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 거제 연안에 출현하는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of Gymnogobius heptacanthus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8 no.1, 2016년, pp.41 - 46  

김현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해양산업연구소.해양생물교육연구센터) ,  정재묵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예상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자원조성실)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해양산업연구소.해양생물교육연구센터)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 6월에서 8월까지 거제 연안에서 RN80으로 채집된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 229개체의 소환관 내용물 조성을 조사하였다. 살망둑 치어의 체장은 14~29 mm의 범위를 보였으며, 요각류 (Copepoda)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다. 요각류 다음으로는 만각류 (Cirripedia)의 Cypris 유생이 우점하였으며, 그 외 지각류 (Cladocera), 십각류 (Deca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살망둑 치어의 섭식전략과 섭식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해적방법을 이용한 결과,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 (Calanoida)이 출현빈도와 특정먹이 생물우점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살망둑 치어는 긴노요각목을 가장 우점적으로 섭식하는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살망둑 치어는 모든 체장군에서 요각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이 가장 우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juvenile (14.0~29.0 mm SL) of Gymnogobius heptacanthus were examined based on 229 individuals, that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11 in the coastal water of Geoje, Korea. G. heptacanthus fed mainly on copepods which constituted 96.74% in IRI. Barnacle larvae were the secon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살망둑 치어의 소화관 내용물을 이용한 먹이생물 조성, 섭식전략, 크기군별 먹이생물 변화양상을 조사하여 식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자료는 생태적 지위와 생태계의 기능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망둑은 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은 한국, 일본, 중국 연안 등지의 모래바닥에 주로 분포한다. 살망둑을 포함한 망둑어과(Gobiidae) 어류는 전 세계적으로 212속 1,875종이 보고 되었고 그중 27속 59종이 한국에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다(Kim et al.
잘피를 비롯한 해초지에 살망둑 치어가 비교적 풍부하게 출현한 이유는? 본 연구지역은 잘피를 비롯한 해초지로 살망둑 치어가 비교적 풍부하게 출현하였다. 이와 같이 해초지에 자치어와 같은 소형 개체들이 많이 출현하는 것은 다양한 동물플랑크톤이 존재하고, 또한 해초지가 이들의 서식지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은신처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Kim and Gwak, 2012).
살망둑 치어의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은? 살망둑 치어의 섭식전략과 섭식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해적방법을 이용한 결과,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 (Calanoida)이 출현빈도와 특정먹이 생물우점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살망둑 치어는 긴노요각목을 가장 우점적으로 섭식하는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살망둑 치어는 모든 체장군에서 요각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이 가장 우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undsen, P.A., H.M. Gabler and F.J. Staldvik. 1996. A new approach to graphical analysis of feeding strategy from stomach contents data modification of Costello (1990) method. J. Fish Biol., 48: 607-614. 

  2. Anderson, J.T. 1994. Feeding ecology and condition of larval and pelagic juvenile redfish Sebastes spp. Mar. Ecol. Prog. Ser., 104: 211-226. 

  3. Choi, Y., I.S. Kim, B.S. Ryu and J.Y. Park. 1996. Ecology of Synechogobius hasta (Pisces: Gobiidae) in the Kum River Estuary, Korea. J. Kor. Fish. Soc., 29: 115-123. 

  4. Coull, B.C. 1988. Ecology of Marine Meiofauna. In: Higgins, R.P. and H. Thiel (ed.),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iofauna.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London, pp. 19-38. 

  5. Dotsu, Y. 1984. The biology and induced spawning of the gobiid fish, Chaenogobius heptacanthus. Bull. Fish. Lnst. Nagasaki Univ., 55: 9-18. 

  6. Huh, S.H. and S.N. Gwak. 1998.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 Fish. Soc., 31: 372-379. 

  7. Isamu, Y. 1996. Illustration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Co., Ltd., 538pp. 

  8. Jang, C.Y. 2010. Invertebrate Fauna of Korea-Continental Harpacticoida, NIBR vol.21 no.4 246p. 

  9. Kanou, K., M. Sano and H. Kohno. 2004. Food habits of fishes on unvegetated tidal mudflats in Tokyo Bay, central Japan. Fish. Sci., 70: 978-987. 

