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의실험에 의한 리커트형 설문분석 방법의 비교
A simulation comparison on the analysing methods of Likert type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2, 2016년, pp.373 - 380  

김현철 (군산대학교 통계컴퓨터과학과) ,  최승경 (숙명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최동호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커트형 데이터가 순서척도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이 구간척도로 간주하여 모수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커트형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는 것이 적절한지 모의 실험을 통하여 알아본다. 다양한 분포를 갖는 5점 리커트형 표본을 추출하여 위치를 비교하고, 순서척도의 경우 위치비교 보다 응답분포를 살펴보는 것이 더 타당하므로 응답분포 검정을 실시한다. 위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구간척도로 생각하고 분석하는 모수 방법인 t-검정과 순서척도로 생각하는 비모수 방법인 만- 휘트니검정 (M-W검정)을 적용하고, 응답분포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카이제곱 검정과 콜모고로프 - 스미르노프검정 (K-S검정)을 실시한다. 네 가지 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제 1종 오류 (Type I error)의 비율과 검정력 (power)을 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Likert type data is ordinal scale, many researchers who regard Likert type data as interval scale adapt as parametric methods. In this research, simulations have been used to find out a proper analysis of Likert type data. The locations and response distributions of five point Likert ty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때 고려되는 표본크기들은 n = m = 30, 50, 100으로 동일한 경우와 (n=30, m=50), (n=30, m=100), (n=50, m=100)인 총 6가지 표본크기이다. 동일한 분포에서 얻은 이 표본세트는 유의수준 (제1종 오류)이 잘 통제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즉 1,000번의 반복에서 같은 모집단에서 얻은 두 표본이 같지 않다고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의 비율이 유의수준과 얼마나 일치하는가를 평가한다.
  • 5를 각각 더해주고 비교함으로써 현실적로 발생할 수 없는 응답을 만들어 비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정력 비교를 위해 서로 다른 분포로부터 얻은 표본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리커트형 데이터를 어떤 척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알아 보고자 한다. 먼저 다양한 모집단 분포로부터 5점 리커트형 표본자료를 추출하여, 위치비교를 위해 구간척도로 간주하는 모수 방법인 t-검정과 순서척도로 생각하는 비모수 방법인 M-W검정의 효율성을 비교해본다.
  • 이 때 사용되는 표본크기 및 반복 횟수는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다. 이 표본세트는 서로 다른 모집단에서 얻은 표본으로 실제로 다르다고 의사결정을 하는 비율, 즉 검정력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가설 설정

  • 첫 번째 방법으로 추출된 표본세트를 가지고 “H0: 두 모집단의 위치모수는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커트형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의 두 가지 흐름은 무엇인가? 리커트형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있다. 하나는 비록 순서척도이지만 구간 척도로 간주하여 마치 리커트 평가척도의 데이터처럼 모수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순서 척도로 인식하고 비모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커트형 데이터는 순서척도이기 때문에, 모수 방법 보다는 비모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데이터의 측정 척도는 어떻게 나누어 이해하나요?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측정 척도는 스티븐스 (Stevens)의 이론에 따라 명목척도 (nominal scale) 순서척도 (ordinal scale), 구간척도 (interval scale) 그리고 비율척도 (ratio scale)로 나누어 이해한다. 이 4가지의 측정 척도에 따라 같은 목적의 통계분석을 하더라도 통계분석방법은 달라진다.
리커트 평가 척도는 어떤 방법인가? 5점 리커트 척도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척도로서, 1=강한부정, 2=부정, 3=보통, 4=긍정, 5=강한긍정으로 순서화된 답지를 주고 응답자가 느끼는 감정이나 태도를 표시하게 한다. 리커트 평가 척도는 이런 유형의 설문을 여러 개 만들어서 이를 종합하여 응답자의 감정이나 태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Lee (2015)은 전통떡류에 대한 인지도, 활용도, 편의도 및 선호도를 측정하는데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고, Lee와 Kown (2015)도 행동통제력 지각, 예견된 후회, 음주운전태도, 주관적 규범, 흡연습관 및 운동습관에 대한 측정을 위해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gresti, A. (1996).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Wiley, New York. 

  2. Clason, D. L. and Dormody, T. J. (1994). Analyzing data measured by individual Likert-type item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35, 31-35. 

  3. Cliff, N. (1993). Dominance statistics: Ordinal analyses to answer ordinal questions. Psychological Bulletin, 114, 494-509. 

  4. De Winter, J. C. F. and Dodou, D. (2010). Five-point Likert items: T test versus Mann-Whitney-Wilcoxon. Practical Assemssment, Research & Evaluation, 11, 1-16 

  5. Goldstein, G. and Hersen, M. (1984). Handbook of psychological assessment, Pergamon Press, New York. 

  6. Kromrey, J. D. and Hogarty, K. Y. (1998). Analysis options for group difference on ordered categorical variabl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ype I error control and statistical power. Multiple Linear Regression Viewpoints, 25, 70-82. 

  7. Lee, K. H. and Kwon, Y. M. (2015). Influence of sociopsychological aspects, smoking habit, exercise habit on the intentions of drink-driv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21-29. 

  8. Lee, M. O. (2015). A study on differences by gender in influence of recognition, usage, convenience and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for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875-883. 

  9. Mogey, N. (1999). So you want to use a Likert scale? http://www.icbl.hw.ac.uk/ltdi/cookbook/infolikert scale. 

  10. Traylor, M. (1983). Ordinal and interval scaling. Journal of Market Research Society, 25, 297-303. 

  11. Warachan, B. (2011). Appropriate statistical analysis for two independent groups of likert-type data. Ph. D. Thesis,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