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재해 정보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공간, 비공간 정보 자료 개념 설계
A Conceptual Design of Spatial and Non-spatial Information for Water Hazard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2, 2016년, pp.21 - 29  

이정주 (National Drought Information Analysis Center, K-water) ,  김동영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K-water Institute) ,  정영훈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K-water Institute) ,  황의호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K-water Institute) ,  채효석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K-water Institute)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basic design of system and interface which provide both of spatial and non-spatial data for water hazard information management. This helps to decide directions of the future integrated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and possible technical examinations of the web-based sys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를 모두 포함하는 수재해 정보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료제공뿐만 아니라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본설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향후 수재해 정보플랫폼 통합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프로토타입 가시화를 통한 웹 기반 수재해 정보서비스의 기술적 검토 및 실제 구현 형태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2003)은 많은 부분에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차세대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서울시의 도시방재관리 및 정보시스템에 대하여 새로운 활용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즉, 서울시 도시방재관리를 진단함에 있어 정보기술시스템 측면에 국한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방재정보시스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를 모두 포함하는 수재해 정보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위해, 자료제공 및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본설계를 수행하였다. 향후 단계별로 구축 예정인 수재해 정보플랫폼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웹 기반 정보제공 시스템을 통한 수재해 정보서비스의 기술적 검토 및 실제 구현 형태를 알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재해 대응 및 관리 등을 위한 정보 플랫폼은 무엇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가? 이를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수재해 대응 및 관리는 물론 통일을 대비한 북한 수자원 현황 파악과 글 로벌 물 산업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정보 플랫폼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 플랫폼은 각종 위성 및 국토관측센서를 통해 획득되고 있는 물 관련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정보들을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수재해 정보관리의 시스템에서 기술적 요구 사항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수재해 정보관리 시스템의 기술적 요구사항을 몇 가지 요약해 보면, 우선 수재해와 관련된 1차 관측데이터, 2차 분석정 보, 3차 가공정보 등 모든 정보를 공개하고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오픈이노베이션 개념의 포털 서비스의 구축으로 기술력 제고 및 기술성장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광역 수자원 정보를 통합 관리 및 서비스하기 위해, 다중화, 자료 백업, 원격 소산, 망 분리 등의 시스템 인프라 연구와 각종 자료를 통합 서비스하기 위한 자료 표준화 및 규격화 방안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SRA (Satellite, Radar ,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기반 수자원 정보 관리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규모 산정을 위해 관리대상 자료의 선정, 자료 보관 용량 도출, 자료 백업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간정보와 융합된 위성자료 등의 수방재 DB 고도화 정보의 장점은 무엇인가? 공간정보와 융합된 위성자료 등의 수방재 DB 고도화 정보 는 상대적으로 지상 계측자료가 부족한 저개발국가나 전략지 역과 같은 비접근 지역에 대한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물 관리 산업 해외진출 시 활용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해외 기관에서 개발하거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시스템과의 호환성 확보 방안과 개 발 기술 및 시스템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방안 등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eil, B., I. Petzold, H. Romang, and J. Hess, 2014. The common information platform for natural hazards in Switzerland, Nat Hazards, 70: 1673-1687. 

  2. Islam, M., and K. Sado, 2000. Flood hazard assessment in Bangladesh using NOAA AVHRR data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Hydrological Processes, 14(3): 605-620. 

  3. Kim, D. M. and I. T. Yang, 2003. Research on the Sharing of Disaster Information Using Web GIS Technolog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1(2): 101-107 (in Korean). 

  4. Kim, D. Y., J. J. Lee, H. S. Chae, and E. H. Hwang,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Tree for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 200-214 (in Korean). 

  5. Kim, D. Y., J. J. Lee, H. S. Chae, and E. H. Hwang, 2015a.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 1-12 (in Korean). 

  6. Kim, S. K. and J. Y. Won, 2003. A Search on Feasibility of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Seoul Metropolitan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5(4): 97-118 (in Korean). 

  7. Kim, S. J., S. J. Bae, S. P. Kim, and Y. J. Bae, 2015b. Assessment of Potential Flood Damage Considering Regional Flood Damag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4): 143-151 (in Korean). 

  8. Kim, S. J., S. H. Kim, H. K. Joh, and S. R. Ahn, 2015c. Development of Distributed Hydrological Analysis Tool for Future Climate Change Impacts Assessment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2):15-26 (in Korean). 

  9. Kim, T. H., K. H. Kim, J. H. Shim, and W. J. Choi, 2008. Development of Web-GIS based Real-Time Natural Disaster Da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0(4): 103-107 (in Korean). 

  10.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4. Disasters Yearbook (in Korean). 

  11. Moon, H. S. and L. S. Kang, 2009.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IETM for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of Construction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2):255-265 (in Korean). 

  12. The World Bank (http://datacatalog.worldbank.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