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작지모가우슬탕(桂芍知母加牛膝湯) 약침이 류마티스 관절염 생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and Mechanism of Gamikyejakjimogawusul-tang Herbal Acupuncture on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model of DBA/1 mice 원문보기

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24 no.2, 2016년, pp.35 - 57  

정순현 ,  조종관 ,  김소연 () ,  김영일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한방병원 침구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and mechanism of Gamikyejakjimogawusul-tang(GKHA) herbal acupuncture on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model of DBA/1 mice. Methods : We check effect of GKHA extract on the AST, ALT, Creatinine, BUN of serum and cell viability of GK ext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桂芍知母湯에 기존 연구에서 골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증명된 牛膝12-14)을 加한 桂芍知母牛膝湯의 약침 투여가 류마티스 관절염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In vitro에서 桂芍知母加牛膝湯 추출액의 항산화효능과 NO 및 IL-1β, IL-17, TNF-α 등의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항염증효능을 측정하였고, 3D μCT를 통한 관절 상태, 골밀도, 관절염증 정도 측정과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내 대식세포 및 T 세포 등 염증세포의 침윤 및 활막의 이상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질환으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여 관절의 변형이 유발된다.1) 일반적으로 인구의 1%가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환되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2.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어떠한 것이 유발되는가?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내 대식세포 및 T 세포 등 염증세포의 침윤 및 활막의 이상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질환으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여 관절의 변형이 유발된다.1) 일반적으로 인구의 1%가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환되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2.
류마티스 관절염의 한의학적 치법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으로 볼 때 한의학에서는 이를 痺症과 歷節風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데 痺症은 肢體, 關節의 疼痛, 酸楚, 麻木, 重着, 活動障碍 등의 증상을 보이며5), 歷節風은 관절이 붓고 심한 疼痛을 호소하며 관절이 屈伸不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으로 紅腫, 下肢腫痛, 脚腫如脫, 手指變曲, 夜間痛甚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6) 食傷, 勞倦, 痰飮, 瘀血에 의해 氣血이 부족해지고 精氣가 허약해진 상태에서 風寒濕熱邪가 침입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調補氣血, 補腎助陽, 滋陰養肝하는 치법을 사용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Lacey D, Sampey A, Mitchell R et al. Control of fibroblast-like synoviocyte proliferation by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Arthritis Rheum 2003 ; 48 : 103-9. 

  2. 송영욱. 최근 조명된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태생리. 대한내과학회지. 2009 ; 76(1) : 1-6. 

  3. 김지민, 김호연.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인. 대한의사협회지. 2010 ; 53(10) : 853-61. 

  4. 안상현, 김호현. LPS 유도 생쥐 관절염에서 금은화의 MIF 활성 조절이 COX-2와 MMP-9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 ; 24(2) : 242-8. 

  5. Chung SH. The Study on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Arthalgia Syndrome. The Korean Acedemy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1991;2(1):56-66. 

  6. 이재동. 류마티스 관절염의 한방치료. 경희의학. 2004 ; 20(1) : 4-9. 

  7. 신미경, 노성수, 서영배. 동충하초 추출물이 콜라겐으로 유발된 관절염 생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 ; 22(3) : 57-65. 

  8. 張仲景. 金?要略方論. 臺北 : 台聯國風出版社. 1973 ; 32-3. 

  9. 권재식, 김기현, 김형태, 박응호, 서성훈. 痺症. 서울 : 정담출판사. 1993 ; 23-4, 207-71. 

  10. 김순신, 김혜경, 최종원, 이정규. 계작지모탕의 소염.진통작용 및 Alcohol성 고뇨산혈증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1995 ; 26(1) : 66-73. 

  11. 홍성민, 오민석. 계작지모탕가미방이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2013 ; 23(4) : 39-57. 

  12. 양기상. 처방구성을 위한 한약의 배합과 응용 : 전통의학연구소. 1993 ;360,361 

  13. 임진석. 本經疏證(下). 서울: 아티전. 1998; 506-8. 

  14. 김창수, 박용기. 우슬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 생쥐에 대한 개선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10 ; 25(4) : 129-35. 

  15.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981 ; 58(11) : 966-8. 

  16. Nieva M, Maria I, Antonio R, Marta A, Vattuone.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0 ; 71(1) : 109-14. 

