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리아세테이트/PET 혼방 직물의 분산염료 혼합염색
Combination Dyeing of Triacetate/PET Blended Fabric with Disperse Dye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4, 2016년, pp.3 - 12  

김명옥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이정순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트리아세테이트와 흡한속건성 PET 합연사로 구성된 복합직물의 염착량 증진 및 동일색상 염색(union dyeing)을 위한 최적 혼합염색 조건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E-type 분산염료(C.I. Disperse red 50)와 S-type 분산염료(C.I. Disperse red 92)를 혼합하여 1욕 혼합염색으로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료의 혼합비율에 따른 염색직물의 흡진율, 염착율, 색상 및 색차를 측정하였다. 혼합염색의 염착평형은 $100^{\circ}C$에서 일어났으나 염색된 직물의 K/S 값과 겉보기 색상을 비교해보았을 때 트리아세테이트와 흡한속건성 PET의 색이 동일한 색으로 발현되는 온도는 $120^{\circ}C$임을 확인하였다. 염색 시간 증가에 따른 혼합염료 흡진율과 염착량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염색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혼합염료를 사용할 경우 균일한 색상을 얻을 수 있었다. E-type에 S-type염료의 혼합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혼합염색 하면 단독염색 보다 E-type 염료의 색상과 차이 없이 염착량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combination dyeing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dye uptake and union dyeing of the composite material fabric made of triacetate and quick drying PET blended yarn. For the experiment, fabrics were one-bath combination dyed using the mixed dye of E-ty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리아세테이트와 흡한속건성 PET 합연사로 구성된 혼방직물의 염착량 증진 및 두 원사 간 동일한 색상의 발현을 위하여 E-type 분산염료에 S-type 분산염료를 혼합하여 1욕 혼합염색에서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료의 혼합비율이 흡진율과 염착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트리아세테이트와 흡한속건성 PET 혼방직물의 겉보기색상 변화와 색차를 측정하여 동일한 색상의 발현을 위한 최적 혼합염색 조건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재의 복합화란?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의 구매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소재의 복합화와 다양화를 통한 기능성 및 심미성이 부여된 고부가가치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Kim, 2014; Sa & Lee, 2015). 소재의 복합화는 섬유제품을 생산하는데 2가지 이상의 섬유소재를 쓰는 것으로 이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두 섬유를 혼방함으로써 각각의 섬유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보유한 제품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소재를 복합화 하는 방법은 섬유 내에서 복합 하는 방법, 섬유 간 혼합하는 방법, 의복 내에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2009).
소재를 복합화 하는 방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소재의 복합화는 섬유제품을 생산하는데 2가지 이상의 섬유소재를 쓰는 것으로 이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두 섬유를 혼방함으로써 각각의 섬유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보유한 제품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소재를 복합화 하는 방법은 섬유 내에서 복합 하는 방법, 섬유 간 혼합하는 방법, 의복 내에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2009). 그 중 섬유 내 혼합에 해당되는 혼방사는 다른 섬유를 혼합하여 방적한 실이고, 섬유 간 혼합에 해당되는 복합사는 성질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실을 혼합하는 것으로 두 종류의 실 모두 기존의 실이 제공할 수 없는 성능을 구현하거나 기존의 실을 대체하는 새로운 태, 기능, 광택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Kim et al.
소재 복합화 방법 중 섬유 내에서 복합 하는 방법 중 혼방사와 복합사의 장점은? 소재를 복합화 하는 방법은 섬유 내에서 복합 하는 방법, 섬유 간 혼합하는 방법, 의복 내에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2009). 그 중 섬유 내 혼합에 해당되는 혼방사는 다른 섬유를 혼합하여 방적한 실이고, 섬유 간 혼합에 해당되는 복합사는 성질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실을 혼합하는 것으로 두 종류의 실 모두 기존의 실이 제공할 수 없는 성능을 구현하거나 기존의 실을 대체하는 새로운 태, 기능, 광택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Kim et al., 2006; Kim & Park, 2007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ung, Y. S., Lee, K. W., & Pak, P. K. (2002). Compatibility analysis of disperse dyes in dyeing of PET/Spandex ble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4(4), 12-17. 

  2. John, S. (2006). Blends Dyeing (Lee, S. Y., Trans.), Daegu: Dyetec.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3. Jung, I., Lee, S., Lim, G., & Ruy, J. (2011). Supercritical fluid dyeing of polyester fiber with two different dispersion dyes. Clean Technology, 17(2), 110-116. 

  4. Kim, D. H. (2002). Compatibility of reactive dyes in Cold-Pad-Batch dyeing on cott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5. Kim, H. (2014). Effect of hollow composite yarn characteristics to the comfort property of fabrics for high emotional garment.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4), 71-78. 

  6. Kim, J. H., Kwon, M. Y., Kim, J. S., & Kim, T. K. (2008). A study of deacetylation during dyeing acetate/rayon complex fabrics. Dyeing and Finishing, 3(1), 63-69. 

  7. Kim J. H., Lee J. S., Lee S. Y., & Lee S. G. (2014). Dye Properties on Jacquard Fabric for Blind Using Low-melting Flame Retardant Polyes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3), 404-414. 

  8. Kim, M. & Park, M. (2007). The Subjective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S/S Acrylic Fabrics Knitted With Various Blended And Twisted Yarn.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9(1), 35-50. 

  9. Kim, S. H., Son, Y. A., & Bae, J. S. (2005). Dye Chemistry, Seoul: Greenpress. 

  10. Kim, S. R. (2012). Textile Material(피복재료학), Paju: Kyomunsa. 

  11. Kim, S., Jeon, D. W., & Park, Y. H. (2006). Dyeing Properties of Acetate/Functional Polyester Composite Yarn in Different Yarn Twisting Proce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2), 255-265. 

  12. Kim, M. & Lee, J. (2014). Development of functional coolness textile containing triacetate. In Proceeding of 2014 The Korean Fiber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Joint Conference (2014년 한국섬유공학회/한국염색가공학회 공동 추계학술대회), 74. 

  13. Lee, J. L. (2009).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reactive Disperse Dyes to Single and Blended Fabr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4. Paik, J., Kim, J., Lee, N., Yoon, T., & Kim, S. (2003). The Dyeing Propertie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by Disperse Dyes with Different Energy Lev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5(5), 32-36. 

  15. Ro, D. (2008). A Study on the One Bath One Step Thermosol Dyeing of Polyester/Cotton Blended Fab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20(1), 16-21. 

  16. Sa, A. & Lee, J. (2015). Physical Properties of Polyester, Tencel and Cotton MVS Blended Yarns with Yarn counts and Blend Ratio. Fashion & Textile Reseach Journal, 17(2), 287-298. 

  17. Sung, W. K. (1998). Studies on the One Bath Exhaust Dyeing System of Polyester/Cationized Cotton Blends with Disperse Dye/Reactive Dy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0(2), 18-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