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수평지반반력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Modulus of Horizontal Subgrade Reaction through Field Test and Numerical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7 no.4, 2016년, pp.5 - 15  

강병윤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민철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  이시형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  장기수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  구자갑 (Department of Civil, Safety &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박경한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흙막이 현장에서 안정성 및 경제적 시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굴착단계별 토질특성을 반영한 정량적인 정수들이 실제 현장과 일치되어야 한다. 그중 흙막이 설계 시 가장 중요한 매개 변수인 변형계수 및 수평지반반력계수는 현장여건에 따라 표준관입시험의 N값으로 산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반화된 흙막이 설계법의 모순을 극복하고, 실제 현장에 부합하는 수평지반반력계수 산정을 위하여 표준관입시험, 평판재하시험 및 공내재하시험을 실시하고 상호관계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의 실제 계측데이터를 통한 유한요소해석법과 탄소성해석법의 역해석을 통하여 수평지반반력계수와 굴착에 따른 저감계수를 추정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중 소형 및 일반현장에서도 흙막이 벽체 설계 시 합리적인 설계적용을 위한 정수의 오류를 줄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achieving stability and economic construction at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ite, quantitative parameters of soil properties with excavation steps coincides with the actual field site. The main parameters of retaining wall design such as deformation modulus and modulus of horizontal subgra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준관입시험, 공내재하시험 및 평판재하시험을 실시 후 기존의 다양한 경험식 등에 대입하여 각 수평지반반력계수의 상호관계성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장 계측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수평응력-변위 및 소성거동을 분석하여 현장에 가장 적합한 식을 제안하고자 시공 굴착단계 중 발생하는 각 단계별 수평지반반력계수 저감식 및 제안식을 제안하여 흙막이 벽체 설계 시 지반정수관련 한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평응력-변위 거동의 주요 파라미터인 수평지반반력계수 산정에 관한 다양한 추정식 간의 상호연관성을 검토하고, 흙막이 벽체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현장계측결과와 탄소성 해석법과 유한요소해석법을 수행하였다. 또한, 굴착에 따른 수평지반반력계수의 상관성 및 그 적용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식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도출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특히 풍화토 구간의 지층조건을 4층으로 풍화암을 2층으로 세부적으로 나누어 해석에 적용시켜 기존 설계방법에서 문제가 되었던 풍화 정도에 따른 지반강성도 평가 즉, 지반 스프링정수를 적용하는 것을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흙막이 벽체 설계 및 시공 시 안정성 확보와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흙막이 벽체 설계 및 시공 시 안정성 확보와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굴착 단계별 지반특성을 반영한 정수들이 실제 현장과 일치되는 정략적인 데이터들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 경험 값 등을 다각적으로 비교・분석 후 엔지니어의 정확한 판단에 의해 합리적인 수평지반반력계수를 산정해야 하나, 이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원지반조건 및 현장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 및 시공을 시행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따라서 가시설공사 대상지반의 지반조건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조건에 부합된 원지반조건 및 현장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 및 시공은 지반정수 산정 오류로 인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한다.
도심지에서 고심도 굴착공사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는 도시개발에 따라 입체적 공간 이용률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도심지 빌딩 및 기타 편의 시설은 지하공간까지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확보하기 위해 도심지에서 고심도 굴착공사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sis Soft Inc. (2010), PLAXIS ver 8.2 (in Korean). 

  2. Chang, Y. L. (1937), Lateral pile loading tests, Proceeding, ASCE, Vol. 102, pp. 272-278. 

  3. Chen, L. T. and Poulos, H. G. (1997), Piles subjected to lateral soil movement, J. Geotech. Engrg., ASCE, September, Vol. 123, No. 9, pp. 802-811. 

  4. Clough, G. W. and O'Rourke, T. D. (1990), Construction induced movements of in-situ walls. Design and performance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25, pp. 439-470. 

  5. Geogroup Eng. (2006), Sunex ver 5.73 (in Korean). 

  6. Hukuoka, M. (1966), Damage to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Soils and Foundations, 6(2), pp. 125-145. 

  7. Japan Road Association. (1980), Standard specification for highway bridges of japan.IV lower structure, pp. 273 (in Japanese). 

  8.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990), Standard specification and ground anchor design, pp. 185-215 (in Japanese). 

  9. KS F 2343:2007 (2007), Testing method for direct shear test of soils under consolidated drained conditions, Korea Standard (in Korean). 

  10. Lee, S., Lee, J. D. and Kim, T. H. (2001), Evaluation of coefficients of subgrade reaction by laterally loaded pil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1, No. 4-C, pp. 349-357 (in Korean). 

  11.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1), Standard specification for highway bridges, pp. 299-307 (in Korean). 

  12. Soletanche (1982), Design criteria permanent ground anchor, Final Report No. FHWA/RD-81/150,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p. 18-22. 

  13. Vesic, A. B. (1961), Bending of beams resting on isotropic elastic solid, Journal of the Engineering Mechanics Division, ASCE, Vol. 87, No. 2, pp. 35-54. 

  14. Yoshida and Komada (1965), A study on lateral K-vaule of ground, soil and foundation, Vol. 13, No. 85, pp. 25-29. (in Japanese). 

  15. Yoshinaka, R. (1968), Lateral coefficient of subgrade reaction, Civil Engineering Journal, Vol. 10, No. 1 pp. 32-37 (in Japanese). 

  16. Yokoyama (1962), Dolphin of design method, research design report, Port and Harbour Research Institute, No. 2, pp. 108-152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