesis therapy. 1st ed. Philadelphia; George F. Strickly Co.; 1977. p. 104-7. 

  2. Stern N, Revah A, Becker A. The tilted posterior tooth. Part I: etiology, syndrome, and prevention. J Prosthet Dent 1981;46:404-7. 

  3. Craddock HL. Occlusal changes following posterior tooth loss in adults. Part 3. A study of clinical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occlusal interferences following posterior tooth loss. J Prosthodont 2008;17:25-30. 

  4. Goldman HM, Cohen DW. Periodontal therapy, 5th ed. St. Louis; The C. V. Mosby Co.; 1973. p. 40. 

  5. Wehrbein H, Diedrich P. Mesio-marginal findings at tilted molars: a histological-histomorphometric study. Eur J Orthod 2001;23:663-70. 

  6. Yang HS, Thompson VP. A two-dimensional stress analysis comparing fixed prosthodontic approaches to the tilted molar abutment. Int J Prosthodont 1991;4:416-24. 

  7. Gibbs CH, Anusavice KJ, Young HM, Jones JS, Esquivel-Upshaw JF. Maximum clenching force of patients with moderate loss of posterior tooth support: a pilot study. J Prosthet Dent 2002;88:498-502. 

  8. Agerberg G, Carlsson GE. Chewing ability in relation to dental and general health: analysis of data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Acta Odontol Scand 1981;39:147-53. 

  9. Osterberg T, Steen B. Relationship between dental state and dietary intake in 70-year-old males and females in Goteborg, Sweden: a population study. J Oral Rehabil 1982;9:509-21. 

  10. Manly RS, Braley LC. Masticatory performance and efficiency. J Dent Res 1950;29:448-62. 

  11. Devlin H, Wastell DG. Bite force and masseter musc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onset of an isometric clench in man. Arch Oral Biol 1985; 30:213-5. 

  12. Fontijn-Tekamp FA, Slagter AP, Van der Bilt A, Van't Hof MA, Kalk W, Jansen JA. Swallowing thresholds of mandibular implant-retained overdentures with variable portion sizes.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375-80. 

  13. Helkimo E, Carlsson GE, Helkimo M. Bite force and state of dentition. Acta Odontol Scand 1977; 35:297-303. 

  14. Tsuga K, Carlsson GE, Osterberg T, Karlsson S. Self-assessed masticatory ability in relation to maximal bite force and dental state in 80-year-old subjects. J Oral Rehabil 1998;25:117-24. 

  15. Hemley S. Fundamentals of occlusion. 15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44. 

  16. Anderson DJ. Measurement of stress in mastication. II. J Dent Res 1956;35:671-3. 

  17. Floystrand F, Kleven E, Oilo G. A novel miniature bite force recorder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Acta Odontol Scand 1982;40:209-14. 

  18. Seo JC, Kim JR, Yang DK. Study on changes in the maximum bite force after orthognathic surgery.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96;22:121-9. 

  19. Cho YC, Kim TK. A study on maximum bite force after dental implantation.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97;23:541-7. 

  20. Jung BY, Jeon YS, Han DH. Occlusal force and oral tactile sensibility measured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ith Branemark implants and natural teeth: a clinical study.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9;37:23-41. 

  21. Kwon HK, Yoo JH, Kwon YS, Kim BI. Comparison of bite force with dental prescale and unilateral bite force recorder in healthy subject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6;44:103-11. 

  22. Maness W. Comparison of the duration of occlusal contacts during habitual closure using the digital occlusal senser [abstract]. J Dent Res 1986;65:141. 

  23. Throckmorton GS, Rasmussen J, Caloss R. Calibration of T-scan sensors for recording bite forces in denture patients. J Oral Rehabil 2009;36:636-43. 

  24. Oyen OJ, Melugin MB, Indresano AT. Strain gauge analysis of the frontozygomatic region of the zygomatic complex. J Oral Maxillofac Surg 1996;54: 1092-5. 

  25. Kim SC, Park KC. An analytical study on strain distribution using strain gauge attached on root surface. Korean J Orthod 2001;31:325-33. 

  26. Duyck J, Van Oosterwyck H, De Cooman M, Puers R, Vander Sloten J, Naert I. Three-dimensional force measurements on oral implants: a methodological study. J Oral Rehabil 2000;27:744-53. 

  27. Heo W, Baek SH. Friction properties according to vertical and horizontal tooth displacement and bracket type during inital leveling and alignment. Angle Orthod 2011;81:653-61. 

  28. Sohn BS, Heo SJ, Chang IT, Koak JY, Kim SK. A strain gauge analysis of implant supported cantilevered fixed prosthesis under distal static load.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7;45:717-23. 

  29. Pedersen E, Andersen K, Melse B. Tooth displacement analysed on human autopsy material by means of a strain gauge technique. Eur J Orthod 1991;13:65-74. 

  30. Gunne HS, Wall AK. The effect of new complete dentures on mastication and dietary intake. Acta Odontol Scand 1985;43:257-68. 

  31. Yurkstas A, Fridley HH, Manly RS. A functional evaluation of fixed and removable bridgework. J Prosthet Dent 1951;1:570-7. 

  32. Yurkstas AA. The effect of missing teeth on masticatory performance and efficiency. J Prosthet Dent 1954;4:120-3. 

  33. Lambrecht JR. The influence of occlusal contact area on chewing performance. J Prosthet Dent 1965;15:444-50. 

  34. Iwase M, Ohashi M, Tachibana H, Toyoshima T, Nagumo M. Bite force, occlusal contact area and masticatory efficiency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6;35:1102-7. 

  35. Yoon HR, Choi YJ, Kim KH, Chung C. Comparisons of occlusal force according to occlusal relationship, skeletal pattern, age and gender in Koreans. Korean J Orthod 2010;40:304-313. 

  36. Korioth TW. Number and location of occlusal contacts in intercuspal position. J Prosthet Dent 1990; 64:206-10. 

  37. Picton DC. Tilting movements of teeth during biting. Arch Oral Biol 1962;7:151-9. 

  38. Southard TE, Behrents RG, Tolley EA. The anterior component of occlusal force. Part 1. measurement and distribu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6:493-500. 

  39. Strange HE. A three-dimensional consideration of occlusion. Am J Orthod Oral Surg 1940;26:787-92. 

  40. Begg PR. Begg orthodontic theory and technique.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65. p. 60. 

  41. Behrend DA. The mandibular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 J Prosthet Dent 1977;37:622-38. 

  42. Hood JA, Farah JW, Craig RG. Modification of stresses in alveolar bone induced by a tilted molar. J Prosthet Dent 1975;34:415-21. 

  43. Sawicka M, Racka-Pilszak B, Rosnowska-Mazurkiewicz A. Uprighting partially impacted permanent second molars. Angle Orthod 2007;77:148-154. 

  44. Kraal JH, Digiancinto JJ, Dail RA, Lemmerman K, Peden JW. Periodontal conditions in patients after molar uprighting. J Prosthet Dent 1980;43:156-62. 

  45. Shiau YY, Peng CC, Hsu CW. Evaluation of biting performance with standardized test foods. J Oral Rehabil 1999;26:447-52. 

  46. Kohyama K, Hatakeyama E, Sasaki T, Dan H, Azuma T, Karita K. Effects of sample hardness on human chewing force: a model study using silicone rubber. Arch Oral Biol 2004;49:805-16. 

  47. Proffit WR, Fields HW, Nixon WL. Occlusal forces in normal- and long-faced adults. J Dent Res 1983; 62:566-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