  10. Kim, B.G. and W.S. Gwak. 2006.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in Jisepo Bay of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yol., 18: 234-243. 

  11. Kim, I.S., Y. Choi, C.R.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 Fishes. Kohak Inc., 615pp. 

  12. Kim, J.S. and W.S. Gwak. 2012.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yol., 24: 191-200. 

  13. Kim, J.Y. 2000.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luridus inhabiting the intertidal zon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Fish. Aqua. Sci., 13: 309-316. 

  14. Kim, J.Y. 2004. Feeding habits of Chasmichthys dolichognathus in the intertidal zone in the West Coast of Korea. KNU Fish. Sci. Res., 4: 363-374. 

  15. Kim, J.Y. and Y.T. Noh. 1997.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elongatus from the Kunsan coast intertidal zone: Neacho-do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0: 413-422. 

  16. Kouki, K., S. Mitsuhiko and K. Hiroshi. 2005. Ontogenetic diet shift, feeding rhythm, and daily ration of juvenile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on a tidal mudflat in the Tama River estuary, central. Japan J. Ichthyol. Res., 52: 319-324. 

  17. Lee, D.H., J.S. Kim, J.S. Park, D.H. Han and W.S. Gwak. 2011.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Jeogu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yol., 23: 225-233. 

  18. Manabu, H., O. Taro, I. Takane, N. Kouj and T. Masaru. 2006. Diel and tid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habits of Japanese temperate bass Lateolabrax japonicus juveniles in the surf zone of Ariake Bay. Ichthyol. Res., 53: 129-136. 

  19. Pianka, E.R. 1988. Evolutionary Ecology 4th ed. Harper Collins New York, p. 468. 

  20.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1. Robert, D., M. Castonguay and L. Fortier. 2008. Effects of intraand inter-annual variability in prey field on the feeding selectivity of larval Atlantic mackerel (Scomber scombrus). J. Plankton Res., 30: 673-688. 

  22. Sassa, C. 2010. Feeding ecology of Symbolophorus californiensis larvae (Teleostei: Myctophidae) in the southern transition region of the Western North Pacific. J. Mar. Biol. Ass., 90: 1249-1256. 

  23. Seo, H.Y. 2010 Invertebrate fauna of Korea-Marine Planktonic Copepods. NIBR, vol.21 no.3 199p. 

  24. Shoji, J., K. Sakiyama, M. Hori, G. Yoshida and M. Hamaguchi. 2007. Seagrass habitat reduces vulnerability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juveniles to piscivorous fish predator. Fisheries sci., 73: 1281-1285. 

  25. Soh, H.Y. and H.L. Suh.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the abundance of the planktonic copepods in Kwangyang Bay. Korean J. Environ. Biol., 11: 26-34. 

  26. Sokolovskaya, T.G. and A.S. Sokolovsky. 2010.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bility of ichthyoplankton collected using fishing lights in Vostok bay (Peter the Great Bay, Sea of Japan). Proceedings of China, 193-197. 

  27. Sudo, H. and N. Kajihara. 2008. Food habits of juvenile devil stingers Inimicus japonicus and their changes with growth in the Zostera marina seagrass bed in Mano Bay, Sado Island. Nippon Suisan Gakk, 74: 827-831. 

  28. Takagi, K. 1966. Distributions and ecology of the gobioid fishes in the Japanese waters. J. Tokyo Univ. Fish., 52: 87-127. 

  29. Tetsuya, T., S. Yuusuke, S. Akiko, I. Kazuo, H. Yuko and S. Naonobu. 2007. Feeding habits of stone flounder Platichthys bicoloratus larvae in Mutsu Bay, Japan. Fisheries sci., 73: 142-155. 

  30. Uchikawa, K., D. Kitagawa and Y. Sakurai. 2001. Notes on feeding habits of the mesopelagic fish Maurolicus japonicus off the Pacific coast of Northern Japan. Bull. Fac. Fish. Hokkaido Univ., 52: 151-156. 

  31. Yoo, G.I., H.K. Hue and W.C. Lee. 1991. Taxonomical revision on the genus Acartia (Copepoda: Calanoida) in the Korean Waters. Bull. Korean Fish. Soc., 24: 255-2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