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지역에서 토지 피복에 따른 열 변이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rmal Variations with the Different Land Covers in an Urban A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3 no.1, 2016년, pp.46 - 53  

박성애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  공학양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  김승현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  박성민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  신영규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원시 도심에 위치한 도시공원인 효원공원을 대상으로 여름철 대기온도 저감효과를 확인하고, 공원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피복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 환경을 실측하고 분석하였다. 도시공원의 여름철 대기온도저감효과는 도심주거지 (매탄동) 대비 평균 4.4-4.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p< 0.001), 수원시의 외곽주거지 (상광교동) 보다는 약 0.8% 낮은 수준이었다. 도시공원 내 피복유형 (보도 블럭, 잔디 식재지, 소나무-잔디 식재지, 수목 차광지 및 혼합림 조경지)에 따른 열환경은 자연소재의 유형일수록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여름일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최저기온 및 열대야일수는 피복유형에 따른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오후시간대 (13:00-15:00)에 혼합림 조경지, 수목 차광지, 소나무-잔디 식재지의 불쾌지수 (DI), 습구흑구온도 (WBGT) 및 열지수 (HI)의 평균값이 보도 블록과 잔디 식재지보다 낮아서 자연소재의 피복 유형의 열쾌적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지수에 대한 등급은 모든 피복 유형에서 '가장 높음' 또는 '주의' 단계로 동일하였다. 한편 오전 (06:00-08:00)에는 토지 피복유형별 열쾌적성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에서 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초지, 숲 및 개방 지역의 토지 피복 유형을 증가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ifferent land covers of an urban park (Hyowon park) in downtown Suwon on the urban thermal variations during a hot summer. The effect of the air temperature reduction in the urban park was 4.4%-4.5% for the downtown residence (Maetan-dong).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도시 기온 상승이 뚜렷한 수원시에서 도심과 교외 거주지와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토지 피복에 따른 열 환경을 조사하고, 도시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열쾌적성 지수를 분석하여 쾌적한 도시 기후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원에서 도시 기상을 실측하여 도시공원의 여름철 온도 저감효과를 밝히고, 공원 내 서로 다른 피복유형별 열 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인공환경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도시개발에 의한 인구 유입과 산업발전이 진행됨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의 포장도로, 공장과 같은 인공환경이 도시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여 왔다 (Kim 2003). 인공환경의 증가는 도심의 기온이 주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열섬현상과 같은 도시 열 환경 문제를 야기하였다(Landsberg 1981, Yoshino 1981).
열대야일수가 소나무-잔디 식재지에서 가장 길었던 이유는? 2). 이러한 이유는 도시공원에서 야간 시간대의 최저기온이 토지 피복유형보다는 상대습도, 풍향, 풍속, 인공조명, 차량통행량 등과 같은 다른 자연적 및 인위적 환경 조건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여름일수는 보도블럭이 21일로 가장 길었고, 잔디가 18일, 소나무식재지와 차광지역이 17일, 혼합림은 16일이었다.
열섬현상이란? 도시개발에 의한 인구 유입과 산업발전이 진행됨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의 포장도로, 공장과 같은 인공환경이 도시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여 왔다 (Kim 2003). 인공환경의 증가는 도심의 기온이 주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열섬현상과 같은 도시 열 환경 문제를 야기하였다(Landsberg 1981, Yoshino 1981). 도시에서 인간 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공열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녹지 조성에 따른 그림자 효과와 증발산 작용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Hiroshi 1971, Y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1984. Prevention of thermal injuries during distance runn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16: iv-xiv. 

  2. Eliasson, I. 2000. The use of climate knowledge in urban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8: 31-44. 

  3. Hiroshi, S. 1971. Urban desert (different types on local climate - 20). Kokonshoin 16(8): 10. (in Japanese) 

  4. ISO. 1989. ISO7243, Hot Environments - Estimation of the Heat Stress on Working Man, Based on the WBGT-index (Wet Bulb Globe Temperatur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tandardization. Geneva, Switzerland. 

  5. Jung, I.S., Choi, D.H. and Lee, B.Y. 2011. Observation study of thermal characteristics by distribution ratio of green area at urban in summer season.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31(3): 8-16. (in Korean) 

  6. Jung, A.R. 2011.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allteglichkeit in Seoul urban parks.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Korean) 

  7. Kim, H. 2003. The impacts of urban environmental factors on air temperature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8(5): 259-269. (in Korean) 

  8. Kim, Y.J., Kim, H.S., Kim, Y.K., Kim, J.K. and Kim, Y.M. 2014.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s during the heat waves of summer 2013 in Busa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 1929-1941. (in Korean) 

  9.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9. Dictionary of Earth Science. Bookshill, Seoul, Korea. (in Korean) 

  10. Landsberg H. E. 1981. Urban Climate.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1. Lee, J.A., Jung, D.Y., Chon, J.H., Lee, S.M. and Song, Y.B. 2010.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12-20. (in Korean) 

  12. Lee, S., Kwon, B.Y., Jung, D., Jo, K. Kim, M., Ha, S., Kim, H., Kim, B.N., Masud, M.A., Lee, E. and Kim, Y. 2013. Future prediction of heat and discomfort indices based on two RCP Scenarios.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3(2): 221-229. (in Korean) 

  13. NOAA. 2005. Heat wave: a major summer kill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A. http://www.nws.noaa.gov/om/brochures/heatwave.pdf. Assessed 15 January 2016. 

  14. Park, S.K. 2012.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methods with human thermal sens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1): 1-11. (in Korean) 

  15. Shashua-Bar, L. and Hoffman, M.E. 2000. Vegetation as a climatic component in the design of an urban street: an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cooling effect of urban green areas with trees. Energy and Buildings 31(3): 221-235. 

  16. Song, B.G. and Park, H. 2013. Air ventilation evaluation at nighttime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corridor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 16-29. (in Korean) 

  17. Sung, H.C., Seo, J.Y., Lee, Y.G., Kang, D.I., Hwang, S.Y. and Lee, Y.J. 2009. User-driven Urban Park Development Pla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Suwon, Korea. (in Korean) 

  18. Thom, E.C. 1959. The discomfort index. Weatherwise 12(2): 57-61. 

  19. Yoon, Y.H., Park, B.J., Kim, W.T. and Park, S.Y. 2008. Factor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land cover ratio of green spaces and temperatur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 485-491. (in Korean) 

  20. Yoon, Y., Yorikazu, M. and Shigeto, Y. 1997. A study on the relevancy of land coverage condition to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istribution in park. Papers Environmental Information Science 11: 19-24. (in Japanese) 

  21. Yoon, Y.H., Park, S.H., Kim, W.T. and Kim, J.H. 2014. Analyses on comparison of UTCI, PMV, WBGT between playground and green space in schoo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 80-89. (in Korean) 

  22. Yoshino, M.M. 1981. Change of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due to the urbanization in Tokyo and its surrounding regions. Science reports of the Institute of Geoscience, University of Tsukuba. Section A, Geographical Sciences 2: 45-60. 

  23. Yu, C. and Hien, W.N. 2006. Thermal benefits of city parks. Energy and Buildings 38: 105-1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