  17. Lipsky, P.E. Rheumatoid arthritis. 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16th ed. New York : Mc Graw Hill. 2005 ; 1968-77. 

  18. The Korean orthopaedic. orthopedics, 5th ed. Seoul : Choishin medical republising company. 2005 ; 175-6. 

  19. 楊維?. 黃帝內經素問靈樞譯解. 서울 : 成輔社. 1980 ; 315-28. 

  20. 손희천, 금동호, 이명종. 해동피가 콜라겐 유발 흰쥐의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2 ; 13(1) : 67-76. 

  21. 한방재활의과학회. 한방재활의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3 ; 78. 

  22. 方藥中, 李克光, 鄧鐵濤, 金壽山, 黃星垣, 董建華. 實用中醫內科學. 서울 : 醫聖堂. 1993 ; 558-9. 

  23. 강인수. 비증치료의 용약에 대한 소고. 대한한의학회지. 1990 ; 11(1) : 245-52. 

  24. 제정진. 血府逐瘀湯이 Adjuvant유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dissertation].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3. 

  25. Lee DM, Weinblatt ME. Rheumatoid arthritis. Lancet. 2001 ; 358 : 903-11. 

  26. 의학교육연구원. 가정의학.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 123-5, 132-4. 

  27. 조영두, 한효상, 이영종. 천파석이 콜라겐유도 생쥐관절염에 미치는 억제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10 ; 25(4) : 137-43. 

  28. MacGregor AJ, Snieder H, Rigby AS et al. Characterizing the quantitative genetic contribution to rheumatoid arthritis using data from twins. Arthritis Rheum. 2000 ; 43 : 30-7. 

  29. Maini RN, Breedveld FC, Kalden JR et al. Therapeutic efficacy of multiple intravenous infusions of anti-tumor necrosis factor alpha monoclonal antibody combined with low-dose weekly methotrexate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1989 ; 41 : 1552-63. 

  30. Kremer JM, Westhovens R, Leon M et al.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by selective inhibition of T-cell activation with fusion protein CTLA4Ig. N Engl J Med. 2003 ; 349 : 1907-15. 

  31. Seo YI. New drugs for rheumatoid arthritis. Kor J Medicine. 2009 ; 76 : 12-7. 

  32. 김영태, 이제동, 이윤호. 최근 RA와 관련된 임상 및 실험논문의 경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9 : 190-4. 

  33. Kim KS, Choi YH, Choi WS, Song IK, Park JS, Lee SD. 녹용약침액이 생쥐의 Type2collagen유발관절염과 인산이온 유발연골세포의 세포사에 있어 보호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19(5):10-27. 

  34. 김영화. 해동피약침이 collagen-induced arthritis억제 및 면역조절에 미치는 영향 [dissertation]. 대전 :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7. 

  35. 장선일, 윤용갑. DBA/1J마우스에서 加減補中益氣湯이 콜라젠 유도 관절염 억제에 미치는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3;18(3):143-51. 

  36. 오충환, 김순중, 서일복. 가시오가피가 흰쥐의 collagen유발 관절염 발생및 치료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3):55-73. 

  37. 정진기, 손건호, 김영식, 박용기. 陳皮 에탄올추출물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 마우스에서의 항관절염 효과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11;26(3):1-6. 

  38. 박장우, 오민석. 창출도인탕가미방이 DBA/1J 생쥐의 collagen 유발 관절염 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10 ; 31(2) : 19-35. 

  39. 김은진, 최주연, 유미리, 김미영, 이상현, 이복희.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지. 2012 ; 44(3) : 337-42. 

  40. Lu Y, Foo LY.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apple pomace. Food chemistry. 2000 ; 68(1) : 81-5. 

  41. Heim KE, Tagliaferro AR, Bobilya DJ. Flavonoid antioxidants: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2002 ; 13(10) : 572-84. 

  42. Williams RJ, Spencer JPE, Rice-Evans C. Flavonoids : antioxidants or signaling molecule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004 ; 36(7) : 838-49. 

  43. 정창호, 정희록, 최성길, 심기환, 허호진.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11 ; 18(3) : 358-65. 

  44. 정현실, 송영선, 노경희 et al. 부추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지질과산화와 항산화방어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지. 2003 ; 13(3) : 333-42. 

  45. McCord JM. The evolution of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Am J Med. 2000 ; 108(8) : 652-9. 

  46. Clancy RM, Amin AR, Abramson SB. The role of nitric oxide in inflammation and immunity. Arthtitis Rheum. 1998 ; 41(7) : 1141-51. 

  47. McCartney-Francis NL, Song X, Mizel DE, Wahl SM. Selective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acerbates erosive joint disease. J Immunol. 2001 ; 166(4) : 2734-40. 

  48. Smolen JS, Aletaha D, Koeller M, Weisman MH, Emery P. New therapies for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Lancet. 2007 ; 370 : 1861-74. 

  49. 지종대.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역할. Hanyang medical reviews. 2005 ; 25(2) : 43-52. 

  50. Eastgate JA, Symons JA, Wood NC, Grinlinton FM, di Giovine FS, Duff GW. Correlation of plasma interleukin 1 levels with disease activity in rheumatoid arthritis. Lancet. 1988 ; 2 : 706-9. 

  51. North J, Situnayake RD, Tikly M, et al. Interleukin 1beta, hand and foot bone miner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joint erosions in rheumatoid arthritis. Ann Rheum Dis. 1994 ; 53 : 543-6. 

  52. Houssiau FA, Devogelaer JP, Van Damme J, de Deuxchaisnes CN, Van Snick J. Interleukin-6 in synovial fluid and serum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other inflammatory arthritides. Arthritis Rheum. 1988 ; 31 : 784-8. 

  53. Hirano T, Matsuda T, Turner M, et al. Excessive production of interleukin 6/B cell stimulatory factor-2 in rheumatoid arthritis. Eur J Immunol. 1988 ; 18 : 1797-801. 

  54. Sack U, Kinne RW, Marx T, Heppt P, Bender S, Emmrich F. Interleukin-6 in synovial fluid is closely associated with chronic synovitis in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 Int 1993 ; 13 : 45-51. 

  55. Madhok R, Crilly A, Watson J, Capell HA. Serum interleukin 6 levels in rheumatoid arthritis : correlations with clinical and laboratory indices of disease activity. Ann Rheum Dis. 1993 ; 52 : 232-4. 

  56. Lubberts E, Schwarzenberger P, Huang W et al. Requirement of IL-17 receptor signaling in radiation-resistant cells in the joint for full progression of destructive synovitis. J Immunol. 2005 ; 175 : 3360-8. 

  57. Chabaud M, Miossec P. The combin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blockade with interleukin-1 and interleukin-17 blockade is more effective for controlling synovial inflammation and bone resorption in an ex vivo model. Arthritis Rheum. 2001 ; 44 : 1293-303. 

  58. Mehta DS, Wurster AL, Grusby MJ. Biology of IL-21 and the IL-21 receptor. Immunol Rev. 2004 ; 202 : 84-95. 

  59. Li J, Shen W, Kong K, Liu Z. Interleukin-21 induces T-cell activa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in rheumatoid arthritis. Scand J Immnol. 2006 ; 64 : 515-22. 

  60. Barrera P, Boerbooms AM, Janssen EM, et al. Circulating solubl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s, interleukin-2 receptor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interleukin-6 levels in rheumatoid arthritis. Longitudinal evaluation during methotrexate and azathioprine therapy. Arthritis Rheum. 1993 ; 36 : 1070-9. 

  61. Saxne T, Palladino MA, Jr., Heinegard D, Talal N, Wollheim FA. Dete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but not tumor necrosis factor beta in rheumatoid arthritis synovial fluid and serum. Arthritis Rheum. 1988 ; 31 : 1041-5. 

  62. Husby G, Williams RC, Jr. Synovial localiz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J Autoimmun. 1988 ; 1 : 363-71. 

  63. Chu CQ, Field M, Feldmann M, Maini RN. Localiz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synovial tissues and at the cartilage-pannus junct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1991 ; 34 : 1125-32. 

  64. 조주연. 사람 단핵구 U-937 세포의 케모카인 생성에 미치는 Mycoplasmas lysate의 영향[dissertation].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3. 

  65. 임준희, 권택규. Luteolin의 IL- $1{\beta}$ 에 의한 MCP1 단백질 발현 증가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Life Science. 2009 ; 19(4) : 514-9. 

  66. Thomas R, Lipsky PE. Presentation of self peptides by dendritic cells: possible implications for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1996 ; 39 : 18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