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농업용수 잠재능 평가
Evalu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Potential in Agricultural Reservoir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2, 2016년, pp.65 - 71  

김진수 (Dept. of Agricultural and Rur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재용 (Dept. of Agricultural and Rur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정범 (Dept. of Road Construction, Uiwang City Hall) ,  송철민 (The Policy Coucil for the Paldang Watershed) ,  박지성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oper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w concept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potential, which is mean annual turnover rate times unit storage capacity, was introduced for agricultural reservoirs.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mean annual turnover rate and unit storage capac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with storage capac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규모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평균 연회전율과 최고 및 최소 저수율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수 불안전 저수지에서의 평균 연회전율, 단위 저수량 및 농업용수 잠재능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저수지의 이수 안전도 평가에 있어 평균 연회전율-단위 저수량의 관계도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잠재능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그 구성성분인 물의 평균 연회전율 (이하 평균 연회전율)과 단위저수량의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제시된 평균 연회전율-단위 저수량 관계도의 저수지 이수 안전도 평가에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잠재능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저수용량 100만 m3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그 구성성분인 평균 연회전율과 단위저수량의 특성을 검토하고, 저수지의 이수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균 연회전율-단위 저수량의 관계도를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잠재능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그 구성성분인 물의 평균 연회전율 (이하 평균 연회전율)과 단위저수량의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제시된 평균 연회전율-단위 저수량 관계도의 저수지 이수 안전도 평가에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용량을 결정하는 지표로 고려된 것은? 우리나라에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용량을 결정하는 지표로서 단위 저수량 (= 유효 저수용량/수혜면적)과 유역배율 (=유역면적/수혜면적)이 고려되어 왔다.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단위저수량은 1960년대까지 300-450 mm이었으나, 1970년대부터 600-800 mm로 증가하였다 (KRC, 2007).
농업용 저수지에의 단위 저수량은 어떻게 증가했는가? 우리나라에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용량을 결정하는 지표로서 단위 저수량 (= 유효 저수용량/수혜면적)과 유역배율 (=유역면적/수혜면적)이 고려되어 왔다.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단위저수량은 1960년대까지 300-450 mm이었으나, 1970년대부터 600-800 mm로 증가하였다 (KRC, 2007). 특히 2000년 이후부터는 한국농어촌공사 (이하 농어촌공사)와 같은 공적기관에 의한 물관리, 물값의 폐지 등으로 인한 말단 물 관리에서의 농민 참여의 부재는 필요 용수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Lee et al.
최근 실시된 저수지 개보수 사업,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은 무엇을 증가시켯는가? 최근 실시된 저수지 개보수 사업,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 등은 증가하는 필요 용수량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수용량을 증가시켰다. 실무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적정 저수용량을 결정하는 모형으로서 HOMWRS (Hydrological Operation Model for Water Resources System)을 많이 사용해 왔다 (Le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SRI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2006. ArcGIS, Ver. 9.2, Redlands, California. 

  2. Jeon, K. S., 2016. Water balance analysis for water demand and supply assess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M.S. diss.,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3.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ve),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south-jsp. Accessed 10 Dec. 2015 (in Korean). 

  4. KRC (Korea Rural Community Cooperation), 2007. Manual on repair and renova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Reservoir, 24 (in Korean). 

  5. Lee, S. Y., 2008. Estim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low of Donghwa dam. M. S. diss., Seoul: Konkuk University (in Korean) 

  6. Lee, S., T. Kim, and M. Satoh, 2010. Participatory irrigation management under the public system in Korea, INWEPF-PAWEES Joint Symposium and Steering Meeting, 51-53. Jeju. 

  7. Lee, T. H., 2011. Introduction of HOMWRS, Water and Future 44(7): 88-91 (in Korean). 

  8. Ministry of Agriculture, 1998. Irrigation in design standard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 165 (in Korean). 

  9. Ministry of Education, 1998. Irrigation and drainage, 229 (in Japanese). 

  10. Mitsch, W. J., and J. G. Gosselink, 2007. Wetlands, Fourth eds., Wiley, New York. 

  11. Noh, J. K., 2011. Securing inflows to reservoir with low ratio of watershed to paddy field areas by operating outside diversion we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1): 17-28 (in Korean). 

  12. RIMS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Http://rims.ekr.or.kr/index.aspx. Accessed 10 Dec. 